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오늘 퇴근하고 집에 돌아왔는데 한국예탁결제원에서 한통의 편지가 도착해있었습니다.

제가 유일하게 보유하고 있는 국내주식은 삼성전자인데 배당금통지서는 온라인으로 변경이 되었기 때문에 어떤 내용인지 궁금해서 뜯어보니 주주총회참석장이였습니다^^

 

현재 저는 삼성전자 800주 그리고 삼성전자우 50주를 보유하고 있는데

주주총회 집계당시 삼성전자우 보유량이 20주였던것 같습니다^^;;;;

 

 

 

 

 

 

주주총회참석장과 내용 중 제가 기뻤던 부분은 4월에 지급 예정인 특별배당인데요~

세금을 제외하고도 100만원 이상을 받을 생각을 하니 너무나 행복합니다 ㅎㅎㅎ

 

물론 이번에 특별배당은 전부 재투자를 할 계획이며 국내주식 비중을 늘릴때는 삼성전자우를 매수할 계획입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애플이 출시할 가능성이 높은 에어팟 3세대가 어떻게 출시될지 제 개인적인 의견을 말씀드리겠습니다.

2021년 1월 13일에 에어팟 3세대 관련 루머들을 정리해서 글을 업로드 하였었는데 그 이후 최근 에어팟 3세대 관련 루머가 있었습니다. 

visiontech.tistory.com/93

 

에어팟3, 에어팟 프로 2세대 루머 정리~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현재까지 거론된 에어팟 3세대, 에어팟 프로 2세대 관련 루머들을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루머들을 말씀드리기 앞서 2021년 상반기에 이 두 제품

visiontech.tistory.com

많은 루머에 따르면 이번 에어팟 3세대의 디자인은 에어팟 프로의 디자인과 매우 흡사하여 in-ear 타입과 햅틱터치 방식이 아니라 포스터치 방식으로 변경이 되지만...

프로에 있는 Active Noise Cancellation과 Transparaency mode기능이 빠질 것으로 예상이 되고 있으며 출시시기는 2021년 상반기로 거론되고 있습니다.

 

에어팟 3 예상 이미지 (출처: www.52audio.com)

 

여러 루머들을 정리하고 에어팟 3세대가 어떻게 출시가 될지 곰곰히 생각한 결과...

 

에어팟 2세대 디자인을 그대로 계승할 가능성도 있겠지만

개인적으로 에어팟 3세대의 경우 in-ear 형식이 아닌 상태에서 에어팟 프로의 디자인으로 출시가 될 것 같습니다.

(실제 에어팟 프로의 이어팁을 제거하고 귀에 꽃아보니 에어팟 1,2세대처럼 귀에 들어갑니다^^;;;)

 

이 때문에 에어팟 3세대 케이스의 경우 에어팟 프로 케이스와 비교해서 높이는 같지만 넓이가 줄어들어서 정사각형에 가까운 형태를 지내며 루머에서 언급한것 처럼 Active Noise Cancellation과 Transparaency mode기능은 빠지지만 Spatial Audio 기능은 포함이 될 것 같습니다.

색상옵션의 경우 한 가지 색상, 즉 하얀색으로만 출시할 것 같으며 가격은 우리나라 기준으로 약 20만원 정도에 출시를 하지 않을까 예상을 하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오늘 오후 2021년 처음으로 스타벅스로부터 배당금을 수령했습니다~^^

현재 저는 스타벅스 130주를 보유 중이지만 20주는 배당락일 이후에 매수를 했기 때문에 110주에 한해서 세금을 제외하고 분기 배당금으로 총 $42.07를 수령했습니다!!

 

 

2021년 3월 8일 기준으로 스타벅스 주가는 주당 $105.20이며, 배당금은 1.71%로 배당금이 많은편은 아니지만 작년 코로나 사태 당시 어려운 상황속에도 배당금일 10% 인상하였던 것을 감안하면 올해 배당금을 늘려줄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투자를하고 지켜볼 기업 중 하나입니다^^

 

특히 최근 미국 장기 국체 금리 상승 때문에 그 동안 많이 올랐던 언텍주, 성장주, 기술주 등의 주가가 좋지 않은데 스타벅스는 변동이 거의 없으며 백신이 보급이 되고 사람들이 자유롭게 돌아다니게 되면 매출이 안정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1년 3번째 배당금으로 생활비 벌기 프로젝트 상황을 공유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020년 7월 8일에 처음으로 제가 보유하고 있는 종목, 투자 기준, 그리고 다달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기반으로 매달 얼마의 배당금을 받을 수 있는지 알아봤었고 변동사항이 있을때 마다 업로드를 하고 있습니다~

2월부터 미국 장기 국체 금리가 상승함에 따라 기준금리 상승여부와 연준의 발표에 시장이 민감하게 반응을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시장금리가 상승함에 따라 그 동안 많이 주가 상승을 했던 성장주의 주가가 많이 하락을 하고 있는 상황이며

제 포트폴리오에 테크 주식의 비중이 커서 2021년 1월을 기점으로 자산가치가 하락하고 있습니다. 

연준에서는 기습적인 기준금리와 테이퍼링을 하지 않고 변동시 사전에 가이드라인을 주겠다고 언급을 하였지만

시장이 원하는 것은 오퍼레이션 트위스트, YCC 혹은 양적완화 등을 통한 금리인하를 바라는 것 같습니다.

예전에 연준은 Inflation이 발생하면 기준금리를 조절하여 대응을 해와서 Inflation 파이터의 이미지가 있었는데... 

최근 발언들을 보면 고용률 지표를 기준으로 생각을 하고 있으며 어느정도의 Inflation은 용인하는 것 같습니다.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최소 1~2분기 동안은 2월 같은 분위기가 지속이 될 것 같기 때문에 각 기업의 실적을 확인하고 대응을 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2021년 3월 8일 보유 주식 & 배당금

1. 삼성전자 - 800주

2. 삼성전자우 - 50주

3. 애플 - 280주

4. 스타벅스 - 130주 (+20주)

5. 코카콜라 - 200주

6. 구글 - 10주

7. 테슬라 - 100주

월급날인 3월 5일에 스타벅스 20주를 추가매수를 하였으며, 3월에 스타벅스의 배당금이 입금이 될 예정입니다^^

이번 스타벅스 매수로 월 평균 배당금은 174,578원이 되었으며 적지만 매달 배당금 수령액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2021년 2월과 3월의 경우 작년 코로나가 발생했던 2월과 3월같이 순자산이 줄어들었습니다ㅠㅜ

(테크주식의 하락이 결정적이였으며 특히 테슬라의 주가가 많이 떨어진 영향입니다)

 

하지만 주식뿐만 아니라 자산의 가치는 변동을 하는 것이 당연한 것이며

꾸준히 우상향을 할 자산을 꾸준하게 모으고 보유를 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단기적인 하락에 흔들리지 않고 꾸준하게 제가 투자한 기업의 성과를 지켜보면서 투자를 지속적으로 할 예정입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어느덧 3월 월급날이 왔습니다~^^

저녁에 미국 장이 열리고 오랜만에 스타벅스 주식을 주당 $104.99에 총 20주를 추가매수하였습니다.

​이번 매수로 총 스타벅스 보유주식이 130주로 증가하였습니다^^

2021년 3월 5일 기준으로 스타벅스 수익률은 55.01%이며 분기기준으로 스타벅스 주식 1주당 $0.45의 배당금이 지급됨으로 분기별로 $58.5(세전 기준)의 배당금 수령이 가능해졌습니다^^​

스타벅스의 경우 PER이 185.21이여서 고 PER 상태여서 투자의 주의가 필요하다고 생각이 들지만

현재 백신의 보급, 경기 회복의 기대감 등의 이유여서인지 컨텍주의 경우 언텍주에 비해 주가 움직임이 안정적인 상황입니다.

이번달에 코카콜라와 스타벅스 중 어느 종목을 매수할지 고민을 한 끝에 스타벅스의 주식을 모으기로 결정을 했습니다.

작년에 코로나 상황 때문에 경기가 안좋고 기업의 실적이 안좋아졌는데도 불구하고 스타벅스는 배당금을 10% 인상을 했었습니다.

따라서 이번 년도에는 10%까지는 아니더라도 배당금 인상을 할 것으로 예상을 하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금일 회사일을 마치고 지친마음으로 HTS를 확인했는데 어느센가 제가 보유하고 있던 알파벳A(구글) 수익률이 100%를 기록한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알파벳A(구글) 주식은 제가 2019년 11월에 주당 $1050(원화 1,154,685원)을 10주를 매수하였고 단 1주도 매도하지 않고 2021년 2월 17일 현재까지 쭉 들고있었습니다.

2020년 구글의 성적이 제가 보유하고 있는 다른 미국 테크주식에 비해 쪼금 빈약한? 수익을 기록했었고 최근에 빅테크 주식 퍼포먼스가 좋지 않아서 수익률 100%가 깨질 수도 있지만~

최근들어 수익률을 보면 수 많은 매도의 유혹에도 버텼던 것이 오늘의 과실을 볼 수 있게 된 원인인 것 같습니다.

(물론 운도 좋았습니다^^)

구글의 최근 분기실적을 살펴보면 아직까지는 검색과 유튜브 광고 수익을 제외하면 나머지 사업에서 유의미한 성과가 느껴지지는 않지만 제2의 유튜브, 제2의 안드로이드의 소식을 들었으면 좋겠습니다^^

visiontech.tistory.com/98

 

구글(알파벳) 2020년 4분기 실적발표 정리

​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구글의 모회사인 알파벳의 2020년 4분기 실적발표를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출처: https://abc.xyz/investor/static/pdf/2020Q4_alphabet_earnings_relea..

visiontech.tistory.com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설 연휴가 지나고 오랜만에 출근해서 전혀 적응하지 못해 심신이 지쳐가는 오후에 반가운 카톡을 받았는데

그것은 바로~2021년 첫번째로 받은 애플 배당금입니다^^

현재 저는 애플 280주를 보유 중이며 세금을 제외하고 분기 배당금으로 총 $48.79를 수령했습니다!!

2021년 2월 15일 기준으로 애플주가는 주당 $135.37이며, 배당금은 0.61%로 미국 1등 시가총액 기업치고는 배당금이 매우 짠 편이지만 지속적인 혁신으로 회사의 가치가 매년 큰폭으로 올라가고 있으며 올해 배당금을 늘려줄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투자를하고 지켜볼 기업 중 하나입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 제가 올렸던 모든 글 그리고 제가 앞으로도 작성할 글은 투자권유 목적이 절대 아니며 투자의 책임 개인에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은 작성해서 업로드하기 매우 조심스러운 주제인 가상화페를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투자자 입장에서 저는 가상화페가 낮설지가 않는데... 

그 이유는 예전에 제가 손수 채굴기를 만들어서 원룸에서 비트코인, 이더리움을 채굴을 한 적이 있어서 였습니다 ^^a;;

visionTECH이 직접 제작한 8way 가상화페 채굴기

 

당시 그래픽카드(GTX1070) 8개를 사용하는 채굴기를 약 600만원을 들여서 제작을 하였으며, 원룸 한달 전기세가 약 24만원이 나왔고, 1년이 넘는 기간동안 이더리움 기준으로 약 5개를 채굴을 하였으며, 현재는 채굴기를 처분한 상태입니다.

채굴기 처분당시 전체 투자비용 대비 수익은 거의 비슷하여 딱히 손해를 보거나 이익을 보지는 않았습니다.

(중간중간 가상화페를 팔지 않고, 만약 지금까지 가상화페를 가지고 있었다면 이야기는 달랐겠죠 ㅠㅜ)

채굴기를 제작하고 손수 채굴을 진행했을 2018년~2019년 당시 가상화페, 블럭체인 등의 관련 기술들을 나름 공부?했었고, 가상화페의 장점과 단점을 비교한 다음 리스크가 너무 크다고 판단해서 그냥 지켜만 보고 있었습니다.

 

에니웨이~

 

많은 분들이 아시듯이 코로나 사태를 극복하기 위해 전세계에서 유동성을 미친듯이 풀고, 제로금리에 가까운 금리를 유지하고, 그 외 많은 이유로 국내/미국 그리고 세계적으로 많은 나라의 주식시장이 상승하였습니다.

여기서 시장에 충격을 줄만한 요소들 중 개인적으로 가장 눈여겨 보는 부분이 미국 장기 국체 금리인데요...

미국 연준에서는 테이퍼링, 금리상승은 당분간 없다고 발표하였지만, 미국 장기 국체 상승이 부담스러운 레벨까지 온 것에는 큰 의견이 없는 것 같으며, 미국 장기 국체 금리 상승은 미국의 금리상승에 상당한 영향이 있기 때문에 시장 충격에 대비하는 계획을 검토해야 할 시점이 되었다고 판단하였습니다. 

(또한, 원자재, 물가 상승 또한 중요한 변수입니다)

 

이 때문에 제가 2021년 1월에 올렸던 글에서 이러한 변수에 대응하기 위해 현금비중을 늘릴 계획이라고 언급을 한적이 있습니다.

 

visiontech.tistory.com/92

 

[visionTECH] 배당금으로 생활비 벌기 프로젝트~ (2021년 1월)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1년 첫번째 배당금으로 생활비 벌기 프로젝트 상황을 공유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020년 7월 8일에 처음으로 제가 보유하고 있는 종목, 투자 기준,

visiontech.tistory.com

 

하지만, 현금만으로 자산하락에 대한 헷지를 하기에는 뭔가 부족한 느낌을 지울수가 없어서 다른 옵션들을 살펴보기 시작했습니다.

알아본 결과 보편적으로 헷지를 인버스, 곱버스 등의 선물옵션(흔히 "숏"을 치는 방법), 금/은 등의 자산으로 하는 것으로 파악을 하였지만 고민 끝에 제 자산의 헷지를 하는 방법 중 하나를 가상화페로 결정을 하였습니다.

(개인적으로 "숏"을 치는 것에 부정적입니다...왜냐면 전 "언제 하락하는지" 못 맞추기 때문이죠 ^^;;;;;)

 

제가 채굴기를 만들고 돌렸던 2018년~2019년의 상황이라면 절대 가상화페를 헷지 수단으로 생각조차 하지 않았겠지만...

PayPal의 가상화페 거래 플렛폼 오픈, 비자/마스터 카드사의 가상화페 거래 가능성, 페이스북 자체 가상화페 시도, 테슬라 일론 머시크의 1조 7000억원 매수 공시(비트코인으로 테슬라 차량 매수가능) 등의 요소를 살펴보면 어떠한 형식이던지 가상화페가 우리에게 다가오고 제일 중요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판단 되었습니다.

그리고, 짧은 지식으로 제 생각에는 만약 금리인상 같은 이슈가 시장에 영향이 가면, 갈곳이 마땅치 않은 자금 중 일부가 가상화페로 들어가서 상승 혹은 헷지가 되지 않을까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많은 분들이 아시듯이 가상화페의 경우 화페로서 가치의 변동폭이 매우 크며, 주식/부동산과 다르게 "가치"판단이 거의 불가능하며, 기존화페 발행 주체(나라, 연준 등)의 비관적인 시각 등 리스크가 매우매우 큰데요...

이 때문에 가상화페로 헷지를 하되, 모든 투자는 제 마음이 편안하고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어야 하는 방법이여야 하기 때문에 전체자산의 1% 정도로 진행을 하기로 결정했습니다.

2021년 2월 14일 기준으로 제 자산은 약 2억 5000만원이기 때문에 약 250만원 정도를 투자하기로 하였으며

현재 비트코인, 이더리움 2개의 가상화페를 합쳐서 약 150만원 정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전체자산의 1%를 가상화페로 투자하고 헷지수단으로 결정한 것이 맞는지 틀린 것인지는 시간이 지나야 알 수 있겠지만 지속적으로 시장상황을 체크하면서 대응을 해 나갈 생각입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2월 10일 미국장이 열리고 오랜만에 코카콜라 주식을 주당 $50에 총 15주를 추가매수하였습니다.

​이번 매수로 총 코카콜라 보유주식이 200주로 증가하였습니다^^

 

2021년 2월 11일 기준으로 코카콜라 수익률은 3.08%이며 분기기준으로 코카콜라 주식 1주당 $0.41의 배당금이 지급됨으로 분기별로 $82의 배당금 수령이 가능해졌습니다^^​

 

 

지난 1년간의 코카콜라 주가를 보면 언텍트 기업과는 달리 주가가 지지부진한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코카콜라는 컨텍주에 포함이 됨으로 백신이 광범위하게 보급이 되어 집단면역이 이루어져야 풍부한 유동성, 구고조정 등의 효과로 주가가 올라갈 수 있을 것이라 생각 됩니다.

코카콜라 기업 정보 (출처: 애플 주식어플)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글에서는 테슬라 CEO인 일론 머스크가 진행하고 있는 사업 중 하나인 스페이스X의 Starlink 소식을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스페이스X의 Starlink는 수만개의 위성을 이용해서 언제 어디서든지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젝트이며 이미 북미권(미국, 케나다)에서는 베타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FCC에 제출한 내용에 따르면 다운로스 속도 100Mbps, latency 약 20ms이 확인되어 개인적으로 일론 머스크가 진행하고 있는 사업 중 매우 기대하고 있는 사업입니다.

 

visiontech.tistory.com/48

 

스페이스X Starlink 인터넷 속도/Latency 벤치마크 (feat. FCC 제출자료)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많은 분들이 알고 계시는 테슬라 CEO 일론 머스크가 운영하는 스페이스X에서 진행하는 Starlink 프로젝트 관련 뉴스를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스페이스

visiontech.tistory.com

 

에니웨이~

제 예상에 FCC에 재출한 정보의 경우 잘 세팅이된 환경에서 최상의 결과를 얻었을 가능성이 높을 것이기 때문에 실제 유저가 있는 상태에서 Starlink의 성능이 어떨지 궁금하였습니다.

그런데~유명 테크유트버인 Linus Tech Tips에서 Starlink베타 테스트 킷을 받아서 테스트한 영상이 업로드가 되었는데 생각보다 서비스 퀄리티가 좋은 것 같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Fh1a2K9ZgNA

 

 

일단 Linus Tech Tips의 Gaming on STARLINK!! 영상에 따르면, 현재 Starlink 한달 서비스 비용은 $100이며 데이터 제한은 없는 것으로 나왔습니다.

 

Starlink서비스 이용시 매우 큰박스로 키트가 배달이 되며 박스안에는 위성신호를 잡기 위한 안테나, POE injector, wifi 라우터/모뎀과 안테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대 그리고 기타 선들이 포함이 되어 있습니다.

Starlink 패키지와 내용물 (출처: Linus Tech Tips)

 

Linus Tech Tips에서는 일단 옥상에 위성 안테나를 설치하고 데스크탑에 인터넷선을 연결을 하여 본격적으로 테스트를 진행하였습니다.

 

일반 홈페이지, 사진/글이 있는 페이지는 위성 인터넷이 아니라 일반 케이블 인터넷 같이 빠르게 로딩이 되었으며

유튜브 4K영상 4개를 동시에 시청을 하는 등 일반적인 인터넷 사용에는 전혀 지장이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Starlink 위성안테나 설치, 유튜브 영상 스트리밍 테스트 (출처: Linus Tech Tips)

간단한? 테스트를 끝내고 인터넷 속도 측정과 Counter-Strike게임을 진행하였는데

인터넷 속도의 경우 약 138Mbps, latency 약 30ms을 기록하여 예상보다 빠른 인터넷 속도 제공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또한 온라인 게임인 Counter-Strike진행 결과 랙없이 게임을 알차게? 즐길수가 있어 starlink 서비스가 정식으로 되면 기존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에 엄청난 위협이 될 가능성이 큰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와는 달리 미국, 케나다는 지역별로 인터넷 품질차이가 정말 심합니다...)

 

Starlink 인터넷 속도 테스트 (출처: Linus Tech Tips)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