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1년 맥북프로 루머를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애플루머에 정통한 밍치궈에 의하면 약 5년 동안 유지되었던 맥북프로 디자인이 아닌, 새로운 디자인이 적용된 맥북프로가 출시될 것이라고 하였습니다.

이번에 공개한 루머의 변경내용은

1. 이번에 새롭게 적용될 디자인은 아이패드 프로와 아이폰 12 시리즈에 적용된 사각형 디자인이 적용

2. 2019년 15인치 맥북프로에서 16인치로 변경이 되었던 것처럼, 맥북프로 13인치도 14인치로 변경

3. 맥북프로 라인에 있던 터치바가 없어짐

4. MagSafe 충전기가 부활

5. USB-C포트 외에 다른 포트가 포함

입니다.

출시시기는 2021년 3분기 정도이며, 새로운 애플 실리콘 (M1X 혹은 M2)이 탑제될 것이라 예상이 되고 있습니다.

2021 맥북프로 예상 디자인 루머 (출처: AppleTrack)
2021 맥북프로 예상 이미지 (출처: ZONEofTECH)

 

2021 맥북프로 예상 이미지 (출처: ZONEofTECH)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현재까지 거론된 에어팟 3세대, 에어팟 프로 2세대 관련 루머들을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루머들을 말씀드리기 앞서 2021년 상반기에 이 두 제품이 출시될 가능성이 높다고 여러 매체에서 보도를 하고 있는 만큼, 구매를 고민하고 있으시면 기다리시는 것을 생각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에어팟 3세대 관련 루머

 

2020년 2월 11일에 DigiTimes에서 보도된 내용에 따르면 애플이 에어팟 프로 라이트를 제작하고 있다고 하였으며, 현재 에어팟 프로와 비슷한 디자인이지만 노이즈켄슬링 기능이 빠진 제품인 것으로 예상하였습니다.

에어팟 프로 라이트 루머 (출처: DigiTimes)

 

그러고 나서 4월에 에어팟 프로 라이트가 에어팟 3세대인 것으로 보도가 되기 시작했으며, 코로나 사태로 인해 출시일이 2020년 하반기 혹은 2021년 상반기로 연기가 되었다고 보도되었으며

새로운 에어팟 관련 루머 (출처: Digitimes)

 

애플 루머에 정통한 밍치궈 또한, 에어팟 3의 디자인이 에어팟 프로와 비슷하다고 하였고, 2021년 상반기에 출시 될 것이라 예상을 하였습니다.

 

밍치궈 에어팟3 예상 (출처: 9to5mac)

 

제가 조사해본 결과, 에어팟 3세대 디자인 유출?사진으로 추정되는 이미지를 52audio에서 공개하였으며, 디자인을 보면 현재 에어팟 프로의 모양과 비슷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참고로, 52audio는 에어팟 프로가 출시되기 전에 이미지를 공개한 이력이 있으며 다른 매체에서 예상하는 내용과 일치하기 때문에 개인적으로는 상당히 신뢰하고 있습니다.

 

에어팟 3세대 유출 이미지 (출처: 52audio)

 

또한, Mr.White은 에어팟 부품으로 추정되는 이미지를 공개하였는데 색상이 블랙인 것으로 보아 에어팟에 색상 옵션이 생길 가능성도 있는 것 같습니다.

블랙 에어팟 부품 추정 이미지 (출처: Mr.White)

 

해당 내용들을 정리해보면~

에어팟 3세대는 에어팟 프로 1세대 디자인을 계승하지만 손잡이?부분이 짧아지며 블랙색상 옵션이 있을 수 있으며, 노이즈 켄슬링 기능은 탑제가 안될 가능성이 높으며, 출시시기는 2021년 상반기(4월)일 확률이 높은 것 같고 가격은 $199로 예상이 되고 있습니다.

 

에어팟 3세대 디자인, 가격 루머 (출처: AppleTrack)

 

에어팟 프로 2세대 관련 루머

 

에어팟 프로 2세대 관련 루머의 경우 에어팟 3세대에 비해 거론되는 것이 많지가 않은 것 같습니다만...

이번에 애플이 에어팟 3세대 디자인을 현재 에어팟 프로와 비슷하게 업그레이드를 한다면, 에어팟 프로의 디자인 또한 변경이 될 확률이 높은데, AppleTrack에서 에어팟 프로 2세대 디자인이 겔럭시버드 같이 디자인이 변경이 되며 내부칩이 업그레이드 될 것이라 예상하였습니다.

에어팟 프로 2세대 관련 루머 (출처: AppleTrack)

애플 루머에 정통한 Mark Gurman은 에어팟 프로 2세대에 손잡이?부분이 없어질 수 있으며 H2?칩으로 업그레이드 되며 2021년에 출시 될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하였습니다.

 

에어팟 프로 2세대 관련 예상 (출처: Mark Gurman)

 

그 외 많은 매체에서 에어팟 프로 2세대 출시시기를 2021년 4월로 예상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개인적으로는 에어팟 프로 2세대와 에어팟 3세대를 4월에 동시에 출시할 가능성이 높은 것 같습니다.

 

에어팟 프로 2세대 출시시기 루머 (출처: Mac Otakara)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1년 첫번째 배당금으로 생활비 벌기 프로젝트 상황을 공유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020년 7월 8일에 처음으로 제가 보유하고 있는 종목, 투자 기준, 그리고 다달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기반으로 매달 얼마의 배당금을 받을 수 있는지 알아봤었고 변동사항이 있을때 마다 업로드를 하고 있습니다^^

코로나가 발병하던 시기인 2020년 2월과 3월 그리고 9월, 10월 동안은 미국 대선, 대주주 요건 등의 소식으로 순자산이 감소하였지만 2020년 11월부터 현재까지 자산이 증가하고 있고

국내의 경우 코스피 3000을 돌파하고 삼성전자와 삼성전자우가 불이 붙으면서 이익이 꾸준히 늘어나고 있습니다^^

2014년 1월 ~ 2021년 1월 순자산&수익률

최근 1년기준 순자산, 수익 (출처: 미래에셋대우 어플)

 

2021년 1월 8일 보유 주식 & 배당금

1. 삼성전자 - 800주

2. 삼성전자우 - 30주

3. 애플 - 280주

4. 스타벅스 - 110주

5. 코카콜라 - 185주

6. 구글 - 10주

7. 테슬라 - 100주

12월 월급날 삼성전자우를 신규편입을 하고난 후 꾸준하게 매달 매수를 진행을 하면서

현재까지 투자수익으로 생활비 벌기 프로젝트가 순조롭게 진행시키고 있습니다~^^

연간 배당금, 월 평균 배당금 계산​

 

월간 배당금 history 그래프

현재 포트폴리오로 월 164,461원이 배당소득으로 들어오고 있으며

제가 블로그에 배당금 내역을 기록한지 약 7개월 동안 평균 월간 배당금이 10,000원이 증가하여

배당금 증가 속도는 느리게 느껴지지만 복리효과를 최대한 누리고자 모든 배당금은 주식매수에 재투자하는 중입니다.

개인적으로는 현재 주식시장이 상승장이기 때문에 어느순간부터 높은 이익을 보는 것이 당연하게 생각이 들때가 있는데

모든 자산이 계속 올라갈 수는 없다는 사실을 매일매일 생각하고 이성적으로 판단을 하려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2021년부터는 제 월급의 50%이상을 투자하는 것은 변함이 없으나

모든 돈을 주식으로 매수하기보다는 현금비중을 늘리는 것으로 변수를 대항하려고 합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0년 투자내역과 결과가 어떻게 됬는지 정리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2020년은 다시 생각해보면 정말 많은 일들이 있었고 코로나 때문에 지옥과 천국을 왔다갔기 때문에 저만의 투자원칙이 없었다면 최악의 상황까지 갈 수도 있었지만...다행히도 운이 좋아서 올 한해는 매우 성공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visiontech.tistory.com/11

 

배당금으로 생활비 벌기 프로젝트~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는 제가 약 4년부터 진행 중인 배당금으로 생활비 벌기 프로젝트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재테크에 관심이 많으신 분들이라면 너무나 잘 아시겠지

visiontech.tistory.com

 

에니웨이~

2020년 제가 어떤 투자를 하였고 결과가 어떻게 되었는지 정리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존 부유 종목 & 추가 투자 종목

2020년 1월1일 기준 제가 부유했던 종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2020년 1월1일 기준 자산

1. 삼성전자: 850주

2. 애플: 35주 (액면분할 후 140주)

3. 알파벳A(구글): 8주

4. 테슬라 30주 (액면분할 후 150주)

 

2020년 1월1일 제 자산의 평가금액은 86,384,814원이였으며, 

2020년 1월1일 대비 2020년 12월 31일 기준 제가 보유했던 종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2020년 12월 31일 기준 자산

 

1. 삼성전자: 850주 -> 800주 <-50주>

2. 삼성전자우: 20주 <+20주>

3. 애플: 280주 <+140주>

4. 알파벳A(구글): 10주 <+2주>

5. 코카콜라: 185주 <+185주>

6. 스타벅스: 110주 <+110주>

7. 테슬라 100주 <-50주>

 

2020년 12월 31일 기준으로 제 자산의 평가금액은 225,303,679원이며

한해동안 국내주식으로 삼성전자를 50주 매도 후 해외주식을 매수하였으며

신규편입으로 삼성전자우 20주를 매수하였습니다.

 

해외주식은 애플, 구글 주식을 추가로 매수하였으며, 신규편입으로 코카콜라, 스타벅스를 매수하였습니다.

테슬라의 경우 코로나 사태 전 주당 약 $900(액면분할 전)당시 원금회수를 목적으로 10주를 매도 후 해외주식 매수에 사용을 하였습니다.

 

이때 제가 테슬라를 매도하지 않았다면 더 큰 수익을 올릴 수 있었으나, 이미 매도당시 원금대비 약 2.5배 상승을 하였던 구간이기도 하였으며 앞일이 어떻게 될지 몰라 원금회수와 신규매수 목적으로 매도를 했습니다.

(이미 원금을 확보하였었기 때문에 일년동안 편안한? 마음으로 테슬라를 지켜볼 수 있었습니다 ^^a;;) 

 

 

2020년 투자 수익률 & 월별 평균 매수 금액

2020년 12월 31일 기준 자산(왼), 2020년 투자 수익률(오)

 

2020년은 정말 운이 좋게도 수익률은 111.23%를 기록하였으며, 원금이 2배 이상 불어났습니다^^

 

결과론적으로는 2020년 동안 무난하게 행복하기만 했을 것 같지만... 

코로나 사태 초기인 2월과 3월에는 제 자산이 저 세상으로 가는 모습을 보면서 버티는 것이 힘들었습니다ㅠㅜ

2020년 2월~2021년1월1일 자산 변동

 

제 투자원칙은 매달 월급의 50% 이상을 월급날 혹은 주간 단위로 꾸준하게 주식을 매수하는 것입니다.

하여, 제 월급이 세후 약 290만원이기 때문에 150만원 이상을 투자하는 것에 집중하였으며

용돈, 보너스 그리고 추가 수입(배당금, 용돈 등)이 있는 경우 전부 주식투자에 사용을 하였습니다. 

 

투자금 입금 내역 (2020년 월별)

 

2020년 1월부터 12월까지 월급의 50%이상과 추가수입 그리고 기타자산에 투자되었던 자산을 처분하고 투자에 총 26,475,000원을 추가투자하였으며 월간 약 220만원어치의 주식을 매수하였습니다^^

 

2021년 투자 계획

2021년에도 전 월급의 50%와 기타 소득들을 투자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계획입니다.

다만, 여태까지 제 포트폴리오에 현금성 자산이 없었기 때문에, 2021년에는 월급의 50% 중 일부를 주식투자에 사용하고 나머지를 현금으로 비축해서 현금비중을 확보를 할 계획입니다.

 

종목의 경우 당연히 시장상황을 살펴서 유동적으로 변경을 하겠지만 적어도 2021년 1분기 동안에 매수를 한다면

국내의 경우 삼성전자우를 매수할 것이며 미국주식의 경우 애플 혹은 코카콜라 주식을 매수를 할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오늘도 지친몸을 이끌고 집에 와서 멍때리면서 이것저것 인터넷 서핑을 하다가...

애플이 기습적으로 홈페이지 리프레쉬를 통해 새로운 해드폰인 에어팟 프로를 출시한 것을 확인했습니다 ^^a;;;;;

AirPods Max 이미지 (출처: 애플,  https://www.apple.com/kr/airpods-max/ )

제가 아는한 애플의 "에어팟" 브랜드 이름으로 처음으로 출시하는 해드폰인데요~

일단 여러분들이 가장 궁금해 하실 가격부터 집고 넘어가자면...

애플스러운 가격인 719,000원입니다~~~~~

AirPods Max 가격 (출처: 애플,  https://www.apple.com/kr/airpods-max/ )

에어팟 프로는 스페이스 그레이, 실버, 그린, 스카이 블루, 핑크로 총 5가지 색상옵션이 있고

애플로고가 없는 디자인이며 신기하게 애플워치에 있는 디지털크라운이 포함되어 있어 정밀한 음향조절, 트랙전환, 전화통화 그리고 시리호출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또한, 소음 제어 버튼을 누르면 주면음 허용모드로 전환이 되서 외부소리르 그대로 들을 수 있는 기능이 있는 것으로 발표되었습니다

AirPods Max 이미지 (출처: 애플,  https://www.apple.com/kr/airpods-max/ )

 

애플 제품이 음향이 좋기로 소문난 맛집? 이기 때문에 소리를 들어보지 않았지만 당연히 좋을 것으로 예상이 되며

(70만원이 넘는 해드폰이니 당연히 음질은 좋아야 한다고 생각됩니다 ㅡㅡa;;;;)

에어팟 프로에 있는 노이즈 캔슬링 기능 또한 포함이 되어 있습니다.

 

현재 미국에서는 에어팟 프로의 판매가 시작이 되었지만...

안타깝게도?? 우리나라에서는 출시일이 정해지지 않은 상황입니다만, 연말 특수를 노린다면 조망간 출시를 할 가능성이 높지 않을까 예상이 됩니다.

정말 애플다운 살인적인 가격으로 출시가 된 제품이라...

얼마나 많은 분들이 구매를 하실지는 모르겠으나 이어폰이 아닌 해드폰 구매를 생각하신 분들이라면 한번쯤 고려?를 해보실만한 제품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6번째로 배당금으로 생활비 벌기 프로젝트 상황을 공유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020년 7월 8일에 처음으로 제가 보유하고 있는 종목, 투자 기준, 그리고 다달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기반으로 매달 얼마의 배당금을 받을 수 있는지 알아봤었고 변동사항이 있을때 마다 업로드를 하고 있습니다^^

https://blog.naver.com/vision0752/222138765682

 

배당금으로 생활비 벌기 프로젝트~(4)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이번 글에서는 5번째로 배당금으로 생활비 벌기 프로젝트 상황을 공유...

blog.naver.com

9월, 10월 동안은 미국 대선, 대주주 요건 등의 소식으로 순자산이 감소하였지만

11월부터 다시 자산이 증가하고 있고

국내의 경우 그 동안 잠잠했던 삼성전자가 불이 붙으면서 이익이 더 증가하였습니다^^

올해 12월이 저에게 매우 특별한 달이였는데 그 에유는 드디어 제 순자산이 2억을 돌파했기 때문입니다^^

제가 1억을 모으기 따지 약 5~6년이 걸렸는데 정말 올해 운이 좋아서 약 10~11개월 만에 순자산이 1억이 증가하였습니다~^^

2014년~2020년 12월 현재 순자산&수익률

 

최근 1년기준 순자산, 수익 (출처: 미래에셋대우 어플)

 

2020년 12월 8일 보유 주식 & 배당금

 

1. 삼성전자 - 800주

2. 삼성전자우 - 10주

3. 애플 - 280주

4. 스타벅스 - 110주

5. 코카콜라 - 180주

6. 구글 - 10주

7. 테슬라 - 100주

12월 월급날 삼성전자우를 신규편입을 하였고

최근 원/달러 변동이 더 심해지면서 원화 기준으로 미국 배당금이 줄어들었지만 ㅠㅜ

꾸준한 주식 매수를 통해 현재까지 투자수익으로 생활비 벌기 프로젝트가 순조롭게 진행시키고 있습니다~^^

연간 배당금, 월 평균 배당금 계산​

 

현재 포트폴리오로 월 160,032원이 배당소득으로 들어오고 있으며 (배당금 증가 속도가 늦네요...ㅠㅜ)

복리효과를 최대한 누리고자 모든 배당금은 주식매수에 재투자하는 중이며,

12월은 코카콜라에서 배당금이 나올 예정이기 때문에 배당금과 약간의 현금을 합쳐서 12월 중순에 추가 매수를 할 계획입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저번주 월급날에 코카콜라 주식 10주를 매수하고 나머지 금액으로 삼성전자우와 애플 주식 중 어느 종목을 매수할지 고민을 했었는데...

고민 끝에 애플주식을 매수하기로 결정해서 장 초반에 1주당 $124로 5주를 매수하였습니다^^

 

 

이번 추가매수로 제가 보유하고 있는 애플주식은 총 280주로 되었고

2020년 12월 8일 현재 기준으로 60.52%의 수익을 얻고 있습니다~^^

 

 

현재 애플주가는 주당 $123.75이고 배당률은 0.67%로 배당금이 매우 작아보일 수는 있겠지만 올해 애플주식이 약 2배 상승한 효과로 인해 배당률이 낮아졌습니다. (뷴기기준으로 애플 주식 $0.205의 배당금이 지급됩니다^^)

다른 종목도 마찬가지지만 애플 주식을 계속 꾸준히 매수를 할 계획이며

최근 애플주식을 집중적으로 매수한 이유는 애플 실리콘 때문인데 첫 애플 실리콘이 탑제된 맥 미니, 맥북에어, 맥북 프로 13인치의 후기를 보면 앞으로 기대가 많이 되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애플이 진행하고 있는 아이폰 11 디스플레이 모듈 교체 프로그램에 관해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이폰 11 디스플레이 모듈 교체 프로그램 (출처: 애플, https://support.apple.com/ko-kr/iphone-11-display-module-replacement-program)

 

애플에서 발표한 내용을 살펴보면 

 

Apple에서는 iPhone 11 디스플레이 모듈의 문제로 인해 극히 일부의 iPhone 11 디스플레이가 터치에 반응하지 않을 수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해당되는 기기는 2019년 11월에서 2020년 5월 사이에 제조되었습니다.

사용 중인 iPhone 11에서 해당 문제가 발생한 경우, 아래 일련 번호 검사기를 사용하여 기기가 이 프로그램의 적용 대상인지 확인하십시오. 대상으로 확인된 경우, Apple 또는 Apple 공인 서비스 제공업체에서 무상 서비스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입니다. 즉, 지금 사용하고 계시는 아이폰11이 이번 디스플레이 모듈 교체대상인지 확인하여면 일련번호 검가시를 사용하시면 되며, 밑의 링크를 통해 확인을 하시면 됩니다.

 

https://support.apple.com/ko-kr/iphone-11-display-module-replacement-program

 

터치 문제가 있는 iPhone 11 디스플레이 모듈 교체 프로그램 - Apple 지원

이 정보를 제출하려면 브라우저에서 JavaScript를 활성화해 주십시오. 국가 또는 지역을 선택해 주십시오 Albania Asia Australia Bahrain البحرين België Belgique Brasil България Canada (English) Canada (França

support.apple.com

 

아이폰 11의 일련번호를 확인하는 방법은 

 

제품박스를 가지고 계시면 뒷부분에 일련번호 정보확인하셔서 일련번호를 조회하시거나

아이폰에서 "설정" -> "일반" -> "정보" -> 일련번호 확인 순으로 확인 후 일련번호를 조회하시면 됩니다 ^^

 

 

아이폰 일련번호 조회 방법

 

아이폰 11 디스플레이 모듈 교체 프로그램 일련번호 조회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최근 저에게 소비자 입장에서는 반가운 소식이지만 투자자 입장에서는 부정적인 소식이 있었는데

그것은 바로 애플 앱스토어 수수료 인하 결정입니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애플이 수수료를 인하하는 만큼 앱 스토어에서 결제하는 금액이 적어질 확률이 크지만 

투자자 입장에서는 앱 스토어 매출이 반영되어 있는 서비스 분야의 매출이 감소할 것이기 때문에 참 애매한 이슈입니다;;;;

 

앱 스토어 수수료 인하 공지 (출처: 애플 홈페이지,  https://www.apple.com/kr/newsroom/2020/11/apple-announces-app-store-small-business-program/ )

 

 

2020년도 하반기에 소히 말하는 빅테크 중 구글의 플레이 스토어와 애플의 앱 스토어의 수수료 이슈가 공론화? 된 계기는 대형 게임사의 Epic Games가 애플에 소송이였는데요...

구글과 애플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투자자 입장으로서 

두 기업이 어떻게 이 이슈를 해결해 나갈지 관심있게 지켜보고 있었는데 애플에서는 수수료 인하를 결정하였습니다.

 

이번 중소 규모 개발사 지원 프로그램은 2021년 1월 1일부터 적용이 될 예정이며 

모든 개발자/회사가 수수료 인하 해택을 보는 것이 아닌 연간 매출 100만 달러(약 11억원) 이하의 "중소 규모 개발사"에게 적용된다고 하며 세부 정보는 12월 초에 공개될 예정인 가운데 핵심적인 사항은 명시가 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앱 스토어 중소 규모 개발사 지원 프로그램 핵심 사항 (출처: 애플 홈페이지,  https://www.apple.com/kr/newsroom/2020/11/apple-announces-app-store-small-business-program/ )

 

 

애플 수수료 감소에 의한 매출 감소 예상

자~그럼 이번 앱 스토어 수수료 인하로 인해 실질적으로 애플의 매출에 얼마나 영향이 갈지 확인을 해보겠습니다.

 

일단 2020년 10월 30일에 발표된 애플 4분기 실적발표를 보면 애플 CEO 팀쿡은 

"Apple은 Mac 및 서비스 부분에서 기록한 역대 최대 매출에 힘입어 4분기 매출 기록을 세웠다"

라고 언급하였습니다.

 

애플 4분기 실적발표 (출처: 애플 홈페이지,  https://www.apple.com/kr/newsroom/2020/10/apple-reports-fourth-quarter-results/ )

 

즉, 애플의 매출 성장세에 서비스 부분이 중요한 역활을 했다는 것이며 

앱 스토어 수수료 인하로 인해 서비스 부분에 타격이 가면, 전체 매출에 영향을 미친다는 뜻입니다.

 

애플 4분기 보고서 중 (출처: 애플 홈페이지,  https://www.apple.com/newsroom/pdfs/FY20_Q4_Consolidated_Financial_Statements.pdf )

 

애플 4분기 보고서를 보면 서비스 부분 매출은 537억 달러로 한화로 약 60조로 엄청난 규모입니다.

서비스 부분은 앱 스토어, 애플 케어서비스, iCloud, apple TV+ 등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수수료 인하로 얼마나 영향이 갈지 알기 위해서는 앱 스토어 매출이 서비스 부분에 차지하는 비중을 알아야 하지만... 

안타깝게도 보고서에 명시가 되어 있지 않았습니다.

(혹시 제가 놓쳤다면 댓글에 알려주세요^^a;;;;)

 

나금 구굴링으로 찾아본 결과, 앱 스토어 매출이 서비스 부분에 차지하는 비중과 전문가의 예상은 Bloomberg에서 보도를 했는데요~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0-11-18/apple-to-cut-app-store-fees-in-half-to-15-for-most-developers?utm_campaign=news&utm_medium=bd&utm_source=applenews

 

Bloomberg - Are you a robot?

We've detected unusual activity from your computer network To continue, please click the box below to let us know you're not a robot.

www.bloomberg.com

 

보도 내용에 따르면, Sanford C Berstein의 에널리스트인 Toni Sacconaghi는 2021년에 앱 스토어의 매출은 약 187억 달러로 서비스 부분 매출의 약 1/3에 해당할 것이라 예상을 했는데

이 예측이 정확하다면 2020년 서비스 부분 매출인 약 60조원 중에서 약 20조원이 앱 스토어 매출이란 결론이 나옵니다;;;;;

 

또한, 앱 스토어 데이터 tracking하는 Sensor Tower에서는 이번 수수료 인하의 해택을 받는 개발자/회사 비중은 전체 개발자/회사 중 약 98%로 대부분이 해택을 받는 것으로 예상을 하고 있습니다.

 

즉 이 모든 예상이 맞다면

1. 애플은 2020년 앱 스토어 매출로만 20조원을 벌었으며

2. 20조원의 매출을 발생시킨 개발자/회사의 약 98%가 2021년에 30%에서 15% 수수료 인하 해택을 받는다

입니다.

 

그럼 만약 올해와 같은 상황이라면 애플이 2021년에 앱 스토어 매출이 20조원에서 10조원으로 줄어드느냐가 질문인데,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아닐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 이유는, 다름이 아닌 "승자 독식 현상" 때문입니다.

승자 독식 현상은 다른 말로 해석하면 부익부 빈익빈인데 상위 구룹이 대부분을 독식하는 현상으로 여러 분야에서 확인 할 수 있는 현상입니다.

좀 오래되긴 했지만...2016년 1분기에 SensorTower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앱 스토어의 상위 1% 개발자/회사가 전체 앱 스토어 매출에 94%를 차지한다고 하는 것으로 봐서는

애플이 수수료 인하 정책은 언론의 집중포화를 잠재우면서 최대한 매출타격을 피하려는 것 같습니다. 

 

앱 스토어 개발자 간 매출 비중 (출처: SensorTower)

 

Cross Research 에널리스트인 Shannon Cross는 수수료 인하로 약 600만 달러 (약 6700억원) 정도 줄어들 것으로 예상을 하였고

Loup Ventures의 Gene Munster는 약 16억 달러 (약 1.78조원) 또는 전체 애플 매출의 0.5%정도의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을 하였습니다.

 

즉, 현재 시장에서는 앱 스토어 수수료 인하로 인한 애플의 매출타격은 있으나 거의 없다라고 예측을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예측은 애플 투자자 입장에서 매우 다행?스러운 부분인 것 같지만 지속해서 모니터링을 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마지막으로 최근 애플의 수수료 인하로 국내 언론사들이 구글을 겨냥해서 수수료 인하에 관련된 뉴스를 보도하고 있는데... 

제 예상으로는 구글이 수수료 인하를 결정하더라도 수수료 인하 해택을 받는 구룹을 잘 선정해서 매출타격이 많이 가지 않는 선에서 진행할 확률이 높을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 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번달에 발표한 애플 실리콘(M1)이 탑제된 맥북에어/맥북프로/맥미니에서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확인하는 사이트를 말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최근 애플이 발표한 맥북에어/맥북프로/맥미니는 기존 인텔/AMD가 사용하는 X86기반의 CPU가 탑제된 노트북이 아니라 ARM기반의 CPU가 탑제되었기 때문에 기존에 사용하는 소프트웨어가 작동이 안한다는 큰 리스크가 존재하고 있습니다.

물론, 이러한 현상을 완화시키기 위해 애플에서는 대표적으로 Rosetta 2라는 소프트웨어를 통해 기존 X86기반의 소프트웨어를 자연스럽게 애플 실리콘이 탑제된 맥 제품에서 구동을 할 수 있게 했지만, 100% 호환이 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많은 분들이 새로운 맥북에어/맥북프로/맥미니를 구매해야 하는지, 기존에 사용하는 소프트웨어를 그대로 사용이 가능한지 고민을 하고 계시리라 생각됩니다.

이러한 고민이 있으신 분들을 위해 여러 매체/개인이 저마다 테스트한 결과를 공유하고 있으며 밑에 정리를 하였습니다.

(하기 링크들은 유명 애플 관련 보도매체인 9to5mac에서 발표한 내용에 있는 링크입니다)

 

1. M1과 호환되는 게임 리스트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er-NivvuIheDmIKBVRu3S_BzA_lZT5z3Z-CxQZ-uPVs/edit#gid=0

 

개발자이면서 디자이너인 Thomas Schranz가 google doc에 업로드한 엑셀형태의 데이터 베이스입니다.

게임리스트, FPS, 세팅, Rosetta 2 제원여부 등의 정보가 기록되어 있습니다.

 

애플 실리콘과 호환되는 게임 리스트 (출처: 9to5mac,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er-NivvuIheDmIKBVRu3S_BzA_lZT5z3Z-CxQZ-uPVs/edit#gid=0 )

 

 

2. M1과 호환되는 소프트웨어 리스트 

https://isapplesiliconready.com

 

Is Apple Silicon ready ?

Ultimate guide for macOS apps that are Apple silicon (M1) ready.

isapplesiliconready.com

 

9to5mac에서 보도한 내용에 있는 정보이며 게임 이외에 음악, 동영상편집, 개발, 사진편집 등의 카티고리 별로 소프트웨어 리스트와 지원여부를 확인 할 수 있는 사이트입니다.

 

애플 실리콘과 호환되는 소프트웨어 리스트 (출처: isapplesiliconready.com,  https://isapplesiliconready.com )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