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글에서는 애플이 아이폰12 발표와 함께 소개할 가능성이 높다고 알려진 애플의 서비스 번들 "Apple One"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애플 루머에 정통하다고 알려진 분 중 하나인 Bloomberg의 Mark Gurman에 의하면 10월 아이폰 12 출시와 함께 애플이 여러 단계(tier)의 애플 서비스를 같이 발표할 가능성이 높다고 하는데, 완전히 새로운 서비스라기 보다는 기존에 있는 서비스, 즉 애플 뮤직, 애플 tv+, 애플 뉴스+, 애플 아케이드, 아이클라우드 등의 서비스를 번들로 묶어서 어느정도 할인을 하여 제공을 하는 것 입니다.
현재까지 거론되는 루머상으로 서비스 번들의 이름은 "Apple One"이며
기본 번들 서비스는 애플 TV+와 애플 뮤직이고 가격은 한달에 약 $5선으로 예상을 하고 있으며, 다른 서비스가 추가가 되면 서비스 가격이 점차 올라가는 구조로 되어 있늘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애플에서 자사 제품을 사용하고 있는 고객 중 약 6억명을 2020년까지 애플 서비스 가입 목표를 하였으며 저번 Earning call 때 목표치에 순조롭게 진행중이며 앞으로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을 하였습니다.
이는 애플이 서비스 회사로 거듭나기 위해 가능한 여러 서비스를 현재 고객 혹은 신규 고객에게 어필하고 경험을 하게 하여 구독을 하게 만들려는 전략으로
더 많은 고객에게 유료서비스를 공급하기 위해 "번들 서비스"를 추진하는 것으로 유료 서비스 가입자가 늘어날 수록 애플이 거둘 이익은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어제 출근하고 한통의 카톡을 받았는데 삼성전자 배당금 통지서에 이어 애플 배당금 입금내역을 받았습니다~^^
현재 애플 분기 배당금은 1주당 $0.82로 배당률이 약 0.71%입니다~
애플 기업 정보 (출처: 애플 주식어플)
현재 애플주식을 63주 보유중이지만, 배당락일 후에 3주를 매수했기 때문에 이번분기 배당금은 60주를 기준으로 받았습니다. (60주 X $0.82 = $49.2 (세전 기준))
이번달 삼성전자 배당금이 임급되면 애플주식을 추가 매수하여 다음 분기 배당금을 늘릴 계획입니다^^
삼성전자 배당금의 경우 약 2.4%로 은행 이자보다 수익률이 높은데 반해 애플 배당률은 0.71%여서 배당매력이 떨어진다고 생각을 할 수 있으나 주가가 상승하는 만큼 배당률이 떨어지기 때문에 단순히 배당률 숫자를 보고 투자하기 보다는 주가가 꾸준히 올라가는지, 그리고 기업이 꾸준히 배당금을 늘려주는지 확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오늘도 지친몸을 이끌고 퇴근을 하고 집에 도착하였는데 유편물 수령함에 한줄기의 빛이 비취지는 듯한 모습으로 저를 기다린 편지 한통이 있었으니...
그것은 바로 한국예탁결제원에서 보낸 삼성전자 배당금 통지서 입니다~^^
제가 보유하고 있는 미국주식은 거의 IT계열 주식이기 때문에 말 그대로 날라가고 있는데
삼성전자는 비교적 부진?한 면이 있어서 국내주식을 정리하고 해외주식으로 갈아탈까?란 생각을 하며 고민을 하고 있었는데 배당금 통지서를 받고나니 장기투자 의욕이 다시 살아나는 것 같습니다^^
2020년 8월 13일 기준으로 삼성전자 800주를 보유하고 있으며 분기 배당금으로 283,200원을
2020년 8월 19일에 받게 됩니다~^^
저의 경우 의지가 약하기 때문에 단타와 조금 수익이 났을 때 매도의 유혹이 많은데
장기투자를 할 때 연간 배당금이 아닌 분기 배당금을 수령하게 되면 장기투자에 심리적, 경제적으로 확실히 도움이 되는 것 같습니다.
이번에 들어온 배당금과 이번달 월급에서 애플 주식을 사고남은 현금을 합쳐서 애플주식을 추가로 매수할 계획이며 이번달에는 애플과 스타벅스 배당금 또한 수령 예정이기 때문에 노동수입 외에 투자수익으로 총 3번을 받게 될 예정입니다~ (배당금을 받는 맛에 회사주식을 모아가는 재미가 쏠쏠합니다^^)
제가 배당수익을 재투자하는 이유는 최대한 복리효과를 누리기 위함인데요~
어제 제가 포스팅한 글에 단순히 월급의 일정금액을 꾸준히 저축하였을때와 배당금을 같이 재투자 했을때 복리수익 차이가 크기 때문에 시간이 걸려도 최대한 투자수익은 전부 재투자를 할 계획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현재 진행하고 있는 재테크를 유지하면 혹은 진행할 재테크 계획으로 언제 30억을 모을 수 있는지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짧은 금융지식과 투자경력을 가진 저이지만...막연히 생각하는 것 보다, 한번 진지하게 최종목표 금액을 정하고 현실적으로 계산을 해본 것과 안해본 것은 그 차이가 매우 다르다고 생각을 하고 있기에 실제로 계산을 해보았습니다)
제목을 30억으로 정한 이유는 간단하게 계산해서 최소 배당금으로 월 500만원을 받을 수 있는 최저 금액이라고 생각을 하기 때문입니다.
(계산을 하기 전에 앞서 말씀을 드리자면, 계산을 쉽게 하기 위해서 세금은 계산에 넣지 않고 진행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월 500만원을 받으면 1년에 총 6000만원을 받는 수익 파이프라인을 만들어야 합니다.
현재 우리나라 1등기업 삼성전자 기준으로 배당금이 약 2.4%정도 나오니 좀 더 안전?하게 연 이율 2%를 배당으로 받는다는 가정하에 계산하면 필요한 원금이 30억원이 됩니다. (30억 X 2% = 6000만원)
(물론!!! 종목에 따라 배당금을 더 많이 지급하는 종목도 있고 덜 지급하는 종목도 있어 어떻게 포트폴리오를 조합하냐에 따라 필요한 원금이 달라지지만...우리나라 1등 기업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아 진행했습니다^^;;)
삼성전자 종목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 기준일: 2020/8/12)
자~그럼 본론으로 들어가서 현재 진행하고 있는 혹은 진행할 재테크로 언제 30억을 모을 수 있는지 계산을 해보도록 할텐데요~
계산하기 전에 몇 가지 가정을 하고 계산을 할 생각이며 그 가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세금 제외 (계산하기 편하기 위해....^^;;;)
2. 일정한 수익률 (장기투자이기 때문에 30억이 모을때까지 수익률을 평균?으로 계산)
3. 매달 일정금액을 전부 투자
4. 일정한 배당금 %
5. 수익률과 배당금은 작년 총 자산에서 계산
자 그럼~
전 재테크를 한 5년동안 월급을 받으면 매월 약 150만원 정도 주식투자를 하였고 연 평균 수익률은 약 8% 정도 됩니다.
(물론 매년 약 8% 수익이 난 것은 아니며 2015년 9월부터 2020년 8월까지 수익률을 5년으로 나눈 수치에서 약 1% 뺐습니다)
2015년 9월 부터 2020년 8월까지 이익률 (출처: 미레에셋 증권 어플)
이 수치들을 엑셀에 기입해서 계산을 하는데 계산 공식은
첫 1년: 매달 투자액 X 12개월
첫 1년 이 후: 작년 총 자산 + (작년 총 자산 X 년간 수익률) + (올해 매달 투자액 X 12개월)
이며엑셀 계산 결과 매달 150만원씩 연 8% 수익률을 유지하면 30억을 모으는데 필요한 시간은 34~35년입니다.
(막상 계산하니 오래걸리네요.....ㅡㅡa;;;;;;)
30억을 모으기 위해 약 35년 동안 매달 150만원 이상 연 수익률 8%를 유지해야 30억을 만들 수 있다는 계산이 나와서 절망을 느낄 수도 있는데요...
한 가지 계산에 포함하지 않은 것은 바로 매년 지급되는 배당금입니다!!!
자 과연 배당금을 계산에 포함하면 30억 모으는 시간이 많이 달라질까요??
앞서 계산했듯이 배당금을 연 평균 2%를 지급받는 가정으로 30억을 모으기 위해 사용한 공식은
첫 1년: 매달 투자액 X 12개월
첫 1년 이 후: 작년 총 자산 + (작년 총 자산 X 년간 수익률) + (올해 매달 투자액 X 12개월) + (작년 총 자산 X 년간 배당률)
이며엑셀에 계산을 해보면 매달 150만원씩 투자하고, 연 수익률 8%을 유지하며, 배당금 2%를 지급받고 그 금액을 그대로 재투자하면, 30억을 모으는데 필요한 시간은 30년으로 계산이 됩니다.
보시는 것과 같이 2%의 적게 보이는 배당금을 재투자하는 것으로 30억을 모으는데 필요한 시간을 5년 앞당길 수 있다는 것은 매우 의미가 있는 결과인 것 같으며 포트폴리오 조정을 통해 배당금 %을 늘리면 이 역시 30억을 모으는데 필요한 시간을 더 앞당길 수 있습니다.
막연히 생각만 해보다가 막상 계산을 해보니 현실적으로 30억을 모으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 절실히 깨닮았는데요...100세 시대이며 동시에 자본주의 시대에 사는만큼 꾸준하게 연수익률을 늘리고 유지하며 최대한 많이 배당금을 받는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을 해야할 것 같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출시할 예정인 클라우드 게임 플렛폼인 xCloud에 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xCloud는 베타 테스트 서비스가 종료가 되었고 2020년 9월 15일에 ”xbox Game Pass 얼티밋“ 플랜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공식발표가 있는 상황임으로 다음달에 정식서비스를 이용할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xCloud 베타 테스트를 통해 클라우드 게임을 경험을 해봐서 하루라도 빨리 정식으로 시가 되기를 기다리고 있었는데 드디어 다음달부터 즐길 수 있게 되었습니다.
클라우드 게임이 무엇인지 모르시는 분을 위해 잠깐 설명을 드리자면
기존 고사양 게임을 즐기기 위해서는 사양이 높은 컴퓨터, 플스 혹은 엑스박스 같은 콘솔이 있어야만 게임진행이 가능했습니다. (물론 옵션을 낮추는 방법으로 진행이 가능했지만 이 방법 또한 어느정도 컴퓨터 사양이 받쳐줘야만 가능했죠)
클라우드 게임 플렛폼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인데
기존 컴퓨터나 콘솔에서 처리하던 복잡하고 무거운 그래픽 연산같은 작업을 클라우드 서버에서 처리를 하고 나서 사용자가 이용하는 전자기기 화면에 인터넷으로 결과를 전달을 하는 방식입니다.
한마디로 정리하면, 저사양의 컴퓨터, 윈도우 기반이 아닌 핸드폰, 태블릿에서도 클라우드 게임 회사가 지원을 하고 인터넷 속도가 양호하다면 언제든 어디서든 화면이 있는 전자기기를 사용하여 게임을 즐길 수 있게 된다는 것입니다.
(당연히 마이크로스프트에서만 하는 것이 아니라 엔비디아의 GeForce Now, 구글의 Stadia 같은 서비스가 같은 클라우드 게임 플렛폼에 속합니다)
클라우드 게임이 신 사업인만큼 각사에서는 자사의 클라우드 게임 플랫폼을 홍보하고 있으며
마이크로로소프트의 경우 8월 5일 삼성언팩 행사에서 갤럭시 노트20 시리즈를 발표하였을 때 핸드폰 구매시 마이크로스프트의 xCloud 서비스를 소개하고 3개월 무료로 제공을 해준다는 소식이 있었습니다.
혹시나 해서 드리는 말씀이지만마이크로소프트의 xCloud를 즐기기 위해 굳이, 꼭, 반드시 갤럭시 노트20을 구매 해야하는 것이 아니라윈도우 PC와 안드로이드 스마트폰/태블릿 임으로 현재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을 사용하시는 분들이면 이용이 가능합니다. (안드로이드 6.0이상, Bluetooth 4.0이상)
(여담으로 제가 xCould 베타 서비스를 이용할 때 사용한 기기는 갤럭시 S7이며 베타여서인지 플스4 컨트롤러 기준으로 R2, L2버튼 인식이 안되었는데 정식서비스가 출시되야 고쳐젔는지를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 xCould 지원기기
마이크로소프트 xCloud의 아쉬운 점...(Feat. 애플기기)
여튼, 여기까지 읽으신 분들이면“아이폰, 아이패드는?????”이란 의문을 가지는 분들이 계실 것으로 생각됩니다.
(왜냐하면 제가 그랬거든요.....^^a;;;;;)
마이크로소프트 홈페이지와 여러 뉴스 사이트를 찾아 본 결과...
2020년 9월 15일 출시할 때는 안타깝게도 애플 제품인 아이폰, 아이패드에서는 지원을 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OTL
여담으로 말씀드리자면 현재 애플과 마이크로소트트 간에 클라우드 게임 지원이 안되는 책임을 서로 미루고 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 xClloud 출시 관련 애플 vs 마이크로소프트 (출처: Apple Insider)
데스크탑을 제외하고 핸드폰, 태블릿 노트북이 전부 애플제품인 저로서는 xCloud가 정식지원이 안된다는 사실이 너무나 아쉽고 조금 짜증이 나는데요...
양사가 합의를 하던,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앱스어토어를 통한 방식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지원을 하던 하루라도 빨리 해결방법을 찾아서 애플제품에서도 서비스를 받을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