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visionTECH입니다!
이번 주 미국 증시는 변동성이 큰 가운데 S&P 500과 나스닥 모두 사상 최고치 경신과 조정을 반복하였습니다.
S&P500은 6,259.75로 소폭 상승 마감하며, 주간 변동폭은 약 0.09%였으며, 나스닥은 20,585.53으로 주간 변동폭은 약 0.38%로 기술주 중심의 강세가 두드러졌습니다.
시장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 AI 및 반도체주 강세, 빅테크 실적 기대감 등 다양한 이슈에 반응하며 혼조세를 보였고 빅테크는 AI, 반도체, 클라우드, 광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슈가 있었고 주가는 개별 이슈에 따라 등락이 엇갈렸습니다.
애플 (Apple)
유럽 디지털마켓법(DMA) 대응 및 수수료 구조 개편
• 애플은 유럽연합(EU) 디지털마켓법(DMA) 요구에 따라 2026년 1월부터 앱스토어 수수료 체계를 ‘CTC(코어 트랜잭션 커미션)’로 일원화할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기존 개발자들에게 적용되던 CTF(코어 테크놀로지 피)는 단계적으로 폐지됩니다.
• iOS 18.6, iPadOS 18.6부터는 EU에서 대체 마켓플레이스 및 웹사이트 앱 설치 경험이 대폭 개선되며, 개발자가 직접 앱 내에서 대체 배포를 유도할 수 있도록 API도 제공할 예정입니다.
신형 아이패드 및 비전 프로 라인업 확대
• 2026년 봄, 12세대 엔트리급 11인치 아이패드 출시 계획이 보도되었는데, 기존 모델과 유사한 디자인에 더 빠른 칩셋이 탑재될 전망입니다.
• 애플은 2025년 하반기 M4 칩셋을 탑재한 비전 프로(Vision Pro) 신모델을 출시하고, 향후 스마트글래스 등 웨어러블 신제품 로드맵을 공개했는데 2세대 모델은 시장 점유율 확대보다 생태계 구축에 초점을 맞출 예정입니다.
AI 인재 유출 및 조직 변화
• 애플의 AI 모델 총괄 임원 루오밍 팡(Ruoming Pang)이 메타(페이스북)로 이직하는 등 AI 인재 유출이 이어지고 있는데, 메타는 AI 슈퍼인텔리전스랩을 신설하며 공격적인 인재 영입에 나섰습니다.
• 이에, AI, 머신러닝 분야에서의 경쟁력 강화와 조직 재편이 시급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EU 5억 유로 과징금 반발 및 노사 이슈
• 7월 7일, 애플은 유럽연합의 5억 유로(약 7,300억 원) 과징금 부과에 대해 “전례 없는 처사”라며 강하게 반발했습니다.
• 미국 내에서는 최근 노동위원회(NLRB) 판정에 대한 항소에서 승소하는 등 노사 이슈도 부각되고 있습니다.
엔비디아 (Nvidia)
시가총액 4조 달러 돌파, 역사적 이정표
• 7월 10일, 엔비디아는 AI 반도체 수요 폭증으로 시가총액 4조 달러를 돌파하며 애플, 마이크로소프트보다 가치가 높아졌습니다.
AI 칩 수요 폭발 및 신제품 ‘블랙웰’(Blackwell) 호조
• 2025년형 블랙웰 시리즈 등 AI GPU는 이미 연내 생산분이 완판됐으며, 데이터센터, 클라우드, 정부 AI 인프라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 AI 추론·에이전트형 모델 확산으로 인해 연산 수요가 지난해 대비 100배가량 증가할 것으로 CEO 젠슨 황이 언급했습니다.
소프트웨어 및 PC 시장 확장
• 소프트웨어 기업 인수, PC 시장 진출 등 하드웨어 외 영역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 AI PC, 엣지 컴퓨팅, 자율주행 등 신사업에서도 강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증권가 목표주가 상향 및 기술적 강세
• 월가에서는 목표주가를 175~190달러로 상향 조정하며, 단기적으로 180달러 돌파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습니다.
• 강력한 매수세, 50일/200일 이동평균선 골든크로스 등 기술적 지표도 긍정적입니다.
테슬라 (Tesla)
일론 머스크 ‘아메리카 파티’ 창당 및 정치 리스크
• 7월 6일, 일론 머스크가 ‘아메리카 파티’ 창당을 공식 선언하며 정치적 행보를 본격화했습니다. 투자자들은 머스크의 정치 집중이 테슬라 경영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습니다.
미국 EV 세액공제 폐지 및 비용 부담 증가
• 7월 초,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법안으로 9월 30일 이후 미국 내 전기차 세액공제(7,500달러)가 폐지됩니다. 이에 테슬라는 단기적으로 수요가 몰릴 수 있으나, 10월 이후 미국 판매 급감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 중국산 부품 관세 인상, ZEV 크레딧 판매 중단 등으로 원가 부담도 커졌습니다.
글로벌 판매 감소 및 실적 전망
• 2분기 글로벌 차량 인도량은 38만4,122대로 전년 동기 대비 13.5% 감소했습니다. 경쟁 심화, 머스크의 정치 이슈, 신차 부재 등이 원인으로 지목됩니다.
• 7월 23일 실적 발표를 앞두고, 애널리스트들은 이익 감소와 함께 저가형 신모델 출시 여부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로보택시, 모델Y 리프레시 등 신사업
• 오스틴에서 로보택시 사업을 시작했으나, 일부 자율주행 차량의 위험 운행 논란으로 규제당국이 주의깊게 보고 있습니다.
• 모델Y 리프레시, 저가 전기차 출시 계획 등 신사업도 기대와 우려가 교차합니다.
구글 (Google)
AI 기능 강화 및 제미니(Gemini) 신기능 출시
• 구글 제미니는 사진을 8초짜리 동영상으로 변환하는 이미지-투-비디오 기능을 출시하며 AI 활용도를 높였습니다.
• AI 오버뷰 광고, AI 기반 마케팅 도구 등 검색·광고 경험의 혁신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유럽 AI 규제 및 반독점 리스크
• EU의 AI 규제(2026년 시행 예정) 대응을 위해 구글은 저작권, 안전성 중심의 코드 오브 프랙티스(Code of Practice) 도입을 준비 중입니다.
• 검색 결과 독점 논란, EU 반독점 벌금 리스크도 여전히 존재하고 있습니다.
유튜브, 지메일 등 서비스 개선
• 유튜브는 AI 생성 저품질 콘텐츠 증가에 대응해 크리에이터 수익화 기준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 지메일은 원터치 구독 해지 등 편의 기능을 도입하며 사용자 경험을 개선했습니다.
AI 개인정보 이슈 및 신약 개발
• 구글 제미니가 왓츠앱, 메시지, 전화 등 개인정보 접근 권한을 확대하며 프라이버시 논란이 일었습니다.
• 구글 딥마인드와 이소모픽랩스가 AI로 개발한 암 치료제의 임상시험을 시작하며 헬스케어 분야 혁신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 (Microsoft)
윈도우11 점유율 50% 돌파, 윈도우10 지원 종료 임박
• 7월, 윈도우11이 52% 점유율로 윈도우10을 앞질렀습니다. 윈도우10은 10월 14일 지원 종료 예정으로, 기업·개인 모두 업그레이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7월 패치 화요일: 대규모 보안 업데이트
• 7월 9일, 마이크로소프트는 윈도우, 오피스, 애저, 팀즈 등에서 130건의 취약점과 10건의 치명적 보안 이슈를 패치했습니다. SQL서버 제로데이 등 주요 취약점이 포함됐으나 현재까지 실제 공격 사례는 보고되지 않았습니다.
AI 및 클라우드 전략 강화
• 마이크로소프트는 AI와 클라우드 사업에서 강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오픈AI와의 협력, 애저 AI 서비스 확대 등으로 시장 지배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빙(Bing)·서치 서비스 개선
• 빙 검색은 이미지 검색, 광고, 로컬팩 등 다양한 UI/UX 테스트를 진행하며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고 있습니다.
아마존 (Amazon)
프라임데이 4일로 확대, 경쟁 심화
• 7월 8~11일, 아마존은 프라임데이를 4일간 개최하며 역대 최장 기간동안 진행되었고, Z세대 혜택 확대와 5분 단위 번개딜 등 다양한 마케팅이 동원됐습니다.
• 이에, 월마트와 타겟 등 경쟁사도 같은 시기에 대규모 할인전을 펼치며 경쟁이 심화되었습니다.
소비심리, 매출 혼조
• 일부 브랜드 매출은 전년 대비 41% 급감했으나, 어도비 애널리틱스 기준 미국 전체 온라인 매출은 첫날 10% 증가한 79억 달러를 기록하였는데, 소비자들은 인플레이션, 관세 부담 등으로 더욱 신중하게 소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신사업 및 멤버십 전략
• 프라임 멤버십의 젊은 층 할인, 캐시백 확대 등 신규 고객 유치 전략이 강화됐습니다.
• 아마존은 물류, 클라우드, AI 등 신사업에서도 지속적인 투자와 혁신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매타 (Meta)
페이스북·인스타그램 영상 통합 및 리얼스(Shorts) 강화
• 7월, 페이스북은 모든 영상을 자동으로 리얼스(Shorts)로 전환하는 등 영상·숏폼 콘텐츠 경험을 통합되었고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왓츠앱도 영상 전략이 강화됐습니다.
스레드(Threads) 메시지, 하이라이터 신기능
• 텍스트 기반 SNS ‘스레드’에 다이렉트 메시지, 인기 콘텐츠 하이라이터 기능이 추가돼 사용자 참여도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AI 마케팅 API, 커뮤니티 노트 도입
• 광고주를 위한 AI 기반 콘텐츠 추천, 마케팅 API가 대폭 개선됐습니다. 팩트체크는 외부기관 대신 커뮤니티 노트 방식으로 전환되어 신뢰성과 참여를 높이고 있습니다.
개인정보 이슈 및 AI 신제품
• 페이스북은 AI 사진 추천 기능을 위해 카메라롤 접근 권한을 요청하며, 개인정보 이슈가 부각됐습니다.
• 7월 23일, 메타는 오픈소스 AI모델 ‘Llama-3’의 대형·멀티모달 버전을 출시할 예정이며 텍스트와 이미지 생성이 모두 가능한 차세대 AI로, AI 경쟁에서 메타의 존재감을 높일 전망으로 보입니다.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 [visionTECH] 7월 미국 빅테크 이슈/소식 정리 (25/06/30~25/07/06) (2) | 2025.07.20 |
|---|---|
| [visionTECH] 테슬라 오토파일럿 사망사고 재판 — 테슬라 자율주행의 미래는? (0) | 2025.07.19 |
| [visionTECH] 테슬라, 2025년 7월 ‘Grok AI 차량 통합’ 임박! 미래 모빌리티 혁신의 신호탄 (0) | 2025.07.13 |
| [visionTECH] 테슬라, 2025년 7월 로보택시 서비스 확대와 주가 반등 이슈 집중 분석 (2) | 2025.07.12 |
| [visionTECH] 테슬라, 흔들리는 미래: 일론 머스크의 정치 행보와 주가 폭락, 그리고 로보택시 (1) | 2025.07.0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