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애플에서 발표한 애플 실리콘 "M1"에 대해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초간단하게 애플의 첫번째 애플 실리콘 M1에 대해 말씀드리자면

 

기존의 인텔과 AMD은 X86 기반의 칩으로 기존의 데스크탑과 노트북 등에 적용되어 사용하던 칩인 방면

애플 실리콘 M1은 핸드폰, 테블릿에 적용된 ARM기반의 칩으로 전력대비 성능이 뛰어난 장점이 있습니다.

 

M1칩은 기존 아이폰/아이패드 등에 적용된 A14기반의 칩이며 5nm공정으로 제작된 칩입니다.

A14기반의 칩이기에 ARM기반의 칩이지만 애플 노트북/데스크탑에 맞춰서 개발된 칩으로 

흥미로운 점은 애플이 CPU, GPU 뿐만 아니라 I/O, Nueral Engine 그리고 심지어 램(DRAM)까지 한 칩으로 통합해서 전력대비 성능을 극한으로 끌어 올어렸다는 것 입니다.

(소비자 입장에서 안좋은 점은 10000%확률로 자가 램 업그레이드는 불가능합니다...ㅠㅜ)

기존 컴퓨터 부품 배치 (왼) vs 애플 M1 구성 (출처: 애플 공식 홈페이지)

 

M1칩의 CPU 구성은 총 8코어로 이루어져 있으며, 고성능 4 코어와 저전력 4 코어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사용하는 환경에 따라 자동으로 최적의 CPU칩 구동방식을 선택해서 최저 전력으로 최고 성능을 이끌어 내는데 이 방식은 현재 플레그십 스마트폰에도 적용이 되고 있습니다.

 

M1 CPU 구성 (출처: 애플 홈페이지)

 

M1칩의 GPU 구성은 총 8코어로 애플에 의하면 현재 노트북에 적용된 그 어떠한 내장 그래픽(외장 그래픽이 아닙니다)보다 성능이 뛰어나다고 합니다.

또한, Maching Learning같은 작업에 필요한 Neural Engine이 16코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M1 GPU, Neural Engine 구성 (출처: 애플 홈페이지)

 

자~ 그러면 M1의 성능은 어떻게 될까요?

애플 11월 발표를 살펴보면 애플이 성능 비교차트를 보여줄때 구체적으로 비교대상을 언급하지 않았고 x,y축 스케일을 제공해주지 않았기 때문에 제품이 출시하고 실제 테스트를 해보기 전에는 정확하게 파악을 하기 힘들지만 

CPU의 경우 같은 10W 전력 사용시 M1칩이 최대 2배의 성능이 뛰어나며 

기존 노트북 CPU가 최대성능을 낼 때 사용하는 전력의 1/4만 사용해도 M1칩이 같은 성능을 낼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

 

GPU의 경우 같은 10W 전력 사용시 M1칩이 최대 2배의 성능이 뛰어나며

기존 노트북 GPU가 최대성능을 낼 때 사용하는 전력의 1/3만 사용해도 M1칩이 같은 성능을 낼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

 

이와 같이 첫번째 애플 실리콘인 M1은 "전력당 성능"을 최대한 뽑아내게 만든 칩으로 그 동안 아이폰/아이패드를 위해 진행된 개발 노하우가 총 동원이 된 결과물이며, 시간이 지날수록 애플 실리콘의 성능은 더더욱 발전 할 것으로 보입니다.

 

 

애플 11월 발표 당시 구체적으로 어떤 대상으로 성능비교를 했는지 밝히지 않아 아쉬웠는데 

유명한 밴치마크 프로그램 중 하나인 Geekbench에서 M1 성능 결과 자료가 확인되었습니다.

 

M1 밴치마크 (출처: appletrack.org,  https://appletrack.org/first-apple-m1-geekbench-results-show-massive-gains/ )

 

Geekbench 밴치마크 자료에 의하면 M1의 싱글코어 점수는 1687이며 멀티코어 점수는 7433으로 파악이 되었는데 

이는 현재 Geekbech 점수 기준으로 싱글코어 점수는 1등이며 멀티코어 점수는 3등으로 16인치 맥북프로 뿐만 아니라 500백만원이 넘어가는 맥 프로보다 높은 점수를 기록하였습니다.

Geekbench 성능 점수 (출처: BGR.com,  https://bgr.com/2020/11/12/macbook-air-m1-speed-vs-16-inch-macbook-pro-geekbench-5/ )

 

물론!!!!

Geekbench 점수가 모든 것을 대변하는 것이 아니며 실제 테스트를 해봐야 정확하게 알 수 있으며

기존 X86기반의 프로그램은 Rosetta 2를 통해 구동이 되기 때문에 X86프로그램을 ARM으로 변경하는 동안 성능손해가 얼마나 될지 확인을 해봐야 하지만...

일단 기본 성능이 뛰어나기 때문에 애플이 소프트웨어 최적화를 잘 했다면 예상 이상의 실 성능을 보여줄 확률이 있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더 많은 개발자/회사들의 참여로 성능향상과 최적화가 빠르게 진행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애플이 iOS14.2에 몰래?추가한 JIT Compilation 기능 추가와 에뮬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현재까지 아이폰 혹은 아이패드에 공식적으로 Apps Store를 통해 에뮬레이션으로 닌텐도나 위 게임을 할 수가 없지만, 해킹이나 Jailbreak, AltStore을 통해서 플레이가 가능했었습니다.

AltStore 홈페이지

 

타사에 비해 월등한 AP성능을 자랑하는 아이폰/아이패드 였기에 에뮬레이션으로 플레이가 가능했지만 

소프트웨어를 실시간으로 Compile과 Execution을 할 수 있는 JIT(Just-In-Time)기능의 미지원으로 최대 성능으로 즐기지 못했습니다.

그런데, AltStore 개발자인 Riley Testut이 트위터와 유명 매체인 9to5mac에 iOS에 JIT 기능의 추가로 콘솔, 가상머신 에뮬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을 공개하였습니다.

 

AltStore 개발자 Riley 트위터 (출처: 트위터,  https://twitter.com/rileytestut/status/1324492062503231488?ref_src=twsrc%5Etfw%7Ctwcamp%5Etweetembed%7Ctwterm%5E1324492062503231488%7Ctwgr%5Eshare_3&ref_url=https%3A%2F%2F9to5mac.com%2F )

 

간략하게 정리하면, 이번 JIT 기능추가로 해킹이나 다른 작업없이 에뮬레이션 어플의 성능을 최대치로 사용할 수 있으며, 무거운 에뮬레이션 어플의 성능 또한 대폭 상승이 가능해졌습니다.

이 소식을 접했을 때, 애플 실리콘이 탑제된 맥 컴퓨터에 가상 윈도우 어플인 Parallels 가동이 상상되었지만 

아직까지는 애플이 JIT 기능추가를 에뮬레이션을 통한 게임이나 가상윈도우 때문이 아니라 XCode개발자들을 위해 기능을 추가한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현재 에뮬레이션 분야의 개발자들이 발빠르게 JIT기능을 이용하기 시작하였으며

애플 실리콘이 탑제된 맥 컴퓨터의 경우 기존 X86기반의 프로그램이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타 OS 소프트웨어의 사용을 가능하기 위해 미리 포석을 마련한 것일 수도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미국에서 pre-oder를 시작한 아이폰 12 프로 맥스와 아이폰 12 미니의 배송시간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이폰 12 프로 맥스와 아이폰 12 미니의 사전 주문은 11월 13일에 시작하며 11월 20일에 출시 할 예정입니다^^

아이폰 12 프로 맥스와 아이폰 12 미니 사전 주문/출시일 (출처: 애플 홈페이지, www.apple.co.kr)

 

미국은 1차 출시국으로 이미 사전 주문이 진행 중이며 시간이 지날수록 아이폰 12 프로 맥스의 배송일정이 늘어나고 있는 상황입니다.

우리나라에서 상황은 사전주문이 열린 다음 확인이 가능하겠지만, 현재까지 상황을 보았을 때 아이폰 12 미니의 경우 물량이 있는 방면, 아이폰 12 프로 맥스의 물량이 부족해 보입니다.

현재 미국 애플 스토어 기준으로 사전주문시 걸리는 소요시간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아이폰 12 프로 맥스 사전주문 시 대기 시간

퍼시픽 블루

128GB: 2~3주

256GB: 2~3주

512GB: 7~10일

 

실버

128GB: 7~10일

256GB: 7~10일

512GB: 11월 13일

 

그래파이트

128GB: 7~10일

256GB: 7~10일

512GB: 7~10일

 

골드

128GB: 2~3주

256GB: 2~3주

512GB: 7~10일

 

아이폰 12 프로 맥스의 재고상황을 보면 실버색상 512GB만 출시일에 맞춰서 배송이 가능하며 나머지 모델들은 최소 7일에서 10일정도 기다려야 수령이 가능한 것으로 파악 되었습니다. 

 

아이폰 12 미니 사전주문 시 대기 시간

화이트

64GB: 11월 13일

128GB: 11월 13일

256GB: 7~10일

 

블랙

64GB: 11월 13일

128GB: 11월 13일

256GB: 7~10일

 

블루

64GB: 11월 13일

128GB: 11월 13일

256GB: 11월 13일

 

그린

64GB: 11월 13일

128GB: 11월 13일

256GB: 5~7일

 

(PRODUCT) RED

64GB: 11월 13일

128GB: 11월 13일

256GB: 11월 13일

 

아이폰 12 미니의 경우 256GB옵션은 PRODUCT(RED)를 제외한 모든 모델은 최소 5일 이상 기다려야 하는 것으로 파악되었고 나머지 옵션은 출시일에 맞춰서 수령이 가능한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아이폰 12 프로 맥스 / 아이폰 12 미니 수령 예상 시간

11월 8일 미국 애플 스토어 기준으로 보면 전체적으로 아이폰 12 미니의 경우 재고가 있어 출시일에 맞춰서 구매할 수 있는 확률이 높지만 아이폰 12 프로 맥스의 경우 출시일에 맞춰서 물량을 구하기 힘들어 보입니다.

때문에 올해 아이폰 12 시리즈를 구매하실 예정이신 분들은(특히 아이폰 12 프로 맥스) 1초라도 빨리 사전주문 탭이 활성화되는 순간 구매를 해야 빠르게 받아서 사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만약, 국내가 아니라 해외직구로 아이폰 12 시리즈를 구매하실 분이 있으면 밑에 국가별 아이폰 12 시리즈 모델넘버를 정리한 글을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visiontech.tistory.com/64

 

아이폰 12 시리즈 국가 별 모델 정보 (직구시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애플이 출시한 아이폰 12 시리즈의 국가 별 모델넘버에 대해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 많은 분들이 국내에서 아이폰 구매를 시도하시다가 대기가 길

visiontech.tistory.com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애플이 출시한 아이폰 12 시리즈의 국가 별 모델넘버에 대해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

많은 분들이 국내에서 아이폰 구매를 시도하시다가 대기가 길어서 해외직구를 고려하실텐데요~

여태까지 미국, 일본, 홍콩 등의 지역에서 직구를 많이 하셨을텐데 아이폰XS 부터 국내에 출시한 아이폰 모델넘버가 다르면 서비스에 제한이 있다는 소식이 있었습니다.

 

해서, 아이폰12의 경우 어떻게 될지 아직 파악되지 않았지만 애플 홈페이지에서 확인한 정보를 말씀드리겠습니다.

1. 아이폰 12 프로 / 아이폰 12 프로 맥스 모델넘버

아이폰 12 프로, 아이폰 12 프로 맥스 대한민국 모델넘버 (출처: 애플 홈페이지:  https://www.apple.com/kr/iphone/cellular/#iphone-12-pro-max )

 

국내용 아이폰 12 프로와 아이폰 12 프로 맥스의 모델넘버는 A2407(프로)와 A2411(프로 맥스)로 상당히 많은 국가에 같은 모델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만약 같은 모델넘버의 아이폰을 구매하실 계획이시면 위 국가 중 하나를 골라서 진행을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아이폰 12 프로, 아이폰 12 프로 맥스 미국 모델넘버 (출처: 애플 홈페이지:  https://www.apple.com/kr/iphone/cellular/#iphone-12-pro-max )

 

미국에서 판매하는 아이폰 12 프로의 모델넘버는 A2341이며 아이폰 12 프로 맥스의 모델넘버는 A2342로 미국에서만 판매하고 있습니다.

이유는 미국에서 판매하는 아이폰에만 mm 5G기능이 탑제가 되서인것 같습니다.

 

아이폰 12 프로, 아이폰 12 프로 맥스 케나다, 일본 모델넘버 (출처: 애플 홈페이지:  https://www.apple.com/kr/iphone/cellular/#iphone-12-pro-max )

 

케나다와 일본에서 판매하는 아이폰 12 프로의 모델넘버는 A2406이며 아이폰 12 프로 맥스의 모델넘버는 A2410입니다.

 

 

2. 아이폰 12 / 아이폰 12 미니 모델넘버

 

아이폰 12, 아이폰 12 미니 대한민국 모델넘버 (출처: 애플 홈페이지:  https://www.apple.com/kr/iphone/cellular/#iphone-12-pro-max )

 

국내용 아이폰 12와 아이폰 12 미니의 모델넘버는 A2403(아이폰12)와 A2399(미니)로 아이폰 12 프로라인과 같이 상당히 많은 국가에 같은 모델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만약 같은 모델넘버의 아이폰을 구매하실 계획이시면 위 국가 중 하나를 골라서 진행을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아이폰 12, 아이폰 12 미니 미국 모델넘버 (출처: 애플 홈페이지:  https://www.apple.com/kr/iphone/cellular/#iphone-12-pro-max )

 

미국에서 판매하는 아이폰 12의 모델넘버는 A2172이며 아이폰 12 미니의 모델넘버는 A2176로 미국에서만 판매하고 있습니다.

이유는 미국에서 판매하는 아이폰에만 mm 5G기능이 탑제가 되서인것 같습니다.

 

아이폰 12, 아이폰 12 미니 케나다, 일본 모델넘버 (출처: 애플 홈페이지:  https://www.apple.com/kr/iphone/cellular/#iphone-12-pro-max )

 

케나다와 일본에서 판매하는 아이폰 12의 모델넘버는 A2402이며 아이폰 12 프로 맥스의 모델넘버는 A2398입니다.

 

 

이상으로 국가별 아이폰 12 시리즈의 모델넘버를 확인해 보았습니다~^^

알아보기 전에 일본, 홍콩 중 한 곳은 한국과 같은 모델넘버가 있을 줄 알았는데 생각보다 상대적으로 친숙한 곳과 겹치는 곳이 많이 없는 것 같습니다.

해서, 직구를 하시는 분들께서는 구매전 위 정보를 확인해 보시고 결정을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10월 26일에 애플 11월 이벤트 날짜와 예상 발표 제품관련 루머들을 정리하였는데 오늘 아침에 일어나서 확인해보니 11월 10일 (한국시간 :11월 11일 새벽3시)에 진행하는 것을 공식 발표하였습니다~^^

애플 11월 이벤트 (출처: 애플 홈페이지:  https://www.apple.com/apple-events/ )

전 포스팅에서 언급하였듯이 이번 이벤트에는 애플실리콘이 탑제된 애플 컴퓨터가 매인으로 발표가 될 확률이 높으며, 루머로 많이 언급되어 왔던 애플테그가 다뤄질 확률이 있으며 자세한 사항은 전에 포스팅 했던 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visiontech.tistory.com/58

 

애플 11월 이벤트 루머 정리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0년 11월 애플 이벤트 루머들을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애플은 2019년까지 이벤트를 보통 3월, 9월 그리고 가끔 10월에 개최해서 차세대 하드웨어,

visiontech.tistory.com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애플에서 발표한 에어팟 프로 서비스 프로그램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0년 10월 30일에 애플이 사운드 문제가 있는 에어팟 프로를 대상으로 서비스 프로그램을 발표했습니다.

이 서비스 프로그램에 해당되는 제품은 2020년 10월 전에 제조된 에어팟 프로이며 만약 다음 중 한가지 이상의 문제가 있다면 무상으로 교체 받으실 수 있습니다.

 

1. 시끄러운 환경에서 운동 중이나거나 통화 중에 날카로운 소리 또는 잡음이 커짐

2. 노이즈 캔슬링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 하지 않음 (베이스 사운드가 들리지 않거나 길거리 또는 비행기 소리 같은 백그라운드 소리가 커짐)

에어팟 프로 교체 그프로그램 (출처: 애플 홈페이지,  https://support.apple.com/ko-kr/airpods-pro-service-program-sound-issues )

 

 

해당 문제는 제조상의 문제이기 때문에 소프트웨어나 리셋 방법으로 해결이 되지 않기 때문에 서비스 프로그램을 진행을 하는 것 같으며

애플 홈페이지에는 명시가 되어 있지 않지만, 만약 노이즈 캔슬링을 사용중에 ”딱딱”거리는 소리나 “지지직”소리가 난다면 이역시 제품제조상의 문제로 발생된 현상일 확률이 높음으로 확인 후 무상으로 교체를 하시면 됩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애플이 출시한 서비스 번들인 ”Apple One”을 가입할 수 있는 3가지 방법을 말씀 드리겠습니다.

 

Apple One에 대해 간단히 말씀드리자면~

Apple One은 서비스 번들로 Apple Music, Apple TV+, Apple Arcade, Apple News+, Apple Fitness+, iCloud 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서비스의 장점은 기존에 각각 구매해서 사용했을때보다 조금 싸게 사용할 수 있다는건데요~

 

현재 Apple One 서비스는 개인, 가족, 프리미엄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서비스를 보면 Apple Music, Apple TV+, Apple Arcade는 공통으로 들어가 있으며 다달이 내는 금액에 따라 iCloud의 용량이 차이가 나며 Apple News+와 2020년 말에 시작할 예정인 Apple Fitness+는 상위 플랜인 프리미엄에서만 제공이 됩니다.

 

현재 어느 플랜을 선택하시던 1달간은 무료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서비스에 확신이 없으신 분들은 제일 비싼 프리미엄을 선택해서 1달간 이용을 해보시고 자신에게 맞는 플랜을 선택해서 사용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그럼 본론으로 들어가서~

Apple One을 가입하고 싶으면 총 3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사파리 (Safari) 브라우저

 

사파리로 Apple One서비스 번들을 가입하시려면

사파리 주소창에 one.apple.com을 치고 들어가면 “Apple One 요금제를 확인하시겠습니까?”란 팝업이 뜹니다. 

이때 확인을 눌러서 들어가시면 개인, 가족, 프리미엄 플랜을 선택할 수가 있는 창이 뜸으로 선택을 하셔서 진행을 하시면 됩니다

 

2. 앱 스토어 (App Store)

 

앱 스토어로 Apple One서비스 번들을 가입하시는 방법은

앱 스토어로 들어간 다음, 왼쪽위에 사람모양의 아이콘을 눌러서 들어가고, 구독(Subscription)으로 들어가면 "Apple One 시작하기" 배너가 있는데 여기로 들어가시면 원하시는 플랜을 선택해서 가입을 할 수 있습니다. 

 

3. 설정 (Setting)

 

설정으로 Apple One서비스 번들을 가입하시는 방법은

설정으로 들어간 다음, 본인의 개인정보가 표시된 칸을 눌러 들어간다음, 구독(Subscription)으로 들어가면 "Apple One 시작하기" 배너가 있는데 여기로 들어가시면 원하시는 플랜을 선택해서 가입을 할 수 있습니다. 

 

간단하기 Apple One 서비스 번들과 가입하는 3가지 방법을 알아 보았는데요~

2020년 11월 1일 기준으로 어느 플랜이던 1달간 무료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부담없이 서비스를 이용하신 다음 결정을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10월 애플 이밴트에 아이폰12시리즈와 같이 언급했던 새로운 애플의 무선충전&악세서리 인MagSafe를 사용할때 주의해야할 점을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MagSafe 충전기 (출처: 애플 홈페이지)

 

본론으로 들어가기 전에 앞서, MagSafe를 아직 사용해보지 않았지만... 

10월 이벤트에 발표된 MagSafe 제품구성과 개인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주의해서 사용하지 않으면 벌어질 확률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부분을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MagSafe를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간단하게 설명을 드리자면...

MagSafe는 애플의 새로운? 무선충전 방식으로 

핸드폰이나 악세서리에 있는 자석을 이용하여 충전기에 가까이 대면 자력으로 알아서 충전코일 중간에 맞춰지도록 설계된 제품입니다. 

현재 지원되는 기기는 아이폰12 시리즈와 악세서리(케이스, 카드지갑 등)가 있으며 앞으로 애플이 MagSafe지원 기기와 악세서리를 확대할 확률이 높고 적용분야도 넓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기존 무선충전처럼 충전표시가 뜰때까지 기기의 위치를 조정하지 않아도 되니, 사용성은 확실히 편하겠지만...

 

이러한 방법은 기기자체에 스크레치에 굉장히 취약할 것 같고 시간이 지날수록 자석이 있는 부분에 이물질이 쌓여서 자국이 남을 확률이 높습니다.

 

제가 이런 말씀을 드리는 이유는 2018년에 아이패드 프로와 애플팬슬 2세대를 구매해서 사용중인데 

시간이 지나고 보니 애플팬슬이 부착되는 아이패드 부분에 스크레치와 알루미늄 바디 부분이 벗겨짐 현상을 보았기 때문입니다.

 

 

생각지도 못한 스크레치 때문에...저는 현재 애플팬슬의 평평한 부분에 필름을 부착해서 아이패드에 스크레치를 최대한 방지를 하고 있습니다.

 

 

MagSafe 충전기의 바깥부분은 매탈재질이며 아이폰 뒷면의 유리에 지속적으로 접촉하기 때문에 스크레치가 날 확률이 굉장히 높습니다.

 

케이스를 사용하시는 분들이라면 덜하겠지만 저처럼 생폰으로 사용하는 분들은 

아이폰12 시리즈를 구매하시고 생폰으로 MagSafe 충전기를 사용하려면 적어도 뒷면에 필름을 붙이고 사용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0년 11월 애플 이벤트 루머들을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애플은 2019년까지 이벤트를 보통 3월, 9월 그리고 가끔 10월에 개최해서 차세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발표하였습니다.

 

그런데 올해 11월에 이벤트를 개최한다는 루머가 돌고 있는 이유는 

2020년 6월 WWDC 이벤트에서 애플 CEO 팀쿡이 올해안에 애플 실리콘이 탑제된 컴퓨터를 출시하겠다고 하였기 때문입니다.

애플 CEO 팀쿡 (출처: 2020년 WWDC 이벤트)

 

올해 9월 그리고 얼마전 있었던 10월 이벤트에 애플 실리콘이 탑제된 맥을 발표할 것이라는 루머도 있었지만...

결론적으로 아직 발표가 되지 않았고 미국의 연말 연휴를 고려해 본다면 11월 이벤트가 개최될 확률이 높아 보이며

 

애플 루머에 정통한 Jon Prosser는 애플이 “애플 실리콘(ARM)”이 탑제된 맥을 11월 17일 이벤트가 열리며 11월 10일에 애플측이 공식으로 발표할 것이라고 하였습니다. 

 

애플 11월 이벤트 날짜 (출처: Jon Prosser 트위터)

 

현재 루머상으로 Jon Prosser, Mark Gurman, 밍치 궈 등 이번 11월 이벤트에 애플 실리콘(예상: A14X)이 탑제된 맥을 출시할 것리이라는 부분에 이견이 없는 상황입니다.

맥에 탑제될 애플 실리콘인 A14X는 퍼포먼스 코어 8개, 저전력 코어 4개로 이루어져 총 12코어이며 배터리 수명은 약 15~20시간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애플 실리콘이 탑제될 맥북 후보 제품으로는 단종된 12인치 맥북, 맥북프로 13인치, 맥북에어 13인치가 거론되고 있고 

노트북이 아닌 데스크탑인 iMac이 출시될 수도 있다는 소식도 있지만, 현재까지 부품이나 제품 사진으로 알려진 내용은 없는 상황입니다.

 

지막으로

10월 이벤트에는 아이폰이 발표되기 전에 홈팟미니가 발표 되었다면

11월 이벤트에는 애플 실리콘이 탑제된 맥이 발표되기 전에 새 제품인 AirTag이 발표 될 확률이 높다머는 루머가 있습니다.

 

AirTag은 제 블로그에서도 몇번 언급을 했었던 제품으로, 간단하게 설명드리면 위치 추적을 할 수 있는 악세서리 개념의 제품입니다.

(많은 분들은 이 제품에 관심이 없을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AirTag 예상 이미지, 루머 소식 (출처: Jon Prosser)

 

AirTag은 큰사이즈와 작은 사이즈로 2개의 제품이 출시될 것이라는 루머가 있으며 

출시가 된다면 개인적으로 이번 아이폰12 발표때 언급됬던 MagSafe와 연동이 어떻게 되며 애플 Ecosystem에 어떤 방식으로 적용이 될지 기대가 됩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곧 보마일로 출시될 롤 모바일 버전인 League of Ledgends Wild Rift 클로즈 베타 후기와 오픈 베타 소식을 디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제가 한창 스타에 빠져서 다른 게임을 하지 않다가 대학생때 뒤늦게 친구들과 같이 롤을 했었는데...

당시 너무 못해서 팀원들에게 훈훈한 부모님 안부소식을 듣고 다시 스타만 했었습니다^^;;;;

이젠 직장인 겸 대학원 생활을 하느라 예전처럼 PC게임을 많이 할 수가 없어 현재 모바일 게임을 하고 있는데

최근 점검의나라...아니 바람의 나라 연을 하다가 지금은 거의 접은 상태인 와중에 예전에 롤 모바일 베타신청을 한 기억이 나서 확인을 해보니 당첨이 되었습니다~^^

iOS, 안드로이드 2개의 플랫폼 신청을 하였는데 안드로이드 버전에 당첨이 되서 그동안 제 서랍에 잠들고 있었던 "갤럭시 S7"을 꺼내서 설치를 진행하였습니다.

갤럭시 S7은 중고시장에서도 보기 힘들정도로 오래된 폰이라...

플레이가 가능한지도 확실하지 않았고 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그래픽 품질이 안좋지 않을까 걱정을 했는데...

생각보다 괜찮은 그래픽 성능으로 끈김없는 플레이가 가능했습니다~^^

갤럭시 S7으로 구동한 롤 모바일(Wild Rift)

 

롤 모바일(Wild Rift) 대기화면

 

Wild Rift 설정을 들어가게되면 그래픽 항목에서 옵션을 조정할 수 있는데

갤럭시S7에서 초고화질은 안타깝게도 지원을 하지 않았지만 고화질은 설정이 가능하였으며, 각각의 품질을 높음으로 설정하고 프래임을 60FPS로 설정해서 플레이하는 것이 가능했습니다^^

(물론 설정하는 순간 배터리 소모가 심하다고 경고?를 보여주지만 설정을 하고 플레이는 가능했습니다)

Wild Rift 설정: 갤럭시 S7 기본설정(왼), 최대 옵션 선택(오)

 

약 3일간 롤 모바일을 플레이 해보고 느낀점은

1. 생각보다 오래된 핸드폰으로도 원활한 플레이가 가능

2. 기술 타케팅은 PC보다 어려워서 조작에 익숙해질 필요가 있음

3. PC보다 몇몇 요소가 축소가 되어 한판 당 약 10~20분 정도 걸림으로 간단하게 머리를 식히려는 목적으로 충분

4. PVP외에 AI와 대전이 가능하여 스트레스를 받지 않고 플레이 가능

이 있습니다.

만약, 정식버전이 클로즈 베타와 동일한 시스템으로 나온다면...

레벨이 오르면서 각 구간별로 영웅이 추가가 되긴 하지만 튜트리얼을 모두 클리어하면 원하는 영웅 하나를 무료로 고를 수 있기 때문에 진행하는 것을 강력하게 추천드립니다.^^

에니웨이~

클로즈 베타를 진행하면서 정식출시가 되기를 너무나 기다리고 있는 와중에

Riot측에서 지역별 오픈 베타 준비를 위해 10월 23일부터 안드로이드 버전의 앱 다운로드와 iOS의 TestFlight으로 접근이 중단된다는 소직을 전달했습니다.

Wild Rift 안내 (출처: Wild Rift 홈페이지, https://wildrift.leagueoflegends.com/ko-kr/news/game-updates/upcoming-changes-to-testing/)

이 안내문처럼 진행이 된다면 10월 28일에 오픈 베타로 변경이 됨으로 더 많은 분들이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디아블로 이모탈과 더불어 제가 기다리는 롤 모바일 버전의 출시가 얼마 남지 않은 것 같아 기대가 되고, 빨리 출시가 되서 지인들과 플레이를 해보았으면 좋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