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2년 2번째 배당금으로 생활비 벌기 프로젝트 상황을 공유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020년 7월 8일에 처음으로 제가 보유하고 있는 종목, 투자 기준, 그리고 다달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기반으로 매달 얼마의 배당금을 받을 수 있는지 알아봤었고 변동사항이 있을때 마다 업로드를 하고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잘 아시듯이, 올해 초 연준에서 테이퍼링, 금리인상, 양적긴축을 세계적으로는 러시아 분쟁, 유가 상승, 유럽 중앙은행 금리인상 등 이슈에 따라 시장 변동성이 매우 커진 상황입니다 ㅠㅜ

하지만 전 제 원칙에 따라 좋은 주식을 꾸준하게 사모으는 전략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계획입니다^^

2022년 2월 8일 보유 주식 & 배당금

1. 삼성전자 - 800주

2. 애플 - 302주

3. 스타벅스 - 160주

4. 코카콜라 - 280주

5. 구글 - 10주

6. 테슬라 - 100주

7. 존슨앤존슨 - 60주

2022년 2월에는 애플과 스타벅스에서 배당금을 받을 예정이며 다음달에는 존슨&존슨에서 배당금을 받을 예정입니다~^^

현재 포트볼리오 비중의 큰부분인 테슬라와 구글에서​ 배당금 지급을 안하고 있기 때문에 전체 배당금 %가 낮지만 전체자산 사이즈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성장주도 포함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2021년에는 배당주 위주의 매수를 진행하여 연간 배당금 수령금액을 약 270만원으로 증가시켰습니다.

원래 계획은 꾸준하게 배당주 위주로 매수할 생각이였으나, 최근 여러 이슈들과 2021년 대비 2022년에 다이던스가 나쁜 기업들이 시장에서 냉정한 평가를 받는 것을 봤습니다.

해서, 2022년 초반에는 성장주, 배당주를 따지지 않고 2022년에 안정적으로 이익을 낼 수 있는 기업에 투자해야겠다고 생각을 하였으며, 100% 투자하는 것이 아니라 일단 매달 투자하는 금액의 50%정도를 달러로 보유하여 혹시 모를 폭락시기때 줍줍을 할 예정입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visionTECH입니다^^

오늘 미국장 시작전 주가를 확인하였는데 구글(알파벳)의 시외가격이 10%이상 상승하는 것을 확인하여

뭔가 호재가 터졌을거란 생각이 스쳐서 확인한 결과 이번 earning 발표에서 상당히 좋은 실적을 낸것 이외에

20대1 주식분할을 시행한다는 발표가 있었습니다^^

구글 주가 (출처:야후 파이넨스,  https://finance.yahoo.com/quote/GOOG/chart?p=GOOG#eyJpbnRlcnZhbCI6ImRheSIsInBlcmlvZGljaXR5IjoxLCJ0aW1lVW5pdCI6bnVsbCwiY2FuZGxlV2lkdGgiOjgsImZsaXBwZWQiOmZhbHNlLCJ2b2x1bWVVbmRlcmxheSI6dHJ1ZSwiYWRqIjp0cnVlLCJjcm9zc2hhaXIiOnRydWUsImNoYXJ0VHlwZSI6ImxpbmUiLCJleHRlbmRlZCI6ZmFsc2UsIm1hcmtldFNlc3Npb25zIjp7fSwiYWdncmVnYXRpb25UeXBlIjoib2hsYyIsImNoYXJ0U2NhbGUiOiJsaW5lYXIiLCJzdHVkaWVzIjp7IuKAjHZvbCB1bmRy4oCMIjp7InR5cGUiOiJ2b2wgdW5kciIsImlucHV0cyI6eyJpZCI6IuKAjHZvbCB1bmRy4oCMIiwiZGlzcGxheSI6IuKAjHZvbCB1bmRy4oCMIn0sIm91dHB1dHMiOnsiVXAgVm9sdW1lIjoiIzAwYjA2MSIsIkRvd24gVm9sdW1lIjoiI2ZmMzMzYSJ9LCJwYW5lbCI6ImNoYXJ0IiwicGFyYW1ldGVycyI6eyJ3aWR0aEZhY3RvciI6MC40NSwiY2hhcnROYW1lIjoiY2hhcnQifX19LCJwYW5lbHMiOnsiY2hhcnQiOnsicGVyY2VudCI6MSwiZGlzcGxheSI6IkdPT0ciLCJjaGFydE5hbWUiOiJjaGFydCIsImluZGV4IjowLCJ5QXhpcyI6eyJuYW1lIjoiY2hhcnQiLCJwb3NpdGlvbiI6bnVsbH0sInlheGlzTEhTIjpbXSwieWF4aXNSSFMiOlsiY2hhcnQiLCLigIx2b2wgdW5kcuKAjCJdfX0sInNldFNwYW4iOnt9LCJsaW5lV2lkdGgiOjIsInN0cmlwZWRCYWNrZ3JvdW5kIjp0cnVlLCJldmVudHMiOnRydWUsImNvbG9yIjoiIzAwODFmMiIsInN0cmlwZWRCYWNrZ3JvdWQiOnRydWUsImV2ZW50TWFwIjp7ImNvcnBvcmF0ZSI6eyJkaXZzIjp0cnVlLCJzcGxpdHMiOnRydWV9LCJzaWdEZXYiOnt9fSwic3ltYm9scyI6W3sic3ltYm9sIjoiR09PRyIsInN5bWJvbE9iamVjdCI6eyJzeW1ib2wiOiJHT09HIiwicXVvdGVUeXBlIjoiRVFVSVRZIiwiZXhjaGFuZ2VUaW1lWm9uZSI6IkFtZXJpY2EvTmV3X1lvcmsifSwicGVyaW9kaWNpdHkiOjEsImludGVydmFsIjoiZGF5IiwidGltZVVuaXQiOm51bGwsInNldFNwYW4iOnt9fV19 )

 

구글 2022년 주식분할 부분 (출처: 4분기 Earning report,  https://abc.xyz/investor/static/pdf/2021Q4_alphabet_earnings_release.pdf )

 

2월1일 발표한 구글 Earning Report에 주식분할 소식이 있었는데

2022년 7월 1일을 기준으로 20대1 분할을 7월 15일에 단행한다는 부분이 있었습니다^^

개인적으로 삼성전자, 애플, 테슬라에이어 4번째 주식분할을 경험하는 것으로 주주로서 매우 기쁜소식인 것 같습니다~

현재 구글의 주식가격은 주당 약 3000달러임이로 저는 구글을 10주 보유중임으로

7월15일이 지나면 주당 150달러에 주식수가 200주로 변경될 예정입니다~

주식분할이 이루어지면 주당 가격이 싸지기 때문에 보다 많은 자금이 들어올 가능성이 커지며

미국 빅테크 기업들은 꾸준하게 짜사주 매수&소각을 진행하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호재임은 틀림없는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저 뿐만 아니라 많은 분들이 2022년이 되고 예상보다 강한 하락장이 펼쳐지면서

어떻게 대처를 해야할지, 시장이 어떻게 변해갈지 등 많은 생각과 고민을 하고 계실거라 생각됩니다.

2022년 시작 후 현재까지 S&P500 종목 수익률 (출처: Finviz,  https://finviz.com/map.ashx?t=sec&st=pe )

 

S&P 500에 포함되어 있는 대부분의 기업의 올해 수익률이 마이너스인 것을 볼 수 있는데요...

제가 가지고 있는 종목의 상황을 보면 코카콜라를 제외한 나머지 종목은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애플: -8.54%

구글: -10.01%

테슬라: -10.68%

스타벅스: -17.66%

코카콜라: +2.09%

존슨 앤드 존슨: -3.62%

제가 생각하는 현재 미국 주식시장의 하락폭을 부추기는 요인들의 발생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코로나 사태로 연준에서 엄청난 유동성을 시장 뿐만 아니라 국민들에게 직접 공급 (양적완화(QE), 지원금, 기타)

2. 전염병의 확산세로 기업들이 수요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하여 제품 생산량 축소 및 세계 공급망 축소

3. 기본생활에 필요한 돈 이상으로 지원금을 받은 국민들의 제품수요가 기업 예상보다 폭팔 (전자기기, 자동차 등)

4. 예상치 못한 강한 수요를 맞추기 위해 뒤늦게 기업에서 생산을 늘리지만 원활하지 않은 세계 공급망, 많은 지원금을 받은 국민들의 일자리 복귀 지연, 원재료 가격 상승, 예기치 못한 국제정세 (산유국 분쟁 등) 등으로 강한 인플레이션 발생

5. 각 기업에서 필요한 인력을 확보하기 위해 전반적인 임금 상승 (임금상승으로 인한 원자재, 제품가격 상승 압박)

6. 일시적인 인플레이션으로 예상하고 대처할 것 같았던 연준의 태도변화

7. 2021년 말 연준에서 언급했던 기존 테이퍼링 종료시점과 금리인상 시점을 앞당길 가능성 시사

8. 테이퍼링, 금리인상에 이어 시장이 예상하지 못했던 양적긴축(QT) 언급

9. 미국 행정부(바이든 대총령)의 발언 (연준의 독립성을 지지하며 인플레이션에 적극적으로 대처해야함을 강조)

물론 제가 언급했던 부분 이외에 다른 요소가 많으며 현재 미국 주식시장은 너무나 많은 불확실성 때문에 조그만 악재에도 엄청난 영향을 받는 것 같습니다.

1월 첫째 주 정도에 전 개인적으로 금리인상과 양적긴축 시기에는

수익이 안나는 성장주가 엄청난 타격을 받을 것이라 예상을 하고

수익을 내고 있는 성장주의 경우 단기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는 있지만 빠르게 회복을 할 것이라 생각을 하였는데...

저번주 Netflix 실적발표 이후로 하루에 주가가 -21.79% 하락하는 것을 목격하고 나서

실적이 뛰어난 기업이라 하더라도 2021년 대비 2022년 실적이 꺾이면 언제든지 엄청난 주가하락이 펼쳐질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하였습니다;;;;;;

Netflix 1개월 주가 추이 (출처: 애플 기본 주식 어플)

 

미국 주식시장 예상 시나리오와 나의 대처

 

2022년 미국시장의 경우 2020, 2021년에 비해 수익을 내기 상당히 난이도가 높을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연준에서는 3월까지 테이퍼링을 종료하고 금리인상을 3~4번 진행을 하며 연말에 양적긴축(QT)을 할 것으로 보이는데요...

만약 연준에서 이 시나리오보다 강한 행동을 보이면 시장이 발작을 일으킬 것 같습니다.

(금리인상 횟수를 늘린다던지, 역사적으로 0.25%씩 금리인상을 했는데 한번에 0.5%로 인상한다던지, 양적긴축을 연말이 아니라 6월부터 한다던지 등)

올해 저희 투자 목표는 결과가 수익이던 손해이던 "시장평균보다 좋은 결과"를 내는 것입니다

(사실 매년 최종 목표가 전 시장 평균보다 높은 수익을 내는 것으로 엄청나게 힘든 목표입니다^^;;;;)

불확실성이 크고 시장상황이 좋지 않은 이럴때일수록 저는 1등 기업에 투자를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일단 제 포트폴리오를 보면 시가총액 기준이던 산업이던 1등 기업(혹 강력한 브랜드 파워)만 매수해 왔습니다.

1. 삼성전자 (우리나라 기준 시가총액 1등, 반도체 1등, 기타)

2. 애플 (미국기준 시가총액 1등, 스마트폰 1등, 스마트 워치 1등, 웨어러블 1등, 기타)

3. 테슬라 (전기차 1등)

4. 구글 (검색 1등, 스트리밍(동영상) 1등, 기타)

5. 코카콜라 (음료 1등)

6. 스타벅스 (커피 1등)

7. 존슨 앤드 존슨 (제약 1등)

개인적으로 2022년 미국시장에서는 애플이 시장을 판단하는 기준점이 되고 애플과 거리가 멀수록 변동폭이 클 것으로 예상을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1월 애플의 실적발표 이후에 시장이 어떻게 변동하는지를 관찰하면 최소 단기적으로 주식시장이 어떻게 될 것인지 가닥이 잡힐 것 같으며,1월 FOMC 회의가 전체 시장의 방향성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포인트가 될 것 같습니다.

제 포트폴리오 비중 중 IT/기술주 비중이 85%에 육박하기 때문에 2021년에는 꾸준히 배당주 위주로 매수를 진행하였는데 올해는 산업, 배당금 지급여부에 상관없이 원재료, 임긍상승으로 인한 이익감소 요소에도 불구하고 2021년 대비 올해 최소한 수익률이 유지가 되는 기업을 위주로 매수를 진행할 생각입니다. (즉, 탄탄한 브랜드 파워를 바탕으로 최악의 경우 소비자에게 비용전가가 가능한 기업)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2년 1번째 배당금으로 생활비 벌기 프로젝트 상황을 공유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020년 7월 8일에 처음으로 제가 보유하고 있는 종목, 투자 기준, 그리고 다달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기반으로 매달 얼마의 배당금을 받을 수 있는지 알아봤었고 변동사항이 있을때 마다 업로드를 하고 있습니다^^

2020년에 이어 작년 2021년에도 시장평균보다 높은 투자수익을 기록해서 재테크가 순조롭게 진행이 되고 있는데

올해 초에 연준에서 테이퍼링, 금리인상에 이어 양적긴축 가능성이 거론됨에 따라 시장 변동성이 매우 커진 상황입니다 ㅠㅜ

하지만 전 제 원칙에 따라 좋은 주식을 꾸준하게 사모으는 전략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계획입니다^^

 

 

2021년 1월 8일 보유 주식 & 배당금

1. 삼성전자 - 800주

2. 애플 - 300주

3. 스타벅스 - 160주

4. 코카콜라 - 275주

5. 구글 - 10주

6. 테슬라 - 100주

7. 존슨앤존슨 - 60주

2022년 1월에는 배당금이 없는 달이여서 허전하지만 다음달에는 애플과 스타벅스에서 배당금을 받을 예정입니다^^

현재 포트볼리오 비중의 큰부분인 테슬라와 구글에서​ 배당금 지급을 안하고 있기 때문에 전체 배당금 %가 낮지만 전체자산 사이즈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성장주도 포함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당분간은 매도를 하지 않으면서 배당 월급날 배당주 위주로 매수하는 전략으로 움직이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1년 투자내역과 결과가 어떻게 됬는지 정리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2020년에는 코로나 때문에 지옥과 천국을 왔다갔다 했었지만 결론적으로는 세자리수 수익률을 기록한 역대급 결과를 얻었었습니다.

때문에 2021년에는 2020년보다 시장이 안좋지 않을까하는 불안한 마음이 컸었는데 다행히도 2021년에도

손해를 보지 않았으며 시장보다 좋은 수익률을 기록한 한해였습니다^^

기존 부유 종목 & 추가 투자 종목

2020년 12월 31일 종합잔고

 

2021년 12월 31일 종합잔고

 

1. 삼성전자: 800주 -> 800주 <변동 없음>

2. 삼성전자우: 20주 -> 0주 <-20주>

3. 애플: 280주 -> 300주 <+20주>

4. 알파벳A(구글): 10주 -> 10주 <변동 없음>

5. 코카콜라: 185주 -> 265주 <+80주>

6. 스타벅스: 110주 -> 155주 <+45주>

7. 테슬라 100주 -> 100주 <변동 없음>

8. 존슨 앤드 존슨: 60주 <신규 편입>

2021년 12월 31일 기준으로 제 자산의 평가금액은 339,704,497원이며

한해동안 국내주식은 삼성전자우를 20주 매도 후 미국 주식을 매수하였으며, 삼성전자는 매수/매도를 하지 않았습니다 .

미국주식은 배당을 늘리기 위해 애플, 코카콜라, 스타벅스를 추가로 매수하였으며, 신규편입으로 존슨 앤드 존슨를 매수하였습니다.

2021년 투자 수익률 & 월별 평균 매수 금액

 
 

2021년 12월 31일 기준 자산(왼), 2021년 투자 수익률(오)

2021년은 2020년에 이어 정말 운이 좋게도 수익률은 39.61%를 기록하였으며, 투자수익이 1억을 돌파하다가 마지막에 떨어져서 93,741,234원으로 마무리를 하였습니다만 노동소득과 합치면? 올 한해 1억이상을 벌었습니다 ^^a;;;;;

제 투자원칙은 매달 월급의 50% 이상을 월급날 혹은 주간 단위로 꾸준하게 주식을 매수하는 것이여서 150만원 이상을 투자하는 것에 집중하였으며 용돈, 보너스 그리고 추가 수입(배당금, 용돈 등)이 있는 경우 전부 주식투자에 사용을 하였습니다.

2021년 1월부터 12월까지 꾸준하게 월급, 용돈, 보너스를 투자하였으며 총 20,660,000원을 추가투자하였으며 월간 약 170만원어치의 주식을 매수하였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visionTECH 입니다^^

2021년 10월에 제가 수익 5000만원 돌파기념? 글을 포스팅을 하였는데

2달만에 수익률 1억을 돌파하였습니다~^^

https://blog.naver.com/vision0752/222542084076

 

[visionTECH] 2021년 수익 5000만원 달성~!!

안녕하세요?visionTECH입니다~^^ 2021년 10월 19일 기준으로 올해 투자 수익률 21.3%로 올해 제 재테크...

blog.naver.com

 

 

 
 

2021년 12월 28일 기준으로 제 자산의 가치는 약 3억4600만원이고

약 6개월동안 유일하게 마이너스였던 존슨&존슨도 수익구간으로 들어와서 전 종목 수익을 내고 있는 상황입니다^^

아직 2021년이 끝난것이 아니기 때문에 올해 수익이 1억 밑으로 떨어질 수도 있으나

현재 높은 확률로 2020년에 이어서 수익 1억 이상 달성할 가능성이 커졌으며, 회사에서 벌고 있는 노동수입보다 투자소득이 더 큽니다~~

인간은 시간이 지날수록 늙기 때문에 결국은 노동소득으로 생활하는 방식을 투자소득으로 생활하는 방식으로 변경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궁극적으로는 회사에서 나오는 배당금이 현재 노동소득을 추월하는 현금흐름을 만드는데 집중할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1년 12번째 배당금으로 생활비 벌기 프로젝트 상황을 공유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020년 7월 8일에 처음으로 제가 보유하고 있는 종목, 투자 기준, 그리고 다달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기반으로 매달 얼마의 배당금을 받을 수 있는지 알아봤었고 변동사항이 있을때 마다 업로드를 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제 자산 트렌드를 보면 올해도 손해를 보지 않으면서 은행이자보다 많이 벌고 있고, 주가가 오르지 못하는 종목(특히 존슨앤드존슨...ㅠㅜ)은 비싸지 않게 매수할 수 있는 타이밍이라고 생각하고 꾸준하게 매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2021년 12월 8일 보유 주식 & 배당금

1. 삼성전자 - 800주

2. 애플 - 300주

3. 스타벅스 - 150주

4. 코카콜라 - 250주

5. 구글 - 10주

6. 테슬라 - 100주

7. 존슨앤존슨 - 55주

2021년 11월에는 삼성전자, 애플 그리고 스타벅스에서 배당금을 받았으며, 이번달에는 코카콜라와 존슨앤드존슨에서 배당금을 받을 예정입니다^^

현재 포트볼리오 비중의 큰부분인 테슬라와 구글에서​ 배당금 지급을 안하고 있기 때문에 전체 배당금 %가 낮지만 전체자산 사이즈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성장주도 포함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당분간은 매도를 하지 않으면서 배당 월급날 배당주 위주로 매수하는 전략으로 움직이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1년 11번째 배당금으로 생활비 벌기 프로젝트 상황을 공유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020년 7월 8일에 처음으로 제가 보유하고 있는 종목, 투자 기준, 그리고 다달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기반으로 매달 얼마의 배당금을 받을 수 있는지 알아봤었고 변동사항이 있을때 마다 업로드를 하고 있습니다^^

올해 상반기 수익률은 작년에 비해 상당히 미비했었는데 10월 중순부터 테슬라의 주가 급등으로 자산가치가 높아졌습니다^^ 

아무튼~ 올해도 손해를 보지 않으면서 은행이자보다 많이 벌고 있고, 주가가 오르지 못하는 종목은 비싸지 않게 매수할 수 있는 타이밍이라고 생각하고 꾸준하게 매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2021년 11월 8일 보유 주식 & 배당금

1. 삼성전자 - 800주

2. 애플 - 300주

3. 스타벅스 - 150주

4. 코카콜라 - 250주

5. 구글 - 10주

6. 테슬라 - 100주

7. 존슨앤존슨 - 50주

2021년 10월에는 코카콜라에서 배당금을 받았으며, 이번달에는 삼성전자, 애플 그리고 스타벅스에서 배당금을 받을 예정입니다^^

현재 포트볼리오 비중의 큰부분인 테슬라와 구글에서​ 배당금 지급을 안하고 있기 때문에 전체 배당금 %가 낮지만 전체자산 사이즈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성장주도 포함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당분간은 매도를 하지 않으면서 배당 월급날 배당주 위주로 매수하는 전략으로 움직이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visionTECH입니다^^

오늘 퇴근하고 일을 하다가 주식시장을 확인했는데...

테슬라가 폭팔하면서 처음으로 제 순자산이 3억을 돌파했습니다^^

(이 글을 작성하다 보니 다시 3억 밑으로 떨어졌지만...어쨋든 캡쳐는 했습니다 ㅎㅎㅎ)

오늘의 영광이 있기까지 정말 오랜시간동안 인내하고 꾸준하게 투자를 했는데요^^

오늘의 1등공신, 개국공신, 히어로는 "테슬라"입니다 ㅎㅎㅎㅎㅎㅎㅎ

최근 테슬라가 탄탄한 실적 덕분에 고공행진을 하고 있습니다.

물론 주식이라는 것이 항상 좋을 수많은 없기 때문에 떨어질 수도 있지만

전 지속적으로 좋은 주식은 홀딩&매수전략으로 진행할 예정입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visionTECH입니다~^^

2021년 10월 19일 기준으로 올해 투자 수익률 21.3%로

올해 제 재테크 수익금이 5000만원을 달성하였습니다~!!

 

현재 제 자산의 가치는 약 2억9000만원으로 1000만원이 더 늘어나면 제 인생 처음으로 3억원을 보유할 수 있게 됩니다^^

 

물론 오늘 당장이라도 장이 좋지가 않으면 수익이 5000만원보다 낮아지겠지만

여태까지 그랬듯이 제 기준에 따라 우량하고 전망이 좋을 것 같은 주식을 꾸준하게 매수하여 자산규모를 키워나가고 궁극적으로 투자소득으로만 월 500만원 이상 현금흐름을 만들어 나갈 것 입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