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visionTECH입니다^^

시간이 빠르게 흘러 어느세 6월 월급날이 왔습니다...(월급은 받아서 좋은데 벌써 2022년 반이 지났...ㅠㅜ)

아무튼~월급 받은 기념으로 애플 주식을 주당 $150에 3주, 존슨&존슨을 주당 $176.5에 5주를 매수하였습니다^^

(6월 3일에 매수를 했는데 디아블로 이모탈 하느라 오늘 업로드....^^a;;;;;)

2022년 6월 5일 기준으로 애플 수익률은 64.9%, 존슨&존슨은 8.65%(리벨런스 이후 기준)이고

애플 주식 1주당 $0.23의 배당금이 지급됨으로 분기별로 $75.9 (세전 기준),

존슨&존슨 주식 1주당 $1.13의 배당금이 지급됨으로 분기별로 $84.75 (세전 기준)의 배당금 수령이 가능해졌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2년 5번째 배당금으로 생활비 벌기 프로젝트 상황을 공유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020년 7월 8일에 처음으로 제가 보유하고 있는 종목, 투자 기준, 그리고 다달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기반으로 매달 얼마의 배당금을 받을 수 있는지 알아봤었고 변동사항이 있을때 마다 업로드를 하고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잘 아시듯이, 올해 초 연준에서 테이퍼링, 금리인상, 양적긴축, 세계적으로는 우크라이나 전쟁, 유가 상승 이슈에 따라 시장 변동성이 매우 커진 상황이지만 3월에 제가 가지고 있는 주식들이 반등에 성공해서 손해의 대부분을 복구하였지만...

4월부터 다시 시장의 불확실성으로 인한 변동폭이 강해졌습니다 ㅠㅜ

 

2022년 5월 7일 보유 주식 & 배당금

1. 삼성전자 - 800주

2. 애플 - 325주

3. 스타벅스 - 170주

4. 코카콜라 - 310주

5. 구글 - 10주

6. 테슬라 - 100주

7. 존슨앤존슨 - 70주

2022년 5월에는 애플 스타벅스 삼성전자에서 배당금 수령 예정인데 생각만 해도 너무나 행복합니다ㅎㅎㅎㅎ

(1년 중 최대로 배당금을 많이 받는 달입니다^^v)

현재 포트볼리오 비중의 큰부분인 테슬라와 구글에서​ 배당금 지급을 안하고 있기 때문에 전체 배당금 %가 낮지만 전체자산 사이즈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성장주도 포함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2021년부터 배당주 위주의 매수를 진행하여 연간 배당금 수령금액을 약 300만원으로 증가시켰습니다.

최근 주식시장이 좋지않아 전체 자산은 줄었지만, 제 포트폴리오에 달러자산 비중이 더 크기 떄문에 자산가치와 배당금 측면에서는 긍정적인 효과를 누리고 있습니다.

또한, 주식가치는 변동이 있지만, 매달 꾸준하게 배당주식을 늘리기 때문에 매달 수령하는 평균 배당금액은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처음으로 월 평균 배당금액이 25만원을 넘었습니다~~!!

확실히 자산 중 일부는 달러 베이스 자산에 투자가 되어 있으면 햇지효과가 있어서 원화자산만 들고 있는것 보다 안정적인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visionTECH입니다^^

시간이 빠르게 흘러 어느세 5월 월급날이 왔습니다...(월급은 받아서 좋은데 벌써 2022년 5월이라니...ㅠㅜ)

아무튼~월급 받은 기념으로 코카콜라 주식을 주당 $63.39에 1주, 존슨&존슨을 주당 $178.5 4주, 스타벅스를 $78.5에 4주를 매수하였습니다^^

주식수량을 정한 기준은 제가 보유하고 있는 주식의 수량을 10의 단위로 이쁘게? 만들기 위해서이며, 이번 매수로 코카롤라은 310주, 존슨&존슨은 70주 그리고 스타벅스는 170주를 보유하게 되었습니다^^

 

2022년 5월 6일 기준으로 코카콜라 수익률은 25.63%, 존슨&존슨은 11.67%(리벨런스 이후 기준), 스타벅스는 7.34%(리벨런스 이후 기준)이고

코카콜라 주식 1주당 $0.44의 배당금이 지급됨으로 분기별로 $136.4 (세전 기준),

존슨&존슨 주식 1주당 $1.13의 배당금이 지급됨으로 분기별로 $79.1 (세전 기준),

스타벅스 주식 1주당 $0.49의 배당금이 지급됨으로 분기별로 $83.3 (세전 기준) 의 배당금 수령이 가능해졌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2년 4번째 배당금으로 생활비 벌기 프로젝트 상황을 공유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020년 7월 8일에 처음으로 제가 보유하고 있는 종목, 투자 기준, 그리고 다달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기반으로 매달 얼마의 배당금을 받을 수 있는지 알아봤었고 변동사항이 있을때 마다 업로드를 하고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잘 아시듯이, 올해 초 연준에서 테이퍼링, 금리인상, 양적긴축, 세계적으로는 우크라이나 전쟁, 유가 상승 이슈에 따라 시장 변동성이 매우 커진 상황이지만 3월에 제가 가지고 있는 주식들이 반등에 성공해서 손해의 대부분을 복구하였지만...

4월부터 연준의 금리인상폭과 양적긴축 이슈가 터지면서 다시 불안한 상황입니다ㅠ

2022년 4월 7일 보유 주식 & 배당금

1. 삼성전자 - 800주

2. 애플 - 325주

3. 스타벅스 - 160주

4. 코카콜라 - 305주

5. 구글 - 10주

6. 테슬라 - 100주

7. 존슨앤존슨 - 66주

2022년 4월에는 이미 코카콜라에서 배당금을 받았으며 삼성전자 배당금을 받을 예정입니다~^^

다음달에는 애플 스타벅스 삼성전자에서 배당금 수령 예정인데 생각만 해도 너무나 행복합니다ㅎㅎㅎㅎ

현재 포트볼리오 비중의 큰부분인 테슬라와 구글에서​ 배당금 지급을 안하고 있기 때문에 전체 배당금 %가 낮지만 전체자산 사이즈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성장주도 포함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2021년부터 배당주 위주의 매수를 진행하여 연간 배당금 수령금액을 약 290만원으로 증가시켰습니다.

작년 하반기부터 배당주를 집중적으로 매수를 하였지만 2022년에는 성장주, 배당주를 따지지 않고 2022년에 안정적으로 이익을 낼 수 있는 기업에 투자해야겠다고 생각을 하여 이번에는 애플 매수를 진행하였으며, 배당금을 받은 코카콜라의 주식에 재투자를 하였고 남은 잉여자금으로는 존슨&존슨을 매수하였습니다.

최근 원달러가 떨어지긴하였지만 1200원 위에 있고, 제 포트폴리오에 달러자산 비중이 더 크기 떄문에 자산가치와 배당금 측면에서는 긍정적인 효과를 누리고 있습니다.

확실히 자산 중 일부는 달러 베이스 자산에 투자가 되어 있으면 햇지효과가 있어서 원화자산만 들고 있는것 보다 안정적인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2022년이 시작한지 어제 같은데 어느덧 4월 월급날이 왔습니다ㅠㅜ

이번달에는 애플, 코카콜라 그리고 존슨&존슨을 미국장 시작전에 매수를 하였습니다~

(애플: 주당 $178 5주, 코카콜라: 주당 $62.5 5주, 존슨&존슨: 주당 $176 1주)

2022년 4월 5일 기준으로

애플 수익률은 103.82%, 코카콜라 수익률은 21.14%, 존슨&존슨 수익률은 9.77%(리벨런싱 이후 기준)이며

분기기준으로 세전 기준으로 분기 배당금 수령은 애플 $71.5, 코카콜라 $134.2, 존슨&존슨 $69.96이 가능해졌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2022년 3월 10일, 존슨&존슨을 $168에 1주 매수를 예약하고 다음날 일어나 보니 매수가 채결된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원래 어제 업로드를 해야 했으나...일이 늦게 끝나 조금 늦게? 업로드 하였습니다~^^a;;;;;

2022년 3월 12일 기준으로 존슨앤존슨 수익률은 6.41%이며 (포트폴리오 리벤런싱 이후 기준)

분기기준으로 존슨앤존슨 주식 1주당 $1.06의 배당금이 지급됨으로 분기별로 $64.66의 배당금 수령이 가능해졌습니다~^^​​

현재 존슨앤존슨의 PER는 21.68이며 배당률은 2.51%로 은행 적금보다 높은 배당금 수령이 가능합니다^^

작년의 경우 월급과 배당금을 수령하게 되면 특정 주식 매수에 전부 활용을 하였는데

올해의 경우 월급으로는 목표한 기업의 주식을 매수하고 어느정도 현금을 남겨두고

배당금은 배당을 준 기업의 주식을 매수하는데 사용을 하고 부족한 돈은 남겨둔 현금을 활용하여 매수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여

한 기업에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방식에서제가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의 주식을 골고루 매수하는 방법을 활용하려고 합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2년 3번째 배당금으로 생활비 벌기 프로젝트 상황을 공유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020년 7월 8일에 처음으로 제가 보유하고 있는 종목, 투자 기준, 그리고 다달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기반으로 매달 얼마의 배당금을 받을 수 있는지 알아봤었고 변동사항이 있을때 마다 업로드를 하고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잘 아시듯이, 올해 초 연준에서 테이퍼링, 금리인상, 양적긴축, 세계적으로는 우크라이나 전쟁, 유가 상승 이슈에 따라 시장 변동성이 매우 커진 상황입니다 ㅠㅜ

엎친데 덮친격으로 최근 국내에서는 제가 유일하게 들고 있는 삼성전자에서 GOS와 기술유출 사태가 터지면서 양쪽으로 터지고 있는데요ㅠㅜ

그래도 다행인것은 제 심리적 마지노선인 3억은 어떻게든 사수를 하고 있고, 전 원칙에 따라 좋은 주식을 꾸준하게 사모으는 전략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계획입니다^^

2022년 3월 8일 보유 주식 & 배당금

1. 삼성전자 - 800주

2. 애플 - 310주

3. 스타벅스 - 160주

4. 코카콜라 - 300주

5. 구글 - 10주

6. 테슬라 - 100주

7. 존슨앤존슨 - 60주

2022년 3월에는 존슨&존슨에서 배당금을 받을 예정이며 다음달에는 삼성전자와 코카콜라에서 배당금을 받을 예정입니다~^^

현재 포트볼리오 비중의 큰부분인 테슬라와 구글에서​ 배당금 지급을 안하고 있기 때문에 전체 배당금 %가 낮지만 전체자산 사이즈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성장주도 포함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2021년부터 배당주 위주의 매수를 진행하여 연간 배당금 수령금액을 약 280만원으로 증가시켰습니다.

작년 하반기부터 배당주를 집중적으로 매수를 하였지만 2022년에는 성장주, 배당주를 따지지 않고 2022년에 안정적으로 이익을 낼 수 있는 기업에 투자해야겠다고 생각을 하여 이번에는 애플과 코카콜라를 분산해서 매수를 진행하였으며, 최근 원달러가 가파르게 증가하여 제 포트폴리오에 달러자산 비중이 더 크기 떄문에 자산가치와 배당금 측면에서는 긍정적인 효과를 누리고 있습니다.

확실히 자산 중 일부는 달러 베이스 자산에 투자가 되어 있으면 햇지효과가 있어서 원화자산만 들고 있는것 보다 안정적인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요즘 한국주식이나 미국주식을 투자하시는 분들이라면 하루하루 마음고생을 하고 계시리라 생각이 됩니다.

저도 매일매일 제 자산이 깎여나가는걸 보고 있으면 매우 가슴 아프고 맨탈이 나갈 것 같지만...

그때마다 제 자신을 돌아보면서 왜 내가 투자를 하고 있는지, 어떤 기준으로 종목을 골랐으며 현재 일어나는 상황이

근본적으로 제가 투자한 회사들에 영향을 줄지를 생각하고 또 생각하고 있습니다.

단타를 치지 않는 이상 피할 수 없는 이 하락장에서 제가 할 수 있는 최선의 투자방법이 뭔지를 고민을 하던 도중

제 머리속을 스쳐지나가는 생각이 있었는데, 그것은 바로 이 기회에 최대한 절세를 하는 것입니다.

저는 대부분의 자산이 미국주식에 투자가 되어 있음으로

1년에 250만원 수익까지는 비과세지만 250만원을 넘어가는 순간 20%이상의 세금이 부과가 되지만

제가 보유하고 있는 종목 중 마이너스를 기록하는 종목이 있으면 250만원 이상 절세가 가능하기 때문에 천천히 제가 보유하고 있는 종목을 살펴보았습니다.

 
 

제 눈에 띈 종목은 최근 주가가 많이 떨어졌지만 아직 수익을 내고 있는 스타벅스와 매수한지 얼마 안된 존슨&존슨이였습니다.

미국주식의 경우 1년에 수익 250만원까지 비과세이고

약 47만원의 손해를 보고 있는 존슨&존슨을 매도하면 약 300만원까지의 수익에 대해 세금을 내지 않아도 되며

마침 스타벅스의 수익이 290만원이 조금 안되기에 이 두 종목을 매도했다가 다시 재매수하면

주식수량은 그대로이지만 내야하는 세금을 0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 스타벅스를 주당 $90.8에 160주를 매도하고, 주당 $90.5에 160주를 다시 재매수하였으며

존슨&존슨은 주당 $161에 60주를 매도하고,

주당 $159에 60주를 다시 재매수하여 기존 보유 물량은 유지하였습니다

물론 제가 더 싸게 재매수를 할 가능성이 높은 시장이지만...

전 타이밍을 재는 것 보다는 매도한 금액보다 조금더 낮게 재매수를 했다는 것에 의안을 삼고 있으며

추가로 주가가 떨어지면 다시 매도 후 재매수를 하여 비과세를 할 수 있는 금액을 최대한 확보를 할 계획입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2년 2번째 배당금으로 생활비 벌기 프로젝트 상황을 공유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020년 7월 8일에 처음으로 제가 보유하고 있는 종목, 투자 기준, 그리고 다달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기반으로 매달 얼마의 배당금을 받을 수 있는지 알아봤었고 변동사항이 있을때 마다 업로드를 하고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잘 아시듯이, 올해 초 연준에서 테이퍼링, 금리인상, 양적긴축을 세계적으로는 러시아 분쟁, 유가 상승, 유럽 중앙은행 금리인상 등 이슈에 따라 시장 변동성이 매우 커진 상황입니다 ㅠㅜ

하지만 전 제 원칙에 따라 좋은 주식을 꾸준하게 사모으는 전략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계획입니다^^

2022년 2월 8일 보유 주식 & 배당금

1. 삼성전자 - 800주

2. 애플 - 302주

3. 스타벅스 - 160주

4. 코카콜라 - 280주

5. 구글 - 10주

6. 테슬라 - 100주

7. 존슨앤존슨 - 60주

2022년 2월에는 애플과 스타벅스에서 배당금을 받을 예정이며 다음달에는 존슨&존슨에서 배당금을 받을 예정입니다~^^

현재 포트볼리오 비중의 큰부분인 테슬라와 구글에서​ 배당금 지급을 안하고 있기 때문에 전체 배당금 %가 낮지만 전체자산 사이즈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성장주도 포함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2021년에는 배당주 위주의 매수를 진행하여 연간 배당금 수령금액을 약 270만원으로 증가시켰습니다.

원래 계획은 꾸준하게 배당주 위주로 매수할 생각이였으나, 최근 여러 이슈들과 2021년 대비 2022년에 다이던스가 나쁜 기업들이 시장에서 냉정한 평가를 받는 것을 봤습니다.

해서, 2022년 초반에는 성장주, 배당주를 따지지 않고 2022년에 안정적으로 이익을 낼 수 있는 기업에 투자해야겠다고 생각을 하였으며, 100% 투자하는 것이 아니라 일단 매달 투자하는 금액의 50%정도를 달러로 보유하여 혹시 모를 폭락시기때 줍줍을 할 예정입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2년 1번째 배당금으로 생활비 벌기 프로젝트 상황을 공유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020년 7월 8일에 처음으로 제가 보유하고 있는 종목, 투자 기준, 그리고 다달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기반으로 매달 얼마의 배당금을 받을 수 있는지 알아봤었고 변동사항이 있을때 마다 업로드를 하고 있습니다^^

2020년에 이어 작년 2021년에도 시장평균보다 높은 투자수익을 기록해서 재테크가 순조롭게 진행이 되고 있는데

올해 초에 연준에서 테이퍼링, 금리인상에 이어 양적긴축 가능성이 거론됨에 따라 시장 변동성이 매우 커진 상황입니다 ㅠㅜ

하지만 전 제 원칙에 따라 좋은 주식을 꾸준하게 사모으는 전략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계획입니다^^

 

 

2021년 1월 8일 보유 주식 & 배당금

1. 삼성전자 - 800주

2. 애플 - 300주

3. 스타벅스 - 160주

4. 코카콜라 - 275주

5. 구글 - 10주

6. 테슬라 - 100주

7. 존슨앤존슨 - 60주

2022년 1월에는 배당금이 없는 달이여서 허전하지만 다음달에는 애플과 스타벅스에서 배당금을 받을 예정입니다^^

현재 포트볼리오 비중의 큰부분인 테슬라와 구글에서​ 배당금 지급을 안하고 있기 때문에 전체 배당금 %가 낮지만 전체자산 사이즈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성장주도 포함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당분간은 매도를 하지 않으면서 배당 월급날 배당주 위주로 매수하는 전략으로 움직이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