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애플 실리콘 M1이 탑제된 맥북에어/맥북프로/맥미니가 소비자에게 배송이 되면서 밝혀지는 M1칩의 구체적인 성능에 대해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애플이 M1성능을 소개할 때 정확하게 비교대상이 무엇인지, 그래프에서 x,y축이 어떻게 되는지 등을 밝히지 않은 상태에서 성능차이를 언급했었습니다.

그래서 정확한 CPU, GPU 성능이 어떤지, 기존 인텔/AMD 기반의 X86 소프트웨어를 Rosetta 2로 구동을 하면 성능이 어떻게 되는지 저마다 생각과 예상을 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던 와중 드디어 M1이 탑제된 맥 컴퓨터를 받은 사람들이 테스트한 결과를 온라인에 공유를 하기 시작했고 

현재까지 결과들을 보면 제 예상보다 상당히 희망적인 느낌을 받았습니다.

일단 CPU성능을 보면 Rosetta 2 환경이 아닌 상태에서 맥북에어/맥북프로/맥미니의 성능은 2020년에 출시한 27인치 아이맥에 탑제된 10세대 i9보다 뛰어난 성능을 지닌 것으로 나왔으며

심지어 맥북에어와 Rosetta 2로 구동하였을때도 2020년 27인치 아이맥보다 성능이 좋은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이번 테스트 결과로 유출해보면 Rosetta 2는 인텔기반 소프트웨어를 ARM기반에 돌릴 수 있게 해주는 일종의 translate 기능으로 성능손해는 약 20% 정도지만, 워낙 M1성능이 뛰어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기존에 출시된 맥과 비교하여 뛰어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M1 CPU 밴치마크 성능 (출처: MacRumor)

 

M1 GPU의 경우 “내장그래픽”임에도 불구하고 데스크탑에 탑제되는 GeForce GTX 1050Ti와 radeon RX 560와 비교해서 더 뛰어난 성능을 가진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몇몇 분들은 비교 대상인 GTX 1050Ti/RX560이 오래된 그래픽 카드이기 때문이지 않나 생각하실 수도 있지만 

GTX 1050Ti/RX560는 그래픽카드 자체의 소비전력이 약 75W이지만

이번에 M1이 탑제되고 별도의 쿨링팬이 없는 맥북에어의 전체 소비전력이 30W 정도임을 감안하면 확실히 뛰어난 성능인 것은 확실한 것 같습니다.

M1 GPU 성능 (출처: 9to5mac,  https://9to5mac.com/2020/11/16/apples-m1-chip-outperforms-geforce-gtx-1050-ti-in-graphics-benchmark/ )

 

앞으로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많은 테스트 결과가 공유가 되면서 더욱더 구체적으로 M1이 탑제된 맥 컴퓨터들의 성능과 소프트웨어 호환을 알 수 있겠으며 개인적으로 맥 OS에 윈도우10을 구동하는 Parallels 지원여부와 성능결과가 어떻게 될지 지켜보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애플에서 발표한 애플 실리콘 "M1"에 대해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초간단하게 애플의 첫번째 애플 실리콘 M1에 대해 말씀드리자면

 

기존의 인텔과 AMD은 X86 기반의 칩으로 기존의 데스크탑과 노트북 등에 적용되어 사용하던 칩인 방면

애플 실리콘 M1은 핸드폰, 테블릿에 적용된 ARM기반의 칩으로 전력대비 성능이 뛰어난 장점이 있습니다.

 

M1칩은 기존 아이폰/아이패드 등에 적용된 A14기반의 칩이며 5nm공정으로 제작된 칩입니다.

A14기반의 칩이기에 ARM기반의 칩이지만 애플 노트북/데스크탑에 맞춰서 개발된 칩으로 

흥미로운 점은 애플이 CPU, GPU 뿐만 아니라 I/O, Nueral Engine 그리고 심지어 램(DRAM)까지 한 칩으로 통합해서 전력대비 성능을 극한으로 끌어 올어렸다는 것 입니다.

(소비자 입장에서 안좋은 점은 10000%확률로 자가 램 업그레이드는 불가능합니다...ㅠㅜ)

기존 컴퓨터 부품 배치 (왼) vs 애플 M1 구성 (출처: 애플 공식 홈페이지)

 

M1칩의 CPU 구성은 총 8코어로 이루어져 있으며, 고성능 4 코어와 저전력 4 코어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사용하는 환경에 따라 자동으로 최적의 CPU칩 구동방식을 선택해서 최저 전력으로 최고 성능을 이끌어 내는데 이 방식은 현재 플레그십 스마트폰에도 적용이 되고 있습니다.

 

M1 CPU 구성 (출처: 애플 홈페이지)

 

M1칩의 GPU 구성은 총 8코어로 애플에 의하면 현재 노트북에 적용된 그 어떠한 내장 그래픽(외장 그래픽이 아닙니다)보다 성능이 뛰어나다고 합니다.

또한, Maching Learning같은 작업에 필요한 Neural Engine이 16코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M1 GPU, Neural Engine 구성 (출처: 애플 홈페이지)

 

자~ 그러면 M1의 성능은 어떻게 될까요?

애플 11월 발표를 살펴보면 애플이 성능 비교차트를 보여줄때 구체적으로 비교대상을 언급하지 않았고 x,y축 스케일을 제공해주지 않았기 때문에 제품이 출시하고 실제 테스트를 해보기 전에는 정확하게 파악을 하기 힘들지만 

CPU의 경우 같은 10W 전력 사용시 M1칩이 최대 2배의 성능이 뛰어나며 

기존 노트북 CPU가 최대성능을 낼 때 사용하는 전력의 1/4만 사용해도 M1칩이 같은 성능을 낼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

 

GPU의 경우 같은 10W 전력 사용시 M1칩이 최대 2배의 성능이 뛰어나며

기존 노트북 GPU가 최대성능을 낼 때 사용하는 전력의 1/3만 사용해도 M1칩이 같은 성능을 낼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

 

이와 같이 첫번째 애플 실리콘인 M1은 "전력당 성능"을 최대한 뽑아내게 만든 칩으로 그 동안 아이폰/아이패드를 위해 진행된 개발 노하우가 총 동원이 된 결과물이며, 시간이 지날수록 애플 실리콘의 성능은 더더욱 발전 할 것으로 보입니다.

 

 

애플 11월 발표 당시 구체적으로 어떤 대상으로 성능비교를 했는지 밝히지 않아 아쉬웠는데 

유명한 밴치마크 프로그램 중 하나인 Geekbench에서 M1 성능 결과 자료가 확인되었습니다.

 

M1 밴치마크 (출처: appletrack.org,  https://appletrack.org/first-apple-m1-geekbench-results-show-massive-gains/ )

 

Geekbench 밴치마크 자료에 의하면 M1의 싱글코어 점수는 1687이며 멀티코어 점수는 7433으로 파악이 되었는데 

이는 현재 Geekbech 점수 기준으로 싱글코어 점수는 1등이며 멀티코어 점수는 3등으로 16인치 맥북프로 뿐만 아니라 500백만원이 넘어가는 맥 프로보다 높은 점수를 기록하였습니다.

Geekbench 성능 점수 (출처: BGR.com,  https://bgr.com/2020/11/12/macbook-air-m1-speed-vs-16-inch-macbook-pro-geekbench-5/ )

 

물론!!!!

Geekbench 점수가 모든 것을 대변하는 것이 아니며 실제 테스트를 해봐야 정확하게 알 수 있으며

기존 X86기반의 프로그램은 Rosetta 2를 통해 구동이 되기 때문에 X86프로그램을 ARM으로 변경하는 동안 성능손해가 얼마나 될지 확인을 해봐야 하지만...

일단 기본 성능이 뛰어나기 때문에 애플이 소프트웨어 최적화를 잘 했다면 예상 이상의 실 성능을 보여줄 확률이 있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더 많은 개발자/회사들의 참여로 성능향상과 최적화가 빠르게 진행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어제 저녁인 2020년 11월 14일에 제가 보유 중인 종목 중 하나인 애플에서 배당금을 수령하였습니다~^^

현재 저는 애플 275주를 보유 중이만, 5주는 이번달 초에 매수를 해서 

이번 배당금은 270주에 한해서 나왔으며, 세금을 제외한 $47.06를 받았습니다~!

 

2020년 11월 14일 기준으로 애플 주가는 $119.26이며, 배당률은 0.69%로 코카콜라, 삼성전자, 스타벅스 같은 기업에 비해 배당비율이 아쉬운 것은 사실이지만 

올해 주가상승이 커서 배당비율이 낮아진 효과과 있으며, 매년 애플이 꾸준히 배당비율을 늘리고 있음으로 장기적으로 기대가 되는 주식입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애플이 iOS14.2에 몰래?추가한 JIT Compilation 기능 추가와 에뮬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현재까지 아이폰 혹은 아이패드에 공식적으로 Apps Store를 통해 에뮬레이션으로 닌텐도나 위 게임을 할 수가 없지만, 해킹이나 Jailbreak, AltStore을 통해서 플레이가 가능했었습니다.

AltStore 홈페이지

 

타사에 비해 월등한 AP성능을 자랑하는 아이폰/아이패드 였기에 에뮬레이션으로 플레이가 가능했지만 

소프트웨어를 실시간으로 Compile과 Execution을 할 수 있는 JIT(Just-In-Time)기능의 미지원으로 최대 성능으로 즐기지 못했습니다.

그런데, AltStore 개발자인 Riley Testut이 트위터와 유명 매체인 9to5mac에 iOS에 JIT 기능의 추가로 콘솔, 가상머신 에뮬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을 공개하였습니다.

 

AltStore 개발자 Riley 트위터 (출처: 트위터,  https://twitter.com/rileytestut/status/1324492062503231488?ref_src=twsrc%5Etfw%7Ctwcamp%5Etweetembed%7Ctwterm%5E1324492062503231488%7Ctwgr%5Eshare_3&ref_url=https%3A%2F%2F9to5mac.com%2F )

 

간략하게 정리하면, 이번 JIT 기능추가로 해킹이나 다른 작업없이 에뮬레이션 어플의 성능을 최대치로 사용할 수 있으며, 무거운 에뮬레이션 어플의 성능 또한 대폭 상승이 가능해졌습니다.

이 소식을 접했을 때, 애플 실리콘이 탑제된 맥 컴퓨터에 가상 윈도우 어플인 Parallels 가동이 상상되었지만 

아직까지는 애플이 JIT 기능추가를 에뮬레이션을 통한 게임이나 가상윈도우 때문이 아니라 XCode개발자들을 위해 기능을 추가한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현재 에뮬레이션 분야의 개발자들이 발빠르게 JIT기능을 이용하기 시작하였으며

애플 실리콘이 탑제된 맥 컴퓨터의 경우 기존 X86기반의 프로그램이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타 OS 소프트웨어의 사용을 가능하기 위해 미리 포석을 마련한 것일 수도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미국에서 pre-oder를 시작한 아이폰 12 프로 맥스와 아이폰 12 미니의 배송시간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이폰 12 프로 맥스와 아이폰 12 미니의 사전 주문은 11월 13일에 시작하며 11월 20일에 출시 할 예정입니다^^

아이폰 12 프로 맥스와 아이폰 12 미니 사전 주문/출시일 (출처: 애플 홈페이지, www.apple.co.kr)

 

미국은 1차 출시국으로 이미 사전 주문이 진행 중이며 시간이 지날수록 아이폰 12 프로 맥스의 배송일정이 늘어나고 있는 상황입니다.

우리나라에서 상황은 사전주문이 열린 다음 확인이 가능하겠지만, 현재까지 상황을 보았을 때 아이폰 12 미니의 경우 물량이 있는 방면, 아이폰 12 프로 맥스의 물량이 부족해 보입니다.

현재 미국 애플 스토어 기준으로 사전주문시 걸리는 소요시간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아이폰 12 프로 맥스 사전주문 시 대기 시간

퍼시픽 블루

128GB: 2~3주

256GB: 2~3주

512GB: 7~10일

 

실버

128GB: 7~10일

256GB: 7~10일

512GB: 11월 13일

 

그래파이트

128GB: 7~10일

256GB: 7~10일

512GB: 7~10일

 

골드

128GB: 2~3주

256GB: 2~3주

512GB: 7~10일

 

아이폰 12 프로 맥스의 재고상황을 보면 실버색상 512GB만 출시일에 맞춰서 배송이 가능하며 나머지 모델들은 최소 7일에서 10일정도 기다려야 수령이 가능한 것으로 파악 되었습니다. 

 

아이폰 12 미니 사전주문 시 대기 시간

화이트

64GB: 11월 13일

128GB: 11월 13일

256GB: 7~10일

 

블랙

64GB: 11월 13일

128GB: 11월 13일

256GB: 7~10일

 

블루

64GB: 11월 13일

128GB: 11월 13일

256GB: 11월 13일

 

그린

64GB: 11월 13일

128GB: 11월 13일

256GB: 5~7일

 

(PRODUCT) RED

64GB: 11월 13일

128GB: 11월 13일

256GB: 11월 13일

 

아이폰 12 미니의 경우 256GB옵션은 PRODUCT(RED)를 제외한 모든 모델은 최소 5일 이상 기다려야 하는 것으로 파악되었고 나머지 옵션은 출시일에 맞춰서 수령이 가능한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아이폰 12 프로 맥스 / 아이폰 12 미니 수령 예상 시간

11월 8일 미국 애플 스토어 기준으로 보면 전체적으로 아이폰 12 미니의 경우 재고가 있어 출시일에 맞춰서 구매할 수 있는 확률이 높지만 아이폰 12 프로 맥스의 경우 출시일에 맞춰서 물량을 구하기 힘들어 보입니다.

때문에 올해 아이폰 12 시리즈를 구매하실 예정이신 분들은(특히 아이폰 12 프로 맥스) 1초라도 빨리 사전주문 탭이 활성화되는 순간 구매를 해야 빠르게 받아서 사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만약, 국내가 아니라 해외직구로 아이폰 12 시리즈를 구매하실 분이 있으면 밑에 국가별 아이폰 12 시리즈 모델넘버를 정리한 글을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visiontech.tistory.com/64

 

아이폰 12 시리즈 국가 별 모델 정보 (직구시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애플이 출시한 아이폰 12 시리즈의 국가 별 모델넘버에 대해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 많은 분들이 국내에서 아이폰 구매를 시도하시다가 대기가 길

visiontech.tistory.com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5번째로 배당금으로 생활비 벌기 프로젝트 상황을 공유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020년 7월 8일에 처음으로 제가 보유하고 있는 종목, 투자 기준, 그리고 다달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기반으로 매달 얼마의 배당금을 받을 수 있는지 알아봤었고 변동사항이 있을때 마다 업로드를 하고 있습니다^^

 

9월, 10월 동안은 미국 대선, 대주주 요건 등의 소식으로 순자산이 감소하였지만

11월부터 다시 자산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2014년~2020년 11월 현재 순자산&수익률

최근 1년기준 순자산, 수익 (출처: 미래에셋대우 어플)

 

2020년 11월 8일 보유 주식 & 배당금

 

1. 삼성전자 - 800주

2. 애플 - 275주

3. 스타벅스 - 110주

4. 코카콜라 - 170주

5. 구글 - 10주

6. 테슬라 - 100주

최근 원/달러 변동 때문에 환율을 적용하면 미국 배당금이 줄어들었지만 ㅠㅜ

꾸준한 주식 매수를 통해 현재까지 투자수익으로 생활비 벌기 프로젝트가 순조롭게 진행시키고 있습니다~^^

연간 배당금, 월 평균 배당금 계산

 

 

현재 포트폴리오로 월 159,948원이 배당소득으로 들어오고 있으며, 복리효과를 최대한 누리고자 모든 배당금은 주식매수에 재투자하는 중이며, 11월은 삼성전자, 스타벅스 그리고 애플의 배당금이 나오는 달로 배당재투자 금액이 크기 때문에 11월 애플 이벤트와 삼성전자 주가 추의를 봐서 국내/해외 투자비율을 조정할 계획입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드디어 기다리고 기더리던 월급날이 왔고~투자원칙에 따라 월급의 50% 이상을 주식매수에 사용을 하기 위해

2020년 11월 5일 미국장이 열리자고 나서 현재 보유중인 애플 5주와 코카콜라 주식 20주를 추가매수 하였습니다~^^

애플은 주당 $117.4에 매수를 하였고, 코카콜라는 주당 $49.83에 매수를 하였는데

2020년 11월 6일 기준으로 애플은 주당 $118.69이며 배당률은 0.69%이고

코카콜라는 주당 $49.45이며 배당률은 3.32%입니다.

에니웨이~

이번 추가 매수로 제 포트폴리오에 애플은 275주, 그리고 코카콜라는 170주로 늘어났으며 주가가 상승하면 이익이 증가를 할 것이며(주가가 하락하면 ㅠㅜ) 늘어난 보유량만큼 배당금도 늘어남으로 다음 분기 배당금 수령이 기다려 집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애플이 출시한 아이폰 12 시리즈의 국가 별 모델넘버에 대해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

많은 분들이 국내에서 아이폰 구매를 시도하시다가 대기가 길어서 해외직구를 고려하실텐데요~

여태까지 미국, 일본, 홍콩 등의 지역에서 직구를 많이 하셨을텐데 아이폰XS 부터 국내에 출시한 아이폰 모델넘버가 다르면 서비스에 제한이 있다는 소식이 있었습니다.

 

해서, 아이폰12의 경우 어떻게 될지 아직 파악되지 않았지만 애플 홈페이지에서 확인한 정보를 말씀드리겠습니다.

1. 아이폰 12 프로 / 아이폰 12 프로 맥스 모델넘버

아이폰 12 프로, 아이폰 12 프로 맥스 대한민국 모델넘버 (출처: 애플 홈페이지:  https://www.apple.com/kr/iphone/cellular/#iphone-12-pro-max )

 

국내용 아이폰 12 프로와 아이폰 12 프로 맥스의 모델넘버는 A2407(프로)와 A2411(프로 맥스)로 상당히 많은 국가에 같은 모델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만약 같은 모델넘버의 아이폰을 구매하실 계획이시면 위 국가 중 하나를 골라서 진행을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아이폰 12 프로, 아이폰 12 프로 맥스 미국 모델넘버 (출처: 애플 홈페이지:  https://www.apple.com/kr/iphone/cellular/#iphone-12-pro-max )

 

미국에서 판매하는 아이폰 12 프로의 모델넘버는 A2341이며 아이폰 12 프로 맥스의 모델넘버는 A2342로 미국에서만 판매하고 있습니다.

이유는 미국에서 판매하는 아이폰에만 mm 5G기능이 탑제가 되서인것 같습니다.

 

아이폰 12 프로, 아이폰 12 프로 맥스 케나다, 일본 모델넘버 (출처: 애플 홈페이지:  https://www.apple.com/kr/iphone/cellular/#iphone-12-pro-max )

 

케나다와 일본에서 판매하는 아이폰 12 프로의 모델넘버는 A2406이며 아이폰 12 프로 맥스의 모델넘버는 A2410입니다.

 

 

2. 아이폰 12 / 아이폰 12 미니 모델넘버

 

아이폰 12, 아이폰 12 미니 대한민국 모델넘버 (출처: 애플 홈페이지:  https://www.apple.com/kr/iphone/cellular/#iphone-12-pro-max )

 

국내용 아이폰 12와 아이폰 12 미니의 모델넘버는 A2403(아이폰12)와 A2399(미니)로 아이폰 12 프로라인과 같이 상당히 많은 국가에 같은 모델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만약 같은 모델넘버의 아이폰을 구매하실 계획이시면 위 국가 중 하나를 골라서 진행을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아이폰 12, 아이폰 12 미니 미국 모델넘버 (출처: 애플 홈페이지:  https://www.apple.com/kr/iphone/cellular/#iphone-12-pro-max )

 

미국에서 판매하는 아이폰 12의 모델넘버는 A2172이며 아이폰 12 미니의 모델넘버는 A2176로 미국에서만 판매하고 있습니다.

이유는 미국에서 판매하는 아이폰에만 mm 5G기능이 탑제가 되서인것 같습니다.

 

아이폰 12, 아이폰 12 미니 케나다, 일본 모델넘버 (출처: 애플 홈페이지:  https://www.apple.com/kr/iphone/cellular/#iphone-12-pro-max )

 

케나다와 일본에서 판매하는 아이폰 12의 모델넘버는 A2402이며 아이폰 12 프로 맥스의 모델넘버는 A2398입니다.

 

 

이상으로 국가별 아이폰 12 시리즈의 모델넘버를 확인해 보았습니다~^^

알아보기 전에 일본, 홍콩 중 한 곳은 한국과 같은 모델넘버가 있을 줄 알았는데 생각보다 상대적으로 친숙한 곳과 겹치는 곳이 많이 없는 것 같습니다.

해서, 직구를 하시는 분들께서는 구매전 위 정보를 확인해 보시고 결정을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10월 26일에 애플 11월 이벤트 날짜와 예상 발표 제품관련 루머들을 정리하였는데 오늘 아침에 일어나서 확인해보니 11월 10일 (한국시간 :11월 11일 새벽3시)에 진행하는 것을 공식 발표하였습니다~^^

애플 11월 이벤트 (출처: 애플 홈페이지:  https://www.apple.com/apple-events/ )

전 포스팅에서 언급하였듯이 이번 이벤트에는 애플실리콘이 탑제된 애플 컴퓨터가 매인으로 발표가 될 확률이 높으며, 루머로 많이 언급되어 왔던 애플테그가 다뤄질 확률이 있으며 자세한 사항은 전에 포스팅 했던 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visiontech.tistory.com/58

 

애플 11월 이벤트 루머 정리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0년 11월 애플 이벤트 루머들을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애플은 2019년까지 이벤트를 보통 3월, 9월 그리고 가끔 10월에 개최해서 차세대 하드웨어,

visiontech.tistory.com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애플에서 발표한 에어팟 프로 서비스 프로그램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0년 10월 30일에 애플이 사운드 문제가 있는 에어팟 프로를 대상으로 서비스 프로그램을 발표했습니다.

이 서비스 프로그램에 해당되는 제품은 2020년 10월 전에 제조된 에어팟 프로이며 만약 다음 중 한가지 이상의 문제가 있다면 무상으로 교체 받으실 수 있습니다.

 

1. 시끄러운 환경에서 운동 중이나거나 통화 중에 날카로운 소리 또는 잡음이 커짐

2. 노이즈 캔슬링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 하지 않음 (베이스 사운드가 들리지 않거나 길거리 또는 비행기 소리 같은 백그라운드 소리가 커짐)

에어팟 프로 교체 그프로그램 (출처: 애플 홈페이지,  https://support.apple.com/ko-kr/airpods-pro-service-program-sound-issues )

 

 

해당 문제는 제조상의 문제이기 때문에 소프트웨어나 리셋 방법으로 해결이 되지 않기 때문에 서비스 프로그램을 진행을 하는 것 같으며

애플 홈페이지에는 명시가 되어 있지 않지만, 만약 노이즈 캔슬링을 사용중에 ”딱딱”거리는 소리나 “지지직”소리가 난다면 이역시 제품제조상의 문제로 발생된 현상일 확률이 높음으로 확인 후 무상으로 교체를 하시면 됩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