밴드게이트는 스티브 잡스가 아이폰을 발표한 후 스마트폰이 대중화가 되면서 애플 뿐만 아니라 타 제조회사가 출시한 제품 중 심각한 결함이 발견되어 이슈가 된 문제 중 하나입니다.
벤드게이트의 시발점은 애플이 아이폰6와 아이폰6 플러스를 출시한 2014년입니다.
애플이 아이폰 6와 아이폰6 플러스를 출시하기 전 애플의 스마트폰 화면의 크기는 3.5인치(아이폰4S)나 4인치(아이폰5/5S/5C) 삼성을 포함한 경쟁사에 비해 작았습니다.
(여담이지만 스티브 잡스는 스마트폰의 크기는 한 손으로 무리없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3.5인치가 최적의 크기로 생각하고 있었으며 실제로 아이폰4S의 화면크기가 3.5인치였습니다)
하지만! 비디오 컨텐츠의 확대와 게임같은 기능을 사용하기에 3.5인치는 너무 작았고
이 때문에 아이폰5S/5C의 화면크기를 4인치로 늘렸으며 지금도 많은 분들이 아이폰5S 디자인을 승계한 아이폰 SE1 세대를 그리워?하고 있습니다.
여튼! 아이폰6와 아이폰6 플러스가 출시 되었을때 새로운 디자인과 큰 화면(아이폰 6: 4.7인치, 아이폰 6 플러스: 5.5인치)으로 판매시작 3일만에 1000만대 이상의 실적을 올립니다.
엄청난 판매량이 애플에게 매우 큰 호재였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악몽으로 다가오는 사건이 발생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일상생활을 하는데 아이폰이 휜다는 이야기가 소셜미디아에 돌기 시작했으며 2014년 9우러22일 Macrumor에 hanzoh가 아이폰6 플러스를 "앞 주머니"에 넣고 일상생활을 했는데 휘었다면서 인증사진을 올렸습니다.
이 당시 몇몇 사람들이 예상하기로 hanzoh가 타이트한 바지를 입었거나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핸드폰 위에 앉았다고 생각을 하였지만 다른 아이폰 6 플러스를 소유한 사람들이 비슷한 글이 올라오면서 점점 이슈가 되었습니다...
여기서 결정적으로 이슈가 되었던 사건은 지금은 매우 유명해진 유튜버 중 한명인 Unbox Therapy가 직접 손으로 아이폰 6 플러스를 휘는 영상이였습니다.
당시 맨손으로 너무나 쉽게 아이폰 6 플러스를 휘는 영상은 업로드 5일만에 5백만 조회수를 넘겼으며
많은 사람들이 애플이 이 문제를 인지하지 못한 것이 아니냐는 논의가 있었습니다.
(재대로 유튭각 잡으셨죠...실제로 이때 Unbox Therapy의 구독자가 대폭 늘었습니다)
참고로 밴드게이트 사건이 심각할 때 우리의 삼성과 엘지는 Twitter에 애플 아이폰을 조롱?하는 글을 업로드 했었습니다. ^^a;;;;
결국 애플은 9월 25일에 밴드게이트 관련 공식발표를 하였는데 끝 부분에 "일상생활을 하는 동안에 아이폰이 휘는 것은 매우 드물며 제품을 출시하고 6일동안 총 9명의 고객이 애플에 문의를 하였다"고 발표를 하였습니다.
이 발표가 있고난 후 반응은 2가지로 갈렸는데
첫째는 애플이 아이폰 판매량을 걱정하여 밴드게이트 이슈를 축소하려는 것이였고
둘째는 아이폰을 구매한 고객 중 일부분만 겪는 문제인데 아이폰 판매량이 많기 때문에 큰이슈가 된 것 이였습니다.
아무튼~애플은 애플 스토어에 있는 전문가의 점검을 통과하면 아이폰을 바꿔줬으며 시간이 흐르면서 상황이 나아지는 듯 하였으나.........
아이폰6 플러스를 사용하던 사용자 중 일부기기에서 터치가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기 시작했고 당시 이 현상을 "Touch Disease"로 불렸습니다.
화면터치가 작동하지 않는 "Touch Disease"가 밴드게이트보다 더 큰 문제로 이슈가 되었는데
이 현상은 아이폰이 휘면서 터치를 인식하는 칩이 떨어지면서 발생한 문제였기 때문에 단순히 화면을 교체하는 것으로 해결이 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려고 애플은 다음해 출시한 아이폰 6S, 아이폰 6S 플러스에는 전에 사용한 6000 시리즈 알루미늄을 더 강한 7000 시리즈 알루미늄으로 교체하였고, Epoxy로 회로를 더 강하게 보호하였으며 터치를 담당하는 칩의 위치를 변경하였습니다.
(개인적으로 아이폰 6S를 사용하였고 다행이 밴드게이트나 Touch Disease를 경험하지 않았으며 2020년 현재까지 제 세컨폰으로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렇게~! 애플이 밴드게이트 이슈에서 해방이 되는 것인가 싶었는데...
2018년에 다시 밴드게이트 이슈가 터졌는데 이번에는 아이폰이 아닌 "아이패드 프로"에서 발생하였습니다.
2018년 애플이 사골로 많이 우려먹던 아이패드 디자인을 완전히 새롭게 바꾸고 매우 얇고 가볍게 만든 아이패드 프로를 출시하였고 많은 사람들이 구매를 하였습니다. (저도 그 중 한명입니다)
그...런...데... 유명 유튜버 중 한명인 JerryRigEverything에서 맨 손으로 아이패드를 가볍게? 휘는 영상이 업로드가 되었고 다시 한번 애플은 밴드게이트의 악몽에 빠지게 됩니다.
iPad Pro Bend Test영상 (출처: JerryRigEverything)
참고로 말씀드리자면...
이 분은 마동석 형님같이 매우 강한 분이시며 아이패드 프로 뿐만 아니라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출시한 서피스 프로6와 노키아 2, Razer폰도 휘었었습니다. (이 분 컨텐츠가 기기 분해와 bendtest입니다;;;;)
여기에 엎친데 덮친 격으로 유명 보도 매체 중 하나인 The Verge에서 애플 측과 주고받은 내용을 보도하였는데 아이패드의 휘어짐 현상은 금속 및 플라스틱 부품을 포함하는 냉각 공정에서 발생한 것이라고 하였고 약간의 휘어짐 현상은 기기의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결함으로 간주하지 않는다 라고 하였습니다.
또한 9to5mac에서는 애플의 하드웨어 엔지니어링 상무의 메일을 공개 하였는데 메일 내용을 보면 휘어진 아이패드가 정상이다 라는 부분은 애플의 공식 답변이 아니라고 강조를 하였고 이번에 출시한 아이패드 프로 3세대는 전 세대 아이패드보다 더 까다로운 품질기준을 적용하고 있다고 하였습니다. 여기서 애플이 말하는 품질기준은 400um로 mm로 환산하면 0.4mm입니다.
(즉 애플의 내부 QC기준은 아이패드 생산 시 기기 본체가 0.4mm까지 휘어지는 것은 괜찮다고 판정한다는 말입니다)
당시 제가 구매한 아이패드 프로도 휘었는지 매우 신중하게 스나이퍼가 조준하듯이 관찰을 하였고 기분탓?인지는 몰라도 조금 휜 듯보였지만 2년 동안 사용하면서 휘는 현상이나 터치가 안되는 현상은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아무튼 그리고 나서 애플의 밴드게이트 이슈가 없어진듯 하지만 몇몇 돈 많으신 테크유튜버 분들이 애플이 신제품을 출시하면 밴드테스트를 진행하기 때문에 언제든지 다시 이슈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애플제품에 관심이 많은 분들이라면 6월22일 열린 WWDC 2020 이후 올해의 하이라이트를 장식할 9월 신제품 발표회를 기다리고 계시고 있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당연히 저도 그 중 한 명입니다 ^^a;;;)
현재 아이폰X을 사용하고 있는 저로서는 올해에 출시될 아이폰12(가칭) 발표에 상당한 관심이 있고 나오면 바로 FLEX할 준비를 하고 있는데요~
2020년 7월 현재까지 알려진 아이폰12 관련 루머들을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첫번째는 아이폰 12 디자인 입니다.
아이폰 12 혹은 아이폰12프로라인의 디자인은 아이폰4/4s/5/5s/SE 1세대와 같은 사각형 바 형식의 각진 디자인으로 출시가 예상이 된다고 EverythingApplePro, Max Windbach, Jon Prosser등 애플 루머를 다루는 유명한 매체에서 거론이 되고 있습니다.
2020년 4월 정도에 Max Weinbach, Jon Prosser, Fudge를 포함한 많은 매체에서 아이폰12에 아이패드 프로에 탑재한 라이다 센서가 “아이폰12 프로”라인에 탑재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를 하였는데요~
기존 트리플 카메라에 라이다 센서를 넣기 위해 삼각형으로 배치된 아이폰11프로와는 달리 사각형으로 배치가 되고 LED플래쉬는 카메라 모듈 중간에 그리고 마이크는 하단에 배치가 된 디자인이 공개되었습니다.
여담으로 이때 공개된 이미지에 위젯같은 아이콘이 있어 iOS14에 위젯기능이 추가가되는 것이 아니냐는 예상이 많았고 실제 6월 WWDC에서 위젯기능이 iOS14과 iPadOS14에 추가가 되었습니다
한편, 2020년 6월21일에 Sunny Dickson은 Twitter에 아이폰12 더미사진을 공개하였는데
사각형 디자인은 기존에 언급된 루머와 동일한데 뒷면에 라이다 센서가 빠진듯한 이미지를 공개하였습니다.
아이폰12 프로라인의 뒷면에 트리플 카메라와 라이다센서의 탑제여부는 좀더 시간이 지나야 확실히 알 수 있겠지만 현재로서 확실한건 아이폰12/아이폰12프로는 사각형의 각진디자인으로 변경이 된다는 점인 것 같습니다.
화면 사이즈의 경우 Jon Prosser가 twitter에 공개한 정보에 따르면
2개의 아이폰12가 출시가 되고 2개의 아이폰 12 프로가 출시가 되는데
아이폰12는 5.4인치와 6.1인치가 있고 아이폰12 프로는 6.1인치와 6.7인치로 출시가 됩니다.
* 참고로 아이폰12는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지고 현재 아이폰11처럼 듀얼카메라가 적용되며
아이폰 12 프로는 스테인리스 스틸이 적용된다고 하였습니다.
두번째는 아이폰 12 성능/기능 입니다.
애플제품에 관심이 많으신 분들이라면 당연히? 예상하시는 스팩의 경우 AP는 A14이 탑제가 되며 램 용량은 기존 아이폰11/아이폰11프로와 비교하여 동일 혹은 약간의 증가가 있을 것 같습니다.
(애플이 램에 짠것은 세월이 흘러도 변함이 없을 것같습니다....ㅠㅜ)
나머지 스팩의 경우 tom's guide의 보도에 따르면
가격: 기본가격 기준으로 아이폰12는 $649, 아이폰 12 Max는 $749, 아이폰 12 Pro는 $999, 아이폰12 Pro Max는 $1,099로 전체적으로 가격을 다운시켰습니다.
저장공간: 모든 라인에 최소 128GB부터 시작이 되며 아이폰12는 256GB, 아이폰12프로는 256GB, 512GB옵션이 추가로 있습니다
디스플레이: 아이폰12라인에는 BOE에서 만든 OLED가 탑제가 되며 아이폰12 프로라인에는 삼성에서 만든 Super Retina XDR OLED가 탑제됩니다.
2020년 6월 WWDC 2020 키노트 후 바로 iOS14과 iPadOS14 Beta를 아이폰6s와 아이패드 프로 3세대에 설치를 하고 2주 동안 사용을 해보았습니다.
현재 제가 쓰는 메인폰은 아이폰X인데 정식버전이 나오기 전 베타버전의 경우 버그가 많기 때문에 세컨폰인 아이폰6s에 설치를 하였으며 아이패드 프로의 경우버그가 있다고 하더라도 제 일상생활과 일에 지장이 없기 때문에 설치를 하였습니다.
오늘 아침에 iOS14/iPadOS14 Beta 2(개발자 용)가 배포되었는데 Public Beta는 아직 배포가 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여태까지 애플의 행보를 생각해보면 조망간~ 곧~ Public Beta가 배포 될 것 같습니다.
에니웨이~ 제가 약 2주 동안 iOS14/iPadOS14 Beta버전을 사용하면서 좋았던 점과 아쉬운 점이 많은데 이 중 중요하다고 생각한 몇개를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좋았던 점
1. 위젯
네~ 안드로이드에는 호랑이 담배피던 시절부터 존재했던 그 기능, 많은 분들이 보시고 이제서야 적용을 했냐고 말씀하시는 그 위젯 기능이 맞습니다
위젯을 홈 화면에 더하는 방법은 홈화면의 빈공간을 약 1~2초간 길게 눌러주시면 "지글모드"로 들어가면서
어플 왼쪽위에는 - 표시가 나오고, 홈화면 오른쪽 위에 + 표시가 있는데 이 +표시를 눌러서 들어갑니다~
+ 아이콘을 눌러서 들어가면 수 많은 위젯 옵션들이 나오는데요~
여기서 원하시는 위젯을 눌러서 홈화면에 추가를 해주시면 됩니다!
현재 iOS14/iPadOS14 Beta에서는 애플이 만든 어플의 위주로 위젯이 있는데 나중에 정식버전이 출시가 되서 카카오나 다른 회사/개발자들이 위젯 기능을 추가해 주면 정말 유용하게 사용할 것 같습니다~
참고로 위젯 크기의 경우 2X2, 4X2, 4X4 가 있으며 사용하고자 하는 기능에 따라 3가지 사이즈가 있는 옵션이 있고 일부만 지원하는 옵션도 있습니다.
여기서 정말 유용한 기능은 이 위젯의 경우 같은 사이즈면 한 공간에 겹쳐서 스크롤 하듯이 넘기면서
위젯들을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해 주는 것이고 이 기능을"Smart Stack"이라고 합니다.
Smart Stack의 경우 홈 화면을 길게 눌러서 "지글모드"에 들어간 다음~
홈화면 오른쪽 위에 있는 +버튼을 누른 다음~
아래로 스크롤해서 내려가시면 아까 보여드린 위젯 옵션 중 "Smart Stack"을 눌러서 들어간 다음~
원하는 사이즈의 위젯을 정한 다음 아래 쪽의 위젯 더하는 버튼을 눌러주시면 홈화면에 적용이 됩니다~^^
2. 에어팟 음향 조정
힙합음악을 즐겨듣는 저는 에어팟을 사용하기 전에 비츠이어폰을 사용했었는데요
에어팟이 출시되고 구매를 해서 사용하였을때 편리하고 단선걱정이 없어서 좋았는데 오픈형 이어폰에 베이스가 약해서 타격감?있는 음악을 듣는데 아쉬움이 있었습니다.
2019년 애플이 커널형 이어폰인 에어팟 프로를 출시하였을 때 바로 직구로 구매해서 지금까지 만족하면서 사용을 하고 있는데 아무래도 음향이 개인적으로 맞춰진 것이 아니여서 쪼~~~금 아쉬운 감은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번 iOS14와 iPadOS14 Beta를 설치하고 이것저것 만져보다가 에어팟의 음향을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발견했습니다~!!
문론 제가 원하던 음향조정은 아니지만 그래도 기본세팅에서 조금이나마 제가 원하는 음향으로 조정을 할 수 있는 길이 생긴건 너무나 반가운 일인 것 같습니다^^
에어팟 음향을 설정하려면
설정(Settings) -> 손쉬운 사용(Accessibility) -> 신체 및 동작 지원(PHYSICAL AND MOTOR) 밑에 있는 에어팟(AirPods) -> 맨밑에 있는 손쉬운 오디오 사용 설정(Audio Accessibility Settings) -> 해드폰 조절(Headphone Accommodations)순으로 들어가시면 옵션들을 보실 수 있습니다.
옵션들 중 보시면 "오디오 튜닝" 색션에 3가지 옵션(균형 있는 톤, 음역, 선명도)이 있고 각 옵션마다약간, 보통, 매우3단계로 음향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밑에 보시면 설정한 음향을 전화할때나 미디어 중 선택적으로 적용해서 조정한 음향을 분리해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사람마다 취향이 다르니 각 옵션을 조정하고 마음에 드시는 설정으로 이용하시면 에어팟/에어팟 프로 이용시 더 만족하면서 사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아쉬운 점
1. 버그
당연하지만 현재는 Beta버전이기 때문에 문제없이 작동을 잘하는 어플도 있는 방면 튕기거나 에러가 나는 어플들도 있습니다.
이 부분은 정식버전이 출시되고 나서 개발자분들이 개선을 하거나 애플에서 iOS14/iPadOS14를 안정적으로 만들어 주면 해결이 되기 때문에 기다리면 될 것 같습니다.
제가 사용하면서 발견한 버그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카톡튕김
2. 날씨 위젯 위치 에러 (이 부분은 오늘 배포한 Beta2에서 고쳐진 듯 하지만 좀 더 사용을 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3. 위젯 표시 에러 (가끔 아무런 정보가 없는 경우가 있고 정보 업데이트가 안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4. 몇몇 어플 실행 불가 (유튜브, 네이버, 증권, 은행 어플은 괜찮은 것 같습니다)
5. 베터리 상태 정보 (배터리 사용량을 확인할 때 정보가 일치하지 않은 날도 있고 맞는 날도 있습니다)
6. 애플 기본 메일 어플 수신/발신 불가 (POP3로 회사 메일을 설정해서 사용중인데 iOS14/iPadOS14에서 메일 어플이 작동하지 않습니다)
2. 위젯 설정
이번에 사용하기 좋으면서 동시에 예상치 못한 제약이 많은 부분입니다.
안드로이드의 경우 내가 원하는 위치에 자유자재로 위젯을 고정시킬 수 있는데 iOS14/iPadOS14에서는 몇가지 제약이 있습니다.
iOS14의 경우 기본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위젯의 위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현재 iOS14 Beta2에서 위젯 배치가 불가능한 상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한 줄을 어플로 채우고 바로 밑에 위젯을 배치
2. 아무런 어플없이 맨 밑에 위젯 배치
3. 중간에 위젯 배치
요약을 하면 위쪽부터 어플 혹은 위젯을 배치할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2줄 기준으로 위젯 배치가 가능하며 정가운데 위젯 배치가 불가능합니다.
이 부분은 정식버전에서 자유롭게 위치할 수 있도록 해주면 좋겠지만...일단 기다려봐야 할 것 같습니다.
iPadOS14에서도 위젯 배치에 제약이 많은데요...ㅠㅜ
아이패드에서는 홈 화면에 위젯배치가 안되며 왼쪽부분에만 배치가 가능합니다...(밑에 빨간색으로 표기된 부분)
이상 제가 iOS14/iPadOS14을 사용하면서 느낀 좋은점과 아쉬운점을 정리해 보았는데요~
예상외로 버그는 많지는 않은 것 같지만 사용하시는 분마다 다른 문제가 발생 할 수도 있으니 만약 설치를 하실거면 세컨폰같이 에러가 나도 문제가 없는 기기에 설치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애플은 A5가 전 세대 A4에 비해 CPU성능은 약 2배가 향상되었으며 GPU성능은 최대 9배 향상이 되었다고 하였습니다.
A5는 A4칩에 비교하여 성능향상은 있었지만 기존 ARM칩셋을 활용한 부분에 있어서는 동일했는데요~
A5 시리즈 이후 애플이 ARM회사와의 라이센스를 변경하고 처음으로 애플이 직접 설계한 A6 시리즈 칩을 제품에 적용하기 시작했습니다.
A6는 아이폰 5, 아이폰 5C 제품에 적용이 되었고 A5에 비해 CPU, GPU 성능이 최대 2배 향상이 되었다고 밝혔으며 ARMv7 기반의 dual-core CPU(Swift)와 PowerVR SGX 543MP3 GPU가 탑제 되었습니다.
기존 ARM칩셋 디자인에서 애플이 직접 설계한 A6를 적용한 후 애플이 칼을 갈며 빅픽쳐를 그리는듯 한데요~
(물론 이건 제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2013년 세계 처음으로 모바일에 64-bit 아키텍쳐를 적용한 A7 시리즈 칩을 발표하면서 세계를 놀라게 했습니다.
이 당시 굳이 왜 스마트폰에 64bit 칩이 필요하냐는 논란이 많았었던 것으로 기억되고 있고
이때부터 애플이 A 시리즈 칩을 언급할때 "Desktop Class"문구를 넣기 시작했습니다
(당시 저는 애플이 "성능 자랑"하려고 스마트폰에 들어가는 칩에 "데스크탑 성능" 문구를 넣고 이야기를 하는 것이라 생각했는데......지금 생각해 보면 소름이......ㅡㅡa;;;;)
전문가는 아니지만 제 생각에는 애플이 직접 설계한 A7에 64bit을 적용한 것은
제품의 성능을 경쟁사와 비교하여 앞도적인 성능으로 따돌리고 차후 진행할 "애플 실리콘" 초석을 다진 단계인 것 같습니다.
당연히 애플이 설계한 A 시리즈 칩은 세대가 거듭되면서 성능향상과 소비전력이 낮아졌고
A10 Fusion 칩에는 "고성능 코어"와 "저전력 코어"를 연결하여 고성능 컨트롤러가 자연스럽게 상황에 따라 어느코어를 작동할지 조절을 하였으며
A11 Bionic 칩은 Fusion을 버리고 각 코어가 독립적으로 작동하거나 필요에 따라서 모든 코어가 작동하도록 설계를 하였고 A11 Bionic칩의 저전력 코어의 성능을 A10 Fusion칩의 고성능 코어의 성능과 거의 동등할 정도의 성능향상을 이끌어 냈습니다.
(전력소비는 거의 그대로...ㅡㅡa;; 이 정도면 예전 인텔에 있었던 외계인을 애플이 납치한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이 당시 새로운 점은 2017년 전까지는 A 시리즈칩에 PowerVR의 GPU를 사용했었는데
2017년 후, 즉 A11 Bionic 부터는 애플이 직접 GPU 설계를 하고 제품에 적용하면서 애플의 하드웨어 영향을 확대 했습니다.
또한 A11 Bionic에 머신러닝을 할 수 있는 "Neural Engine"을 탑제하여 Apple Machine Learning Accelaerators를 구동하고 사진과 비디오를 찍을 때 Live Preview, Extended Dynamic Range 등 수 많은 기능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 후 2020년 현재 A13 Bionic칩까지 꾸준하게 성능을 향상 시켰으며
2020년 6월에 애플 실리콘을 발표하면서 데모로 "아이패드"에 들어가는 A12Z 칩으로 파이널컷프로에서 4K 비디오 3개를 동시에 처리할 정도로 발전을 했습니다.
결론적으로 애플 실리콘 팀은 애플 제품에만 신경을 쓰면 되며
자유롭게 애플 내부의 하드웨어 팀, 소프트웨어 팀, 디자인 팀 등과 빠르게 협의해서 일을 진행 할 수 있었기 때문에
A 시리즈 칩의 성능은 세대가 거듭날수록 대폭 향상되고 소비전력은 낮아졌으며
애플 실리콘은 단순히 CPU와 GPU를 결합한 형태가 아닌 애플이 설계한 Neural Engine, T2 chip 등도 모두 포함해서 적용이 될 것이기 때문에 앞으로 "애플 실리콘"으로 아이폰, 아이패드, 맥 등 제품에 애플이 어떤 행보를 보일지 정말 기대가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