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visionTECH입니다^^

어느덧 8월이 지나 9월이 되었고~

어떤 주식을 매수할까 고민을 하다가 삼성전자우를 주당 57,900원에 2주 매수하였습니다~^^

이번 매수로 저는 삼성전자우를 총 955주를 보유하게 되었으며

주당 362원의 분기배당금이 발생함으로 세전기준 345,710원의 배당금을 수령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2023년 9월 4일 현재 삼성전자우의 수익률은 16.96%이고, 연간 배당율은 2.51%로 나쁘지 않은 배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액면분할 시점부터 투자하면서 삼성전자를 지켜보면서 아쉬운 점은...

미국기업과는 달리 매년 꾸준하게 배당금을 인상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ㅠㅜ

개인적으로 수없이 글늘 적었지만...지금보다 더 주주환원 (특히 배당금을 매년 늘려주는 것!!)에 힘을써야 최소 현재 주가를 방어하거나 꾸준히 상승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이 듭니다.

아무튼 저는 삼성전자우를 결혼전에는 매도할 생각은 없으며, 꾸준하게 상황을 지켜보며 기회가 되면 추가매수할 생각입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2년 9번째 배당금으로 생활비 벌기 프로젝트 상황을 공유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020년 7월 8일에 처음으로 제가 보유하고 있는 종목, 투자 기준, 그리고 다달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기반으로 매달 얼마의 배당금을 받을 수 있는지 알아봤었고 변동사항이 있을때 마다 업로드를 하고 있습니다^^

 

 

​2022년 9월 8일 보유 주식 & 배당금

 

1. 삼성전자 - 800주

2. 애플 - 335주

3. 스타벅스 - 175주

4. 코카콜라 - 320주

5. 구글 - 200주 

6. 테슬라 - 300주

7. 존슨앤존슨 - 80주

2022년 9월이 되고 오늘 존슨&존슨에서 배당금을 수령하였고 다음달에는 코카콜라에서 배당금을 받을 예정입니다~^^

현재 포트볼리오 비중의 큰부분인 테슬라와 구글에서​ 배당금 지급을 안하고 있기 때문에 전체 배당금 %가 낮지만 전체자산 사이즈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성장주도 포함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팔지않는 상태를 유지하고, 2021년부터 배당주 위주의 매수를 진행하여 연간 배당금 수령금액을 약 319만원으로 증가시켰습니다.

최근 주식시장이 변동폭이 크고 연초대비 아직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있지만, 제 포트폴리오에 달러자산 비중이 더 크기 때문에 달러강세로 자산가치와 배당금 측면에서는 긍정적인 효과를 누리고 있으며, 자산가치는 변동하지만 매달 받는 배당금의 금액은 계속 늘어가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2022년부터 수많은 악재들이 동시다발적으로 터지면서 한국증시 뿐만 아니라 미국을 포함해 많은 해외 증시의 변동폭이 커지고 하락폭이 커지면서 많은 분들이 힘든시간을 인내하고 있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코로나 시기 전부터 투자를한 저 또한 2022년은 정말 힘들게 보내고 있지만 심리적으로 흔들리지 않으려고 정말 많은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저의 경우 2021년에 수익이 약 9300만원이였는데 2022년 6월 14일 기준으로 거의 8000만원의 손실로 2021년 수익의 거의 대부분을 반납한 상태입니다ㅠㅜ)

2021년 수익률(왼) vs 2022년 상반기 수익률(오)
 
 

최근에는 주가를 확인하면 스트레스를 너무 받아서 월급날 혹은 배당금을 받은날에 매수를 하는 것 이외에는 주가창을 보는 시간을 대폭 줄이고 다른일을 하거나 매수를 할만한 기업을 조사하고 있습니다.

심리적으로 많이 흔들리고 있지만, 그럴때마다 전 지금 하고 있는 투자가 단순 차익을 보기 위한 것이 아니라

여태까지 진행한 재테크는 자산과 현금흐름을 만들어서 궁극적으로 경제적 자유를 누리기 위함이며

지금은 너무나 암울한 것 같지만 자본주의가 지속되고 제가 투자한 기업이 꾸준하게 이익을 창출해내면 결국엔 우상향할 것이라는 것을 지속적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저의 경우 2022년에 긍정적인 측면이 있는지 생각을 하다가 시장과 주가가 하락했음에도 꾸준하게 증가한 2가지가 있다는 것을 생각해 내었고 그것은 바로 제가 가진 주식수와 지급받는 배당금입니다.

(보유주식수와 배당금이 어떻게 보면 같은 맥락이긴한데 개인적으로는 제가 그 동안 꾸준히 실행해온 재테크 방법 때문에 긍정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측면이 있다는 것에 많은 위안이 되었습니다)

2021년 1월 8일 vs 6월 14일 보유 주식 & 배당금

1. 삼성전자 - 800주 -> 800주

2. 애플 - 300주 -> 330주 (+30주)

3. 스타벅스 - 160주 -> 172주 (+12주)

4. 코카콜라 - 275주 -> 310주 (+35주)

5. 구글 - 10주 -> 10주

6. 테슬라 - 100주 -> 100주

7. 존슨앤존슨 - 60주 -> 75주 (+15주)

2021년 1월에 제가 보유했었던 회사와 주식수를 2022년 6월에 보유한 주식수를 비교해보니 기술주는 애플을 매수하였으며, 포트폴리오 리벨런스를 위해 비기술주인 스타벅스, 코카콜라, 존슨&존슨을 꾸준하게 매수를 하였였습니다.

또한, 2022년에는 전 월급에서 약 1330만원을 투자에 사용하였으며 이는 매달 평균 약 220만원을 투자한 것으로 평소보다 지출을 줄이고 유급휴가, 인센티브로 받은 모든 돈을 소비하지 않고 투자를 하였습니다.

2022년 상반기 자산평가금액 & 입금액

 

비록 저의 자산평가액은 제 개인적인 심리선인 3억 밑으로 떨어졌지만 매달 받는 배당금 평균의 경우 225,000원에서 250,000원으로 약 25,000원 증가를 하였습니다.

월 25,000원 상승은 금액자체로 보면 너무나 작은 금액이지만 현재 제가 하고 있는 투자를 유지를 하면 약 8년후에는 거의 200만원에 육박할 수 있으며, 현재 배당금 지급을 안하는 종목을 배당주로 변경을 하거나 배당주를 더 높은 배당을 받는 종목으로 변경하면 시기를 훨씬 앞당길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기에 너무나 지루하고 인내가 필요한 재테크이지만 흔들리지 않고 꾸준하게 진행할 계획입니다.

2020년 7월 ~ 2022 6월 월 평균 배당금 추이

 

2020년 7월 ~ 2030년 12월 월 평균 배당금 추이 예상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1년 투자내역과 결과가 어떻게 됬는지 정리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2020년에는 코로나 때문에 지옥과 천국을 왔다갔다 했었지만 결론적으로는 세자리수 수익률을 기록한 역대급 결과를 얻었었습니다.

때문에 2021년에는 2020년보다 시장이 안좋지 않을까하는 불안한 마음이 컸었는데 다행히도 2021년에도

손해를 보지 않았으며 시장보다 좋은 수익률을 기록한 한해였습니다^^

기존 부유 종목 & 추가 투자 종목

2020년 12월 31일 종합잔고

 

2021년 12월 31일 종합잔고

 

1. 삼성전자: 800주 -> 800주 <변동 없음>

2. 삼성전자우: 20주 -> 0주 <-20주>

3. 애플: 280주 -> 300주 <+20주>

4. 알파벳A(구글): 10주 -> 10주 <변동 없음>

5. 코카콜라: 185주 -> 265주 <+80주>

6. 스타벅스: 110주 -> 155주 <+45주>

7. 테슬라 100주 -> 100주 <변동 없음>

8. 존슨 앤드 존슨: 60주 <신규 편입>

2021년 12월 31일 기준으로 제 자산의 평가금액은 339,704,497원이며

한해동안 국내주식은 삼성전자우를 20주 매도 후 미국 주식을 매수하였으며, 삼성전자는 매수/매도를 하지 않았습니다 .

미국주식은 배당을 늘리기 위해 애플, 코카콜라, 스타벅스를 추가로 매수하였으며, 신규편입으로 존슨 앤드 존슨를 매수하였습니다.

2021년 투자 수익률 & 월별 평균 매수 금액

 
 

2021년 12월 31일 기준 자산(왼), 2021년 투자 수익률(오)

2021년은 2020년에 이어 정말 운이 좋게도 수익률은 39.61%를 기록하였으며, 투자수익이 1억을 돌파하다가 마지막에 떨어져서 93,741,234원으로 마무리를 하였습니다만 노동소득과 합치면? 올 한해 1억이상을 벌었습니다 ^^a;;;;;

제 투자원칙은 매달 월급의 50% 이상을 월급날 혹은 주간 단위로 꾸준하게 주식을 매수하는 것이여서 150만원 이상을 투자하는 것에 집중하였으며 용돈, 보너스 그리고 추가 수입(배당금, 용돈 등)이 있는 경우 전부 주식투자에 사용을 하였습니다.

2021년 1월부터 12월까지 꾸준하게 월급, 용돈, 보너스를 투자하였으며 총 20,660,000원을 추가투자하였으며 월간 약 170만원어치의 주식을 매수하였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어제 2021년 네번째로 삼성전자에서 지급한 배당금을 수령했습니다~^^

(출장 중이라 업로드가 늦어지네요ㅠㅜ)

현재 저는 삼성전자 800주를 보유 중이여서 세전 기준으로 288,880원이 입금되었습니다^^

저번 분기에는 삼성전자우 50주에 배당금도 받았지만 삼성전자우 50주를 매도하여 존슨앤존슨을 매수하여 이제 삼성전자우에서 배당금을 받을 수 없습니다ㅠㅜ

삼성전자가 7만원에 상당기간 횡보하면서 많은 분들이 힘들어 하실 것으로 예상이 되는데요...(저도 마찬가지입니다ㅠㅠ)

개인적으로 액면분할 후에 1넌넘게 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한 경험과 폭팔적인 상승장을 경험해봐서인지

투자한 기업이 꾸준히 이익을 내고 전망이 좋으면 보유 혹은 비중을 늘려나가는 전략이 좋은 것 같습니다.

전 지금 미국주식, 특히 배당주 위주로 매수를 집중하고 있어서 삼성전자를 매수한지 상당히 오래되었는데, 여건이 된다면 삼성전자는 더 매수를 할 예정입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1년 11번째 배당금으로 생활비 벌기 프로젝트 상황을 공유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020년 7월 8일에 처음으로 제가 보유하고 있는 종목, 투자 기준, 그리고 다달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기반으로 매달 얼마의 배당금을 받을 수 있는지 알아봤었고 변동사항이 있을때 마다 업로드를 하고 있습니다^^

올해 상반기 수익률은 작년에 비해 상당히 미비했었는데 10월 중순부터 테슬라의 주가 급등으로 자산가치가 높아졌습니다^^ 

아무튼~ 올해도 손해를 보지 않으면서 은행이자보다 많이 벌고 있고, 주가가 오르지 못하는 종목은 비싸지 않게 매수할 수 있는 타이밍이라고 생각하고 꾸준하게 매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2021년 11월 8일 보유 주식 & 배당금

1. 삼성전자 - 800주

2. 애플 - 300주

3. 스타벅스 - 150주

4. 코카콜라 - 250주

5. 구글 - 10주

6. 테슬라 - 100주

7. 존슨앤존슨 - 50주

2021년 10월에는 코카콜라에서 배당금을 받았으며, 이번달에는 삼성전자, 애플 그리고 스타벅스에서 배당금을 받을 예정입니다^^

현재 포트볼리오 비중의 큰부분인 테슬라와 구글에서​ 배당금 지급을 안하고 있기 때문에 전체 배당금 %가 낮지만 전체자산 사이즈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성장주도 포함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당분간은 매도를 하지 않으면서 배당 월급날 배당주 위주로 매수하는 전략으로 움직이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1년 9번째 배당금으로 생활비 벌기 프로젝트 상황을 공유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020년 7월 8일에 처음으로 제가 보유하고 있는 종목, 투자 기준, 그리고 다달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기반으로 매달 얼마의 배당금을 받을 수 있는지 알아봤었고 변동사항이 있을때 마다 업로드를 하고 있습니다^^

매달 제가 투자하고 있는 금액을 감안한다면 특히나 올해 수익률은 작년에 비해 미비하지만 

손해를 보지 않으면서 은행이자보다 많이 벌고 있고, 주가가 오르지 못하는 지금이 비싸지 않게 좋은 주식을 매수할 수 있는 타이밍이라고 생각하고 꾸준하게 매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2021년 9월 8일 보유 주식 & 배당금

1. 삼성전자 - 800주

2. 애플 - 300주

3. 스타벅스 - 150주

4. 코카콜라 - 250주

5. 구글 - 10주

6. 테슬라 - 100주

7. 존슨앤존슨 - 37주

2021년 9월에는 존슨&존슨에서 배당금을 받을 예정이며, 존슨&존슨을 추가매수를 꾸준히 늘려서 포트폴리오를 조정하고 있습니다.

현재 포트볼리오 비중의 큰부분인 테슬라와 구글에서​ 배당금 지급을 안하고 있기 때문에 전체 배당금 %가 낮지만 전체자산 사이즈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성장주도 포함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당분간은 매도를 하지 않으면서 배당 월급날 배당주 위주로 매수하는 전략으로 움직이고 있습니다.

 

 

8월부터 지금까지 한국의 금리인상, 미국시장과 FED 움직임 (미국 고용율, 체권시장 등), 물가, 환율, 중국시장 등 수많은 요소들이 칼과 칼의 싸움?을 하면서 눈치개임을 벌이고 있는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시장의 불확실성은 주의해야하고 모니터링을 해야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장이 잘나오는 기업, 즉 돈(순이익)을 꾸준하게 잘벌고 버는 이익이 늘어나는 기업의 경우 전고점을 돌파하고 우상향할 것이라 생각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투자하고 있는 기업의 실적을 면밀히 살펴보고 돈을 잘버는지, 앞으로 지속적으로 잘 벌수 있는지, 앞으로 시장이나 기업의 해당 분야의 방향이 어떻게 될지를 꾸준하게 확인하면서 재테크를 할 생각입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1년 5번째 배당금으로 생활비 벌기 프로젝트 상황을 공유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020년 7월 8일에 처음으로 제가 보유하고 있는 종목, 투자 기준, 그리고 다달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기반으로 매달 얼마의 배당금을 받을 수 있는지 알아봤었고 변동사항이 있을때 마다 업로드를 하고 있습니다~

올해 1월에 좋은 시작을 하였는데 2,3월 동안 1월 상승분을 반납을 하였지만 4월부터 다시 반등을 해서 5월 첫째주까지는 자산이 상승을 하고 있습니다^^

제 포트폴리오의 약 70%가 미국시장에 투자가 되고 있는데 연준과 시장 사이의 줄다리기?가 계속되면서 시장의 상황이 이랬다가 저랬다가 변동이 심한 상황입니다.

금리인상의 경우 적어도 올해에는 이뤼질것 같지는 않지만 지속적으로 경기가 살아나는 지표가 발표가 되고 있기 때문에 테이퍼링의 언급만 나와도 시장이 발작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어떤 주식을 투자하더라도 실적이 받쳐주는 기업 위주로 가져가야할 것 같습니다.

 


2021년 5월 8일 보유 주식 & 배당금


1. 삼성전자 - 800주

2. 삼성전자우 - 50주

3. 애플 - 300주

4. 스타벅스 - 150주

5. 코카콜라 - 200주

6. 구글 - 10주

7. 테슬라 - 100주

월급날인 5월 4일에 애플을 추가배수해서 목표치인 300주를 달성하였으며 

이번달에는 삼성전자, 삼성전자우, 애플 그리고 스타벅스에서 배당금이 입금이 될 예정입니다^^

 

에니웨이~이번 애플 매수로 월 평균 배당금은 183,483원이 되었으며 적지만 매달 배당금 수령액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는 제가 약 4년부터 진행 중인 배당금으로 생활비 벌기 프로젝트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재테크에 관심이 많으신 분들이라면 너무나 잘 아시겠지만~

갈수록 금리가 낮아짐에 따라 은행에 돈을 맡기고 이자를 받아서 돈을 불리거나 먹고 살기에는 너무나 힘듭니다ㅠ

그렇다고 해서 부동산에 투자를 하기에는 목돈이 너무나 많이 필요하고 대출도 잘 나오지 않기 때문에 P2P같은 방법이 아니고서는 힘든것 또한 현실인 것 같습니다.

저는 대학생부터 주식투자를 했는데 단타, 매매, 작전주, 테마주 등 여러 방법을 해보았고 몇 번은 성공을 하였으나 결과적으로는 수업료만 내고 실패를 했습니다.

그러다가~ 건물주가 월세를 받듯이 배당금으로 생활비를 충당할 수 있는 나만의 시스템을 만들어보기로 결심을 하고 현재까지 진행을 하고 있습니다.

 

배당금으로 생활비 벌기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제가 세운 원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가급적 분기배당을 지급하는 기업에 투자

2. 각 분야를 생각했을 때 바로 떠올리는 기업 혹은 내가 잘 아는 우량주 위주 투자 (혹은 1등 기업)

3. 배당컷 없이 꾸준하게 배당금을 늘려온 기업에 투자

4. 투자는 신중하게 하되 한번 시작했으면 팔지 말기 (더 좋은 기업을 찾거나 정말 팔아야만 내가 살 수 있거나 기업이 성장하지 않는 경우 예외)

5. 월급의 50% 이상 꾸준하게 매수하기

6. 내가 모르는 기업에는 투자 금지

7. 배당을 지급하지 않은 성장주 투자 시 내가 잘 아는 기업이면서 꾸준하게 성장하는 기업에 투자

8. 배당금 수령 시 무조건 재투자

이 원칙에 따라 제가 매수한 배당기업과 분기 배당금 정보는 다음과 같으며 1차 목표는 월 50만원씩 나오는 시스템을 만들고 있습니다.

1. 삼성전자 (1주당 354원 - 분기기준, 800주)

2. 애플 (1주당 $0.77 - 분기기준, 57주)

3. 스타벅스 (1주당 $0.41 - 분기기준, 100주)

4. 코카콜라 (1주당 $0.41 - 분기기준, 150주)

5. 구글 (10주)

6. 테슬라 (20주)

포트폴리오를 보시면 배당주삼성전자, 애플, 스타벅스, 코카콜라로 구성을 하였고

배당금을 지급하지 않는 성장주구글과 테슬라가 있습니다. (천슬라 화이팅~)

2020년 7월 현재 제가 가지고 있는 주식 기준으로 "배당금 지급시기"와 "지급 받는 배당금"은 다음과 같습니다 (세전 기준 입니다!)

표를 보시면 1월, 3월, 6월, 9월은 배당금이 지급이 되지 않는 달이고 배당금이 많이 들어오는 달은 5월, 8월, 11월이며

1차 목표가 월 50만원인데 현재 제 포트폴리오는 월 약 15만원(세전)을 받고 있어 1차 목표를 달성하려면 계속 꾸준하게 주식을 사모아야 할 것 같습니다...

물론 이 기업들이 돈을 많이 벌어서 배당금을 늘려주면 많은 도움이 되겠지만 기본적으로 월급에서 꾸준하게 50% 이상 배당기업에 투자를 할 계획이고 현재는 코카콜라를 사모우고 있습니다^^

 

일단 월 50만원의 배당금이 지급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그날까지 힘내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