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어제 저녁 삼성 언팩 행사에서 발표한 갤럭시 Z 폴드 2에 관해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삼성 갤럭시 Z 폴드 2

 

새로운 스마트폰이 출시 될 때마다 구매욕구가 마구 생길 정도로 세대간 차이가 있었던 스마트폰의 기술이 평준화 되면서 더 이상 사람들이 매년 새로운 스마트폰을 구매해야 할 이유가 사라지고 있습니다.

저도 거의 2년 주기로 스마트폰을 구매했는데 현재 사용중인 아이폰X 부터는 굳이 새로운 스마트폰을 살 이유를 찾지 못해 돈은 아끼고 있지만 테크에 관심이 많은 전 새로운 혁신적인 기술이 없는 것에 대해 항상 아쉬운 마음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삼성에서 갤럭시 폴드를 출시하였을 때 개인적으로 전율이 느껴졌었습니다.

현재 저는 아이폰, 아이패드를 매일 들고 다니고 있어

접었을 때는 핸드폰이였다가 펼쳤을 때 테블릿으로 사용할 수 있는 컨셉이 매우 마음에 들었고

기기 2개를 구매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폴더블 기술 발전에 관심이 많고 어느정도 성숙해지면 바로 구매할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번 삼성 언팩행사를 Live Stream으로 시청을 하였으며 갤럭시 Z 폴드 2를 보았을 때 확실히 삼성이 전작인 갤럭시 폴드의 문제점들을 많이 보완한 것이 보이고 소재쪽으로 많은 발전이 있어 앞으로 1~2세대 정도 후 기술이 성숙할 수도 있을 것이라 예상하고 있습니다.

에니웨이~폴더블 1세대인 갤럭시 폴드 폰의 단점, 문제들을 갤럭시 Z 폴드 2에서 어떻게 해결하였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으며

왜 근본적으로 갤럭시 폴드 형식의 제품이 비쌀수 밖에 없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갤럭시 폴드 vs 갤럭시 Z 폴드 2 (갤럭시 폴드의 단점을 보완한 부분)

1. 디스플레이 (커버화면, 내부화면)

 

 

삼성 갤럭시 폴드(왼) vs 갤럭시 Z 폴드2(오) 커버화면 비교

 

갤럭시 폴드에서 왜 굳이 커버화면을 작게 만들었는지 이해가 되지 않았었는데

다행히도 갤럭시 Z 폴드 2에서는 커버부분 전체를 디스플레이로 바꾸면서 전작에 비해 훨씬 깔끔하고 세련된 느낌의 제품을 만들었습니다.

참고로 갤럭시 폴드의 커버화면 크기는 4.6인치에 반해, 갤럭시 Z 폴드 2의 커버화면은 6.2인치로 대폭 넓어졌으며 한가지 아쉬운 점은 120hz가 적용된 내부화면과는 달리 커버화면은 60hz 디스플레이가 사용되었다는 점입니다...ㅠㅜ

 

삼성 갤럭시 폴드(왼) vs 갤럭시 Z 폴드2(오) 내부화면 비교

 

내부화면의 경우 갤럭시 폴드는 7.3인치 화면이였는데 갤럭시 Z 폴드2에는 약간 커진 7.6인치 디스플레이가 적용되었으며 120hz 주사율을 지원합니다 (^^)

갤럭시 폴드의 엄청난 크기의 노치가 인피니티 O 디스플레이 적용으로 펀치홀 카메라로 변경이 되면서 보기에도 상당히 깔끔해 보이며 사용하기에 불편함이 없이 보입니다.

또한, 내부화면의 경우 플라스틱 재질이 아닌 머리카락 보다 얇은 유리를 적용해서 스크래치에 강할 것으로 예상이 되지만 충격에 어떨지는 지켜봐야할 것 같습니다.

2. 힌지, 제품 내구성 

삼성 갤럭시 Z 플립(왼) 갤럭시 Z 폴드 2(오) 힌지구조

 

갤럭시 폴드가 출시되었을때 많은 지적을 받았던 부분이 힌지안으로 먼지나 이물질이 쉽게 침투할 수 있다는 것이였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핸드폰을 열고 닫을때 시간이 지날수록 느슨?해진다는 것이였습니다.

때문에, 갤럭시 Z 폴드 2는 갤럭시 Z 플립에 적용되었던 Hide Away 힌지와 새로운 디자인을 적용하여 핸드폰을 닫았을 때 생기는 틈을 줄였으며, 먼지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최대한 막고, 어느 각도에서나 고정이 되도록 만들었습니다.

갤럭시 Z 폴드 2의 새로운 힌지가 얼마나 이물질을 막고 내구성이 좋아졌는지는 실사용을 해봐야 알 수 있으며 방수기능이 없었던 갤럭시 폴드와 비교하여 갤럭시 Z 폴드 2에는 방수기능이 있는지 아직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갤럭시 폴드가 출시되고 나서 내구도 문제 때문에 약 5개월 동안 판매가 중단되었다가 다시 판매를 하였기 때문에 저번일의 경험을 바탕으로 내구성이 높은 힌지개발에 힘쓴듯한 느낌이 났습니다.

갤럭시 Z 폴드 2가 비쌀수 밖에 없는 근본적인 이유

삼성 언팩행사에서 갤럭시 Z 폴드 2의 가격을 공개하지 않았는데요....ㅠㅜ

많은 매체에서 (특히 미국 언론) 예상하기로 약 $2000정도로 예상을 하고 있습니다. (한화 약 240만원)

(개인적으로 갤럭시 폴드의 경우 250만원으로 출시가 되었기 때문에 갤럭시 Z 폴드 2의 가격역시 250만원 정도로 출시가 되지 않을까 예상을 하고 있습니다)

폴더블폰을 세계적으로 성공적으로 제품화 한 회사는 현재 삼성전자 밖에 없으며 폴더블에 들어가는 디스플레이가 매우 비싸기 때문에 현재로서 다른 스마트폰에 비해 비싸다는 것은 모두가 알고 있는 부분인데요...

개인적으로 삼성에서 출시하는 "폴더블"폰이 근본적으로 그리고 구조적으로 비쌀 수 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비교하기 민망?하지만 삼성이 갤럭시 폴드를 출시하였을 때 화웨이에서 메이트 X를 발표하였는데 안쪽으로 접히는 갤럭시 폴드와 달리 메이트X는 바깥쪽으로 접히는 방법을 선택하였습니다.

 

화웨이 메이트X(왼) vs 삼성 갤럭시 Z 폴드 2(오)

 

유심히 안쪽으로 접히는 구조와 바깥쪽으로 접히는 구조를 살펴보면 안쪽으로 접히는 구조의 경우 디스플레이, 카메라 같은 비싼 부품이 약 2배로 들어갈 수 밖에 없습니다.

설명을 드리자면

1. 화면의 경우 바깥쪽으로 접는 구조는 1개가 필요하지만 안쪽으로 접히는 구조는 2개(커버, 내부)가 필요합니다.

2. 카메라의 경우 바깥쪽으로 접는 구조는 전면과 후면 2 군데에 있으면 되지만 안쪽으로 접히는 구조는 커버, 후면, 내부 3군데에 적용해야 합니다.

이익이 매우 중요한 기업입장에서 아무리 부품값이 저렴해 진다고 하더라도 기존 스마트폰 제품에 비교하여 부품이 더 많이 들어가는 폴더블 가격을 싸게하는데는 한계가 분명히 있으며 안쪽으로 접는 구조의 갤럭시 Z 폴드 2의 경우 부품이 차지하는 공간이 더 많이 생기기 때문에 배터리 용량을 늘리는데 한계가 있으며 제품설계에 더 많은 노력과 비용과 시간이 들어감으로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 앞으로 비싼 부품값이 저렴해지고 기술이 성숙하더라도 기존 스마트폰 가격수준으로 떨어뜨리는 것은 매우 어려울 것으로 생각됩니다.

물론 제 예상이 틀려서 값싼 폴더블 폰이 시장에 많이 나와 대중화가 되면 좋겠지만, 단기간 안에는 접히지 않는 스마트폰과 비교하여 가격이 비쌀수 밖에는 없을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제가 전에 포스트한 글에서 애플이 9월 이벤트 전 신제품을 출시할 가능성이 있다고 다뤘었는데 오늘 새벽 애플이 새로운 iMac을 홈페이지 업데이트를 통해 출시하였습니다^^

많은 분들이 바라고 바랬던 새로운 디자인은 이번 iMac에 적용이 되지 않고 스팩 업그레이드로 진행되었습니다.

(제 예상에는 새로운 디자인의 iMac은 "애플 실리콘"을 탑제한 제품에 사용을 할 것 같으며 인텔칩이 탑제된 iMac은 이번 모델이 마지막이지 않을까 예상하고 있습니다)

에니웨이~

이번에 출시한 iMac은 21.5인치와 27인치로 2가지 사이즈 옵션이 있는데 생각보다 이 둘의 옵션 차이가 큽니다.

2020년 새롭게 출시한 iMac (21.5인치, 27인치)

 

1. 21.5인치 iMac

a. 저장공간 & RAM & 그래픽 카드

iMac 21.5인치 저장공간 & RAM & 그래픽 카드 옵션

 

이번에 출시한 21.5인치 iMac의 기본저장 공간은 드 디 어 256GB SSD로 변경이 되었습니다. 한가지 충격적인 사실은...오랬동안 우려먹었던 Fusion Drive 옵션이 아직도 있다는 것입니다;;;

256GB SSD 대신 추가금 없이 1TB Fusion Drive로 변경할 수 있지만...2020년에 SSD용량을 256GB로 해준것도 걸리는데 Fusion Drive라니...이거는 저도 참...뭐라 말을 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어쨋던 256GB SSD의 경우 고급형에는 512GB, 1TB로 업그레이드를 할 수 있으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RAM의 경우 기본으로 DDR4 8GB가 탑제가 되어 있으며 16GB 혹은 32GB로 업그레이드가 가능합니다.

DDR4로 업그레이드가 되었다는 부분을 제외하면 딱히 감흥이 없는 부분인 것 같으며 기본형은 16GB옵션만 있습니다.

그래픽 카드(GPU)의 경우 기본형에 Intel Iris Plus Graphics 640이 탑제되어 있으며 고급형에는 Radeon Pro 555X(2GB), Radeon Pro 560X(4GB), Radeon Pro Vega 20(4GB)로 업그레이드가 가능합니다.

b. 디스플레이

iMac 21.5인치 디스플레이 옵션

 

iMac 기본형의 경우 1080p LED 디스플레이(1920X1080)가 탑제되었으며 고급형에는 Retina 4K 디스플레이가 적용되었습니다. (Retina 4K 디스플레이의 경우 4096X2304 해상도를 가지고 있으며 밝기는 500nits입니다)

c. 그 외 스팩

위에 그래픽 카드를 설명드릴 때 Intel Iris Plus Graphics 640가 뭔가 익숙하다고 느끼신 분이 있으실 겁니다

그 이유는 21.5인치 iMac은 7세대, 8세대 인텔 CPU가 탑제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iMac 21.5인치 옵션

2020년에 7세대 8세대 인텔 CPU라니...(특히 고급형에 8세대라니...흐아)

"애플 실리콘"을 탑제할 iMac을 개발하느라 시간이 없어서라고 생각하면 될지...

9세대 인텔 CPU도 아닌 7,8세대 인텔 CPU를 사용한 것을 보면 애플이 이번 21.5인치 iMac에 시간과 자원을 거의 쏟지 않은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이번에 출시한 21.5인치 iMac의 구매는 추천하지 않습니다...

 

2. 27인치 iMac

21.5인치 iMac과는 달리 27인치 iMac의 경우 상당히 많은 부분에 업그레이드가 있습니다.

a. 저장공간 & RAM & 그래픽 카드

iMac 21.5인치 저장공간 & RAM & 그래픽 카드 옵션

저장공간의 경우 기본형에 256GB SSD가 기본옵션으로 있으며, 다행히도? Fusion Drive 옵션은 없으며, 고급형 iMac의 경우 SSD의 용량을 8TB까지 늘릴 수 있습니다.

참고로 8TB SSD로 늘리려면 미국 기준으로 2400달러를 지불해야 하는데...한화로 약 280만원 정도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RAM은 8GB가 기본 옵션이고 고급형의 경우 무려 128GB까지 업그레이드 가능합니다만...

RAM 업그레이드를 생각하고 계신 분들이면 애플에서 구매하지 마시고 따로 구매하셔서 장착하시는 것을 강.력.추.천 드립니다.

(126GB로 업그레이드를 하면 2600달러(한화 약 300만원)을 지불해야 하는데...금수저분들을 제외하면 차라리 따로 업그레이드를 하세요...)

그래픽 카드는 Radeon Pro 5300 4GB이 기본형에 탑제되어 있으며 고급형의 경우 Radeon Pro 5500XT 8GB, Radeon Pro 5700 8GB, Radeon Pro 5700 XT 16GB 옵션이 있습니다.

b. 디스플레이

27인치 iMac 디스플레이 옵션

 

이번 27인치 iMac에는 Retina 5K 디스플레이가 탑제되어 있으며 True Tone Display가 적용되었으며 5120X2880 해상도에 밝기는 500nit입니다.

한 가지 충격적인 부분은 Pro Display XDR에 적용된 Nano-Texture Glass옵션을 선택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Nano-Texture 설명 (출처: 애플 공식 홈페이지)

 

c. 그 외 스팩

27인치 iMac CPU 옵션

 

21.5인치 iMac과는 달리 다행히도 27인치 iMac에는 10세대 인텔 CPU가 탑제되었으며 기본형은 6코어이지만 고급형은 10코어로 업그레이드가 가능합니다.

27인치 iMac의 IO는 3.5mm 해드폰잭, SDXC 카드 슬롯, USB-A포트 4개, Thunderbolt3 2개, 인터넷 포트로 변함이 없지만 10Gb Ethernet 옵션이 추가되었습니다.

 

이번 업데이트에 제가 매우 뿌듯하게 생각한 것이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저질의 720p 카메라가 드디어 1080p카메라로 업그레이드가 됬다는 것입니다...

(네...저도 압니다...별거 아니라는걸요)

개인적으로 맥북프로를 사용하고 있는데 카메라 성능이 너~~~~~~~무 저질이라...사용을 정말 거의 안하는데 이번 팬더믹 사태 때문인지 자기들도 생각하기에 너무해서인지 업그레이드가 되었습니다^^

(몇몇 기능에 매우 짠 애플이여서...이런 작은 변화가 너무나 반가울때가 가끔 있습니다 ㅡㅡa;;;)

이번 iMac 제품을 보고나서 든 생각은

애플이 21.5인치 iMac에는 정말 신경을 안썼지만 27인치 iMac에는 신경을 썼으며

27인치 iMac을 현재 iMac Pro를 대체하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애플이 2년안에 모든 맥 제품을 애플 실리콘으로 변경하겠다고 했기 때문에 새로운 디자인을 포함하여 상당히 많은 부분의 업그레이드는 인텔 칩이 적용된 맥제품에는 사용하지 않을 것 같으며 정말 급하게 구매를 해야하는 분들이 아니라면 구매를 기다리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만약, 새 iMac을 구매하셔야 한다면 27인치를 구매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정말 21.5인치 제품은 구매를 비추합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애플이 올해 출시할 예정인 아이폰12 출시연기에 대해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해당 소식은 애플 Q3 Earning Call 당시 애플 CFO인 Luca Maestri가 직접 언급한 내용으로 사실상 아이폰 출시가 당초 예상보다 늦어진 것이 확실해졌습니다. 

Apple CFO Luca Maestri (출처: 애플 홈페이지)

 

애플이 그 동안 아이폰 출시일에 관련된 내용 언급을 안하는데...(심지어 올해 신제품을 출시한다는 말조차 안하는데) 

여튼 애플 CFO께서 직접 언급하신만큼 그 어떤 루머보다 정확한 것이라 생각됩니다.

 

이날 언급한 내용을 정리해 보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As you know, last year we started selling iPhone in late September. And I said that this year, we expect supply to be avaiable a few weeks later.”

한 마디로 작년 아이폰 11 출시날보다 몇 주 정도 후 출시된할 계획이란 말이며 적어도 미국에서 9월 이벤트에서 아이폰을 발표하고 1차 출시국 기준으로 10월정도는 되야 판매가 시작될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는 1차 출시국이 아님으로...언제 출시가 될지 알수가 없습니다)

 

이미 루머로는 올해 아이폰 출시가 늦어지는 것이 아니냐는 추측이 많았고 어제 Qualcomm에서 이름은 밝히지 않았지만 5G 기능이 있는 “Key Flagship Smartphone”이 연기됬다는 말이 있었는데 제 추측으로 아이폰12를 말하는 것 같습니다.

사실 애플이 아이폰 출시를 연기한 것이 처음은 아닙니다.

2019년에는 애플이 모든 아이폰 제품을 같은 날 판매를 하였지만 

2017년에는 아이폰X이 9월에 발표가 되고 판매는 11월에 시작하였으며 

2018년에는 아이폰 XR이 9월에 발표가 되고 판매는 10월에 시작을 하였습니다.

올해 애플이 아이폰을 9월에 발표하고 판매를 언제 시작할지 알 수가 없기 때문에 아이폰 구매를 고려하시는 분이 계신다면 제품구매시기를 적어도 11월 혹은 12월로 예상하고 계획을 세우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애플의 2분기 실적발표와 액면분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7월에 애플 3주를 추가 매입하여 현재 애플주식 60주를 보유하고 있는 주주로서 2분기 실적발표 결과에 매우 만족하고 있으며 앞으로 애플 실리콘을 기점으로 한번 더 점프를 할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하고 있습니다~^^

(당연히 꾸준히 애플주식을 매수할 계획입니다)

1. 2분기 실적

이번 2분기 실적발표를 한마디로 표현하자면 "2분기 기준 사상최대 실적"입니다~

매출의 경우 2019년 2분기 매출과 비교하여 11% 증가한 596억 9000만달러(약 71조원)을 기록하였으며

주당 순익(EPS)은 시장기대치인 2.04달러를 가볍게?넘은 2.58달러로 증가하였습니다.

2020년 2분기 실적 - 매출, EPS (출처: 애플 2분기 Financial Report,  https://www.apple.com/newsroom/pdfs/FY20-Q3_Consolidated_Financial_Statements.pdf )

팬더믹으로 경제상황이 안좋음에도 불구하고 애플은 놀랍게도 "모든 카테고리"와 "전 지역"에서 전년동기 대비 매출성장을 이뤘습니다 ^^

2020년 2분기 실적 - 지역/제품 매출 (출처: 애플 2분기 Financial Report,  https://www.apple.com/newsroom/pdfs/FY20-Q3_Consolidated_Financial_Statements.pdf )

 

제품 카테고리별 매출 내용을 자세히 살펴보면

아이폰: $25,986 -> $ 26,418 (1.6% 증가)

맥: $5,820 -> $7,079 (21.6% 증가)

아이패드: $5,023 -> $6,582 (31% 증가)

웨어러블, 홈악세서리: $5,525 -> $6,450 (16% 증가)

서비스: $11,455 -> $13,156 (14.8% 증가)

입니다~

현재 스마트폰 시장이 포화상태이고 팬더믹 상황에서 안좋을 것이라 예상했던 아이폰의 매출이 증가한 것도 놀라운데 나머지 제품/서비스 매출이 모조리 2자리 수로 증가했다는 것은 주주로서 매우 보기 좋습니다^^

2. 액면분할

2분기 실적발표와 함께 애플이 액면분할 또한 발표하였는데요~

우리나라 코스피 시가총액보다 큰 애플의 시가총액이 발표 후 하루에 무려 10.47%가 늘어 주당 $425.04가 되었습니다... ㅎㄷㄷ(시총이 이제 거의 2000조원이......)

애플 주가 그래프(2020년 7월 31일) (출처: 애플 Stock 어플)

 

액면분할 방법은 기존 1주를 4주로 늘리며 2020년 8월1일 현재 애플 주가를 기준으로 $425.04를 4로 나누면 주당 $106.26이 됩니다.

저의 경우 현재 60주를 보유하고 있음으로 액면분할 후 240주로 늘어나게 됩니다^^ (당연히 총액에는 변동이 없습니다)

삼성전자 액면분할 이후 2번째로 액면분할을 경험하게 되는데 삼성전자의 경우 액면분할 이후 주가가 좋지 않았는데 애플은 어떻게 움직일지 관심을 가지고 지켜볼 계획입니다.

분할된 주식은 주주에게 8월24일 배포가 되며 액면분할된 주식의 거래는 8월 31일부터 시작이 됩니다^^

현재와 같이 지속적으로 회사가 성장하여 내년 배당금을 더 늘려주기를 기대하며 다음 글에서 뵙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애플 실리콘의 성능이 얼마나 되는지 관련 소식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6월 WWDC 키노트에서 애플이 2년내에 인텔 CPU를 애플 실리콘 칩으로 대체하겠다는 발표를 하고 나서 많은 매체가 애플이 자사가 설계한 애플 실리콘 칩으로 무사히 변경이 가능할지, 인텔칩과 비교하여 얼마나 좋은 성능을 보여줄지 등 많은 예상과 추측을 하고 있습니다.

애플은 6월 WWDC 키노트 끝에 개발자들이 애플 실리콘 칩이 적용된 제품에 소프트웨어를 공급할 수 있도록 맥 미니 디자인의 Apple Developer Kit을 판매한다고 공시를 했습니다.

Apple Developer Kit (출처: 애플)

 

겉으로 보기에 맥 미니제품 같지만 인텔 칩이 아니라 아이패드 프로 4세대에 사용하고 있는 A12Z 칩이 적용된 제품이며 

고성능 작업의 목적이 아니라 개발자들이 애플 실리콘 칩이 탑제된 맥 제품에 자신들이 개발한 프로그램이 잘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용도지만 9to5mac에서 이 apple Developer Kit을 가지고 어느정도 성능이 나오는지 밴치마크를 돌리고 수치를 공개하였습니다.

 

수치를 확인하시기 전에 몇 가지 참고하셔야 할 부분은

1. Apple Developer Kit에 들어간 A12Z 칩은 ”아이패드”에 사용되는 칩이며 앞으로 애플이 맥 제품에 넣을 애플 실리콘과 다를 가능성이 높다는 점

2. 밴치마크를 돌리기 위해 Rosetta Emulation을 돌린 환경에서 테스트 하였다는 점 (애뮬 상태에서 테스트 하였기 때문에 점수 손해가 있습니다)

입니다.

 

밴치마크 결과 Single-Core 점수는 1098이고 Multi-Core 점수는 4555를 기록하였는데

현재 2020년 맥북에어(기본형)의 밴치마크 점수가 Single-Core 점수가 1005이며 Multi-Core 점수가 2000임을 감안하면 2019년에 사용한 아이패드 용 A12Z칩으로 이미 인텔의 저전력 i3의 성능을 뛰어넘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Apple Developer Kit 밴치마크 결과 (출처: 9to5mac)

 

애초에 쿨링팬이 고려되지 않았고 매우 얇은 공간에 사용되며 초저전력을 사용할 목적으로 설계된 A12Z칩의 성능이 이런데

더 넓은 공간과 쿨링팬과 추가전력을 사용할 수 있게 설계된 애플 실리콘 칩이 적용되면 상당한 성능을 보이지 않을까 생각이 되고 너무나 기대가 되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완전히새로운 디자인이 적용된 아이패드 미니 출시관련 루머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아이패드 제품은 아이패드 프로, 아이패드 에어, 아이패드, 아이패드 미니로 이루어져 있고

아이패드 프로 라인에만 FaceID와 새로운 디자인이 적용되어 있습니다

아이패드 프로, 아이패드 에어, 아이패드 미니 (출처: 애플 공식 홈페이지)

2018년 아이패드 프로라인에 새로운 디자인이 적용되고 나서 많은 분들이 패다른 아이패드 제품의 디자인도 바뀌기를 워원하시고 있지만 2020년 현재까지 프로모델에만 적용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아이패드 미니 관련된 루머가 나오기 시작하였는데 아이패포드 프로 디자인이 드디어 아이패드 미니에 적용이 된다는 것입니다^^

Parker Ortolani는 새 아이패드 미니 컨셉디자인을 선보였는데 아이패드 프로 디자인을 전체적으로 축소한 형태이며 만약 이 디자인처럼 제품이 출시한다면 기존 7.9인치 디스플레이 화면 기는 유지한 상태로 전체 베젤을 줄여 전체크기를 약 20%정도 줄어들 것으로 보입니다.

아이패드 미니 컨셉 이미지 (출처: Parker Ortolani, 9to5mac)

 

한편, 애플 루머소식에 정통한 Ming-Chi Kuo는 애플이 2021년 상반기에 8.5인치~9인치 디스플레이 크기를 가지는 아이패드 미니를 출시할 것으로 보도를 하였습니다.

Ming-Chi Kuo의 예측이 맞다면, 전체적인 크기는 현재 아이패드 미니와 비슷하지만 베젤을 줄여 디스플레이 크기가 커진다는 이야기인데 아이폰12의 디스플레이 크기가 6.7인치로 나올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아이폰과 아이패드 미니의 차별성을 위해 아이패드 미니의 디스플레이를 늘리는 Ming-Chi Kuo의 예상이 맞을 가능성이 더 큰 것 같습니다.

아무튼~

아이패드 미니의 예상 출시일이 내년 상반기임으로 앞으로 더 많은 루머와 컨셉 디자인이 공개될텐데 하루라도 빨리 새로운 디자인이 적용된 아이패드 미니가 출시되었으면 좋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오늘 새벽 미국주식, 더 자세히 말하자면 테슬라를 보유하고 계시는 분들이에게 호재가 발표되었습니다.

그것은~ 2020년 2분기 실적보고서가 나왔는데 2020년 1분기에 이어 흑자를 달성하였다는 것 입니다^^

테슬라의 주주 중 한명으로서 이 소식을 확인하고 아침부터 기분이 매우 좋은데요~

이번 2분기 흑자달성을 어떻게 했고 S&P 500지수 편입이 가능한지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S&P 500지수 편입 조건

당연히 어느 기업이든 S&P500 지수에 편입이 되기 위해서는 필수조건들이 있고 

이 모든 조건을 충족해야 편입이 될 “가능성”이 생기는 겁니다.

(즉 테슬라가 모든 조건을 충족하였다고 해서 “무조건 S&P 500지수에 편입”이 되는 것이 아닙니다)

 

현재 S&P 500에 편입되기 위한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S&P 500 지수 편입 조건 (출처: Investopedia,  https://www.investopedia.com/articles/investing/090414/sp-500-index-you-need-know.asp )

 

S&P 500지수 편입 조건들을 보시면 테슬라의 경우 ”4분기 연속 흑자” 조건을 제외한 나머지는 충족을 한 상태였기 때문에 이번 2020년 2분기에 흑자가 나야 모든 조건 충족이 되는 상황이 였습니다.

테슬라 2분기 보고서 (출처: 테슬라 2분기 보고서,  https://ir.tesla.com/static-files/f41f4254-f1cc-4929-a0b6-6623b00475a6 )

 

테슬라의 4분기 연속 흑자 내역을 보면 (계산하기 쉽게 원달러 환율은 1200원으로 했습니다^^;;)

2019년 3분기 (1.43억달러, 1716억원)

2019년 4분기 (1.05억달러, 1260억원)

2020년 1분기 (0.16달러, 192억원)

2020년 2분기 (1.04억달러, 1248억원)

으로 4분기 연속으로 흑자(순이익)를 달성한 것 뿐만 아니라 2020년 1분기보다 이익이 증가했음을 알 수가 있습니다~^^

(워낙 1분기 성정이 저조해서 증가세가 더 뚜렷합니다)

 

앞서 말씀드렸다시피 S&P 500 지수 조건을 모두 충족했다고 해서 자동으로 편입이 되는 것이 아니라

S&P 다우존스 인더시즈의 지수의원회에서 테슬라를 지수에 편입할 건지를 양적/질적요인 등을 고려해서 결정을 하게 되며 만약 심사에 통과가 된다면 2020년 9월부터 편입이 될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2. 2020년 2분기 실적 내용

테슬라 주주로서 당연히 테슬라가 2분기 흑자를 달성하기를 간절히 원하였지만 코로나 사태로 다른 "자동차" 기업들의 경우 판매량이 전년대비 매우 저조한 상태 였기 때문에 불안하였습니다.

세계 자동차 회사의 2020년 반기 YoY 판매 비교 (출처: 테슬라 2분기 보고서, https://ir.tesla.com/static-files/f41f4254-f1cc-4929-a0b6-6623b00475a6)

 

또한, 캘리포니아 프리몬트 공장이 한달 반정도 폐쇄가 되었었기 때문에 생산량 감소가 발생이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 예상을 하였는데 2분기 보고서에 보면 2020년 1분기와 비교하여 2분기의 생산량이 "20%"감소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테슬라 분기 제품 생산량 (출처: 테슬라 2분기 보고서,  https://ir.tesla.com/static-files/f41f4254-f1cc-4929-a0b6-6623b00475a6 )

2020년 1분기에는 차량을 102,672대 생산을 하였고 88,496대를 판매 하였는데

2020년 2분기에는 차량을 82,272대 생산을 하였고 90,891대를 판매한 것으로 발표하였습니다.

 

생산량보다 판매량이 많다는 것은 그 동안 판매하고 남은 재고물량을 2분기에 소진을 한 것으로 보이며 

앞으로 매출, 이익이 늘어나려면 생산량을 정상으로 올리고 기가/테라 팩토리를 늘리고 자체 생산 최적화를 통해 더욱 생산케파를 늘려야 할 것 같습니다.

테슬라 2분기 보고서,  https://ir.tesla.com/static-files/f41f4254-f1cc-4929-a0b6-6623b00475a6

 

한 가지 흥미로웠던 점은 테슬라의 차량 판매 실적의 경우 2020년 1분기 대비 3% 증가했지만 전년실적 대비 -5%로 감소를 하였다는 것인데요...

 

테슬라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이번 2020년 2분기 수익성의 요인으로 

1. 인건비 조정을 통한 영업비용 감소

2. Regulatory Credit 매출 증가

3. FSD(Full Self Driving) 기능출시와 지연매출 인식

이 있습니다.

테슬라 2분기 수익성 요소 (출처: 테슬라 2분기 보고서,  https://ir.tesla.com/static-files/f41f4254-f1cc-4929-a0b6-6623b00475a6 )

 

본 내용을 접하고 나서 제가 든 생각은 4분기 연속 흑자를 위해 영혼까지 끌어모은듯한? 느낌이 나는데요^^;;;

장기적으로 보았을때 논란이 많은 단차문제를 포함해서 생산체계를 더욱 개선을 하고, 전체적인 생산/판매량 증가와 로보택시/자율주행 등 혁신적인 사업모델을 성공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결론적으로 테슬라는 S&P 500 지수 편입 요건을 다 충족했기 때문에 S&P 다우존스 인더시즈의 지수의원회 분들의 평가가 잘 이루어져 S&P 500지수에 편입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베들린 기가팩토리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갤럭시 폴드 2세대로 예상되는 이미지 유출 루머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갤럭시 Z 폴드 2 이미지 (출처: Ben Geskin)

 

일단~제품명은 갤럭시 폴드 2가 아니라 갤럭시 Z 폴드 2로 알려주고 있는데요~

만약 제품명이 사실이라면 앞으로 삼성에서 폴더블 제품라인을 "갤럭시 Z"로 통합해서 출시를 할 것 같습니다

 

현재 몇몇 매체에서 위에 있는 이미지가 8월 5일에 진행 될 예정인 삼성 언팩행사 때 사용할 이미지가 유출이 됬다고 하는데 

현재 확실한 것은 해당 이미지가 애플,삼성제품 관련 루머에 정통한 Ben Geskin이 자신의 트위터에 업로드 한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갤럭시 Z 폴드 2 렌더링 이미지 (출처: Ben Geskin 트위터,  https://twitter.com/BenGeskin/status/1285172833698578433 )

 

제 예전 갤럭시 폴드 2세대 관련 글에서 Ben Geskin이 업로드한 예상 이미지를 보여드렸었는데 이번에 업로드 된 이미지와 비교하면 상당히 비슷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갤럭시 폴드 2세대 렌더링 이미지 (출처: Ben Geskin)

 

이 이미지들과 그 동안 루머로 알려진 갤럭시 Z 폴드 2의 상세 스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디스플레이: 6.23 인치(앞면), 7,7인치(안쪽)

2. 화면 주사율: 120Hz

3. AP: Snapdragon 865 Plus

4. 램: 12GB

5. 저장공간: 256GB, 512GB

6. 카메라: 12MP 메인 카메라, 64MP 텔러포토, 12MP 울트라 와이드 렌즈, 10MP 전면 카메라(2개)

7. 배터리 용량: 4365mAH

 

전작인 갤럭시 폴드의 경우 안쪽화면에 카메라가 있는 부분에 큰 노치가 있었는데 갤럭시 Z 폴드 2 의 경우 인피니티 O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듯 합니다.

 

갤럭시 Z 폴드 2의 예상가격의 경우 

ETNews : 239만원 (약 $2,000)

Ross Young(Toms Guide 보도 내용) : $1780~$1980 (한화: 213만원 ~ 237만원)

Riccolo (Twitter Leaker) : €2,000 (한화: 276만원)

 

이 가격이 정확한 정보는 아니지만 대략적으로 예측되는 가격은 2백만원을 넘을 것으로 예상되는데...

200만원보다는 낮게 측정이 되서 출시가 되면 좋을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