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1년 3번째 배당금으로 생활비 벌기 프로젝트 상황을 공유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020년 7월 8일에 처음으로 제가 보유하고 있는 종목, 투자 기준, 그리고 다달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기반으로 매달 얼마의 배당금을 받을 수 있는지 알아봤었고 변동사항이 있을때 마다 업로드를 하고 있습니다~

2월부터 미국 장기 국체 금리가 상승함에 따라 기준금리 상승여부와 연준의 발표에 시장이 민감하게 반응을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시장금리가 상승함에 따라 그 동안 많이 주가 상승을 했던 성장주의 주가가 많이 하락을 하고 있는 상황이며

제 포트폴리오에 테크 주식의 비중이 커서 2021년 1월을 기점으로 자산가치가 하락하고 있습니다. 

연준에서는 기습적인 기준금리와 테이퍼링을 하지 않고 변동시 사전에 가이드라인을 주겠다고 언급을 하였지만

시장이 원하는 것은 오퍼레이션 트위스트, YCC 혹은 양적완화 등을 통한 금리인하를 바라는 것 같습니다.

예전에 연준은 Inflation이 발생하면 기준금리를 조절하여 대응을 해와서 Inflation 파이터의 이미지가 있었는데... 

최근 발언들을 보면 고용률 지표를 기준으로 생각을 하고 있으며 어느정도의 Inflation은 용인하는 것 같습니다.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최소 1~2분기 동안은 2월 같은 분위기가 지속이 될 것 같기 때문에 각 기업의 실적을 확인하고 대응을 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2021년 3월 8일 보유 주식 & 배당금

1. 삼성전자 - 800주

2. 삼성전자우 - 50주

3. 애플 - 280주

4. 스타벅스 - 130주 (+20주)

5. 코카콜라 - 200주

6. 구글 - 10주

7. 테슬라 - 100주

월급날인 3월 5일에 스타벅스 20주를 추가매수를 하였으며, 3월에 스타벅스의 배당금이 입금이 될 예정입니다^^

이번 스타벅스 매수로 월 평균 배당금은 174,578원이 되었으며 적지만 매달 배당금 수령액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2021년 2월과 3월의 경우 작년 코로나가 발생했던 2월과 3월같이 순자산이 줄어들었습니다ㅠㅜ

(테크주식의 하락이 결정적이였으며 특히 테슬라의 주가가 많이 떨어진 영향입니다)

 

하지만 주식뿐만 아니라 자산의 가치는 변동을 하는 것이 당연한 것이며

꾸준히 우상향을 할 자산을 꾸준하게 모으고 보유를 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단기적인 하락에 흔들리지 않고 꾸준하게 제가 투자한 기업의 성과를 지켜보면서 투자를 지속적으로 할 예정입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금일 회사일을 마치고 지친마음으로 HTS를 확인했는데 어느센가 제가 보유하고 있던 알파벳A(구글) 수익률이 100%를 기록한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알파벳A(구글) 주식은 제가 2019년 11월에 주당 $1050(원화 1,154,685원)을 10주를 매수하였고 단 1주도 매도하지 않고 2021년 2월 17일 현재까지 쭉 들고있었습니다.

2020년 구글의 성적이 제가 보유하고 있는 다른 미국 테크주식에 비해 쪼금 빈약한? 수익을 기록했었고 최근에 빅테크 주식 퍼포먼스가 좋지 않아서 수익률 100%가 깨질 수도 있지만~

최근들어 수익률을 보면 수 많은 매도의 유혹에도 버텼던 것이 오늘의 과실을 볼 수 있게 된 원인인 것 같습니다.

(물론 운도 좋았습니다^^)

구글의 최근 분기실적을 살펴보면 아직까지는 검색과 유튜브 광고 수익을 제외하면 나머지 사업에서 유의미한 성과가 느껴지지는 않지만 제2의 유튜브, 제2의 안드로이드의 소식을 들었으면 좋겠습니다^^

visiontech.tistory.com/98

 

구글(알파벳) 2020년 4분기 실적발표 정리

​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구글의 모회사인 알파벳의 2020년 4분기 실적발표를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출처: https://abc.xyz/investor/static/pdf/2020Q4_alphabet_earnings_relea..

visiontech.tistory.com

 

728x90
반응형
반응형

 

 

** 제가 올렸던 모든 글 그리고 제가 앞으로도 작성할 글은 투자권유 목적이 절대 아니며 투자의 책임 개인에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은 작성해서 업로드하기 매우 조심스러운 주제인 가상화페를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투자자 입장에서 저는 가상화페가 낮설지가 않는데... 

그 이유는 예전에 제가 손수 채굴기를 만들어서 원룸에서 비트코인, 이더리움을 채굴을 한 적이 있어서 였습니다 ^^a;;

visionTECH이 직접 제작한 8way 가상화페 채굴기

 

당시 그래픽카드(GTX1070) 8개를 사용하는 채굴기를 약 600만원을 들여서 제작을 하였으며, 원룸 한달 전기세가 약 24만원이 나왔고, 1년이 넘는 기간동안 이더리움 기준으로 약 5개를 채굴을 하였으며, 현재는 채굴기를 처분한 상태입니다.

채굴기 처분당시 전체 투자비용 대비 수익은 거의 비슷하여 딱히 손해를 보거나 이익을 보지는 않았습니다.

(중간중간 가상화페를 팔지 않고, 만약 지금까지 가상화페를 가지고 있었다면 이야기는 달랐겠죠 ㅠㅜ)

채굴기를 제작하고 손수 채굴을 진행했을 2018년~2019년 당시 가상화페, 블럭체인 등의 관련 기술들을 나름 공부?했었고, 가상화페의 장점과 단점을 비교한 다음 리스크가 너무 크다고 판단해서 그냥 지켜만 보고 있었습니다.

 

에니웨이~

 

많은 분들이 아시듯이 코로나 사태를 극복하기 위해 전세계에서 유동성을 미친듯이 풀고, 제로금리에 가까운 금리를 유지하고, 그 외 많은 이유로 국내/미국 그리고 세계적으로 많은 나라의 주식시장이 상승하였습니다.

여기서 시장에 충격을 줄만한 요소들 중 개인적으로 가장 눈여겨 보는 부분이 미국 장기 국체 금리인데요...

미국 연준에서는 테이퍼링, 금리상승은 당분간 없다고 발표하였지만, 미국 장기 국체 상승이 부담스러운 레벨까지 온 것에는 큰 의견이 없는 것 같으며, 미국 장기 국체 금리 상승은 미국의 금리상승에 상당한 영향이 있기 때문에 시장 충격에 대비하는 계획을 검토해야 할 시점이 되었다고 판단하였습니다. 

(또한, 원자재, 물가 상승 또한 중요한 변수입니다)

 

이 때문에 제가 2021년 1월에 올렸던 글에서 이러한 변수에 대응하기 위해 현금비중을 늘릴 계획이라고 언급을 한적이 있습니다.

 

visiontech.tistory.com/92

 

[visionTECH] 배당금으로 생활비 벌기 프로젝트~ (2021년 1월)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1년 첫번째 배당금으로 생활비 벌기 프로젝트 상황을 공유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020년 7월 8일에 처음으로 제가 보유하고 있는 종목, 투자 기준,

visiontech.tistory.com

 

하지만, 현금만으로 자산하락에 대한 헷지를 하기에는 뭔가 부족한 느낌을 지울수가 없어서 다른 옵션들을 살펴보기 시작했습니다.

알아본 결과 보편적으로 헷지를 인버스, 곱버스 등의 선물옵션(흔히 "숏"을 치는 방법), 금/은 등의 자산으로 하는 것으로 파악을 하였지만 고민 끝에 제 자산의 헷지를 하는 방법 중 하나를 가상화페로 결정을 하였습니다.

(개인적으로 "숏"을 치는 것에 부정적입니다...왜냐면 전 "언제 하락하는지" 못 맞추기 때문이죠 ^^;;;;;)

 

제가 채굴기를 만들고 돌렸던 2018년~2019년의 상황이라면 절대 가상화페를 헷지 수단으로 생각조차 하지 않았겠지만...

PayPal의 가상화페 거래 플렛폼 오픈, 비자/마스터 카드사의 가상화페 거래 가능성, 페이스북 자체 가상화페 시도, 테슬라 일론 머시크의 1조 7000억원 매수 공시(비트코인으로 테슬라 차량 매수가능) 등의 요소를 살펴보면 어떠한 형식이던지 가상화페가 우리에게 다가오고 제일 중요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판단 되었습니다.

그리고, 짧은 지식으로 제 생각에는 만약 금리인상 같은 이슈가 시장에 영향이 가면, 갈곳이 마땅치 않은 자금 중 일부가 가상화페로 들어가서 상승 혹은 헷지가 되지 않을까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많은 분들이 아시듯이 가상화페의 경우 화페로서 가치의 변동폭이 매우 크며, 주식/부동산과 다르게 "가치"판단이 거의 불가능하며, 기존화페 발행 주체(나라, 연준 등)의 비관적인 시각 등 리스크가 매우매우 큰데요...

이 때문에 가상화페로 헷지를 하되, 모든 투자는 제 마음이 편안하고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어야 하는 방법이여야 하기 때문에 전체자산의 1% 정도로 진행을 하기로 결정했습니다.

2021년 2월 14일 기준으로 제 자산은 약 2억 5000만원이기 때문에 약 250만원 정도를 투자하기로 하였으며

현재 비트코인, 이더리움 2개의 가상화페를 합쳐서 약 150만원 정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전체자산의 1%를 가상화페로 투자하고 헷지수단으로 결정한 것이 맞는지 틀린 것인지는 시간이 지나야 알 수 있겠지만 지속적으로 시장상황을 체크하면서 대응을 해 나갈 생각입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2월 10일 미국장이 열리고 오랜만에 코카콜라 주식을 주당 $50에 총 15주를 추가매수하였습니다.

​이번 매수로 총 코카콜라 보유주식이 200주로 증가하였습니다^^

 

2021년 2월 11일 기준으로 코카콜라 수익률은 3.08%이며 분기기준으로 코카콜라 주식 1주당 $0.41의 배당금이 지급됨으로 분기별로 $82의 배당금 수령이 가능해졌습니다^^​

 

 

지난 1년간의 코카콜라 주가를 보면 언텍트 기업과는 달리 주가가 지지부진한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코카콜라는 컨텍주에 포함이 됨으로 백신이 광범위하게 보급이 되어 집단면역이 이루어져야 풍부한 유동성, 구고조정 등의 효과로 주가가 올라갈 수 있을 것이라 생각 됩니다.

코카콜라 기업 정보 (출처: 애플 주식어플)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1년 두번째 배당금으로 생활비 벌기 프로젝트 상황을 공유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020년 7월 8일에 처음으로 제가 보유하고 있는 종목, 투자 기준, 그리고 다달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기반으로 매달 얼마의 배당금을 받을 수 있는지 알아봤었고 변동사항이 있을때 마다 업로드를 하고 있습니다~

최근 국내/해외 주식시장의 변동폭이 너무 커진것 같은데요...

하루하루 한달에서 두달치 월급 정도의 자산이 생겼다가 없어졌다 하기 때문에 

자신만의 원칙, 자신만의 계획이 확고하지 않으면 버티고 인내하기 힘든 상황인 것 같습니다.

아무튼 변동성이 심한 장인데도 불구하고 다행이도 1월 그리고 2월 5일 기준으로 자산이 줄지않고 늘어나고 있습니다.

2014년 1월 ~ 2021년 2월 순자산&수익률

최근 1년기준 순자산, 수익 (출처: 미래에셋대우 어플)

2021년 2월 8일 보유 주식 & 배당금

1. 삼성전자 - 800주

2. 삼성전자우 - 50주 (+20주)

3. 애플 - 280주

4. 스타벅스 - 110주

5. 코카콜라 - 185주

6. 구글 - 10주

7. 테슬라 - 100주

월급날인 2월 5일에 삼성전자우 20주를 추가매수를 하였으며 

2월에는 애플과 스타벅스 배당금이 들어오는 달이기 때문에 

배당금 수령 후 현금을 보태서 코카콜라 주식을 매수 할 계획입니다.

연간 배당금, 월 평균 배당금 계산​

 

월간 배당금 history 그래프

현재 포트폴리오로 월 168,709원이 배당소득으로 들어오고 있으며 

제가 블로그에 배당금 내역을 기록한지 약 8개월 동안 배당금 증가 속도는 느리지만 꾸준히 우상향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복리효과를 최대한 누리고자 모든 배당금은 주식매수에 재투자할 생각입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새해가 오고 얼마 지나지 않은 것 같은데 2021년 두번째 월급날이 왔습니다ㅠㅜ

월급날이여서 즐겁기는 한데...시간이 가면갈수록 빨리가는 것 같아 좀 씁쓸하긴 하지만...

이런 마음을 달래기 위해 삼성전자우 20주를 매수하였습니다^^a;;;;;​

오늘 장이 시작하자 마자 바로 매수를 하였는데...역시나 제가 매수하니까 주가가 떨어지는...^^a;;;

2021년 2월 5일 삼성전자우 종목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

 

올해 4월에 삼성전자 특별배당이 예상보다 많이 지급이 되서 기분이 매우 좋지만

예상보다 배당률의 증가가 미비해서 많이 아쉽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2021년 분기 배당금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지만 뉴스기사의 내용으로 계산을 하였을때 보통주 기준으로 주당 354원에서 약 360원정도로 늘어나는 것 같습니다)

 

아무튼! 꾸준히 이익을 내고 성장하는 기업의 주식을 하나하나씩 모아가는 것이 재테크 성공의 확률을 높이는 길인 것 같습니다.

이번 매수로 제가 보유하고 있는 삼성전자우는 총 50주이며, 평균매입가는 70,980원이고 수익률은 4.68%입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구글의 모회사인 알파벳의 2020년 4분기 실적발표를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출처: https://abc.xyz/investor/static/pdf/2020Q4_alphabet_earnings_release.pdf?cache=9e991fd)

Summary

2020년 4분기 Summary (출처:  https://abc.xyz/investor/static/pdf/2020Q4_alphabet_earnings_release.pdf?cache=9e991fd )

 

실적자료 첫 부분에 알파벳측에서는 2020년 4분기의 호실적은 구글 검색부분과 유튜브가 기여하였다고 언급을 하였고 처음으로 Google Cloud 영업이익을 공개하였는데 비록 현재는 손해를 보고 있으나 연간기준으로 131억달러(한화 약 14조4100억원) 매출을 내며 빠르게 성장을 하고 있다고 하였습니다.

재무재표

2020년 4분기 & 2020년 연간 재무재표 (출처:  https://abc.xyz/investor/static/pdf/2020Q4_alphabet_earnings_release.pdf?cache=9e991fd )

 

알파벳은 2020년 4분기에 매출 569억달러(한화 약 62조5900억원), 주당순이익(EPS) 22.3달러를 기록하였습니다. 1년 기준으로 보면 2019년에 비해 2020년의 매출은 약 23%, 영업이익은 약 70% 증가하였습니다.

이는 시장예상치보다 매출은 약 7% 초과하였고 주당순이익(EPS)는 약 40%초과하는 성과로 이 발표가 난 후 알파벳의 주가는 시장외 기준으로 약 7% 주가가 상승을 하였습니다.

한 가지 흥이로운 부분은 이번에 처음으로 알파벳이 Google Cloud 부분의 매출을 공개했다는 것인데 2019년 대비 2020년에 매출이 늘었다고 하더라도 연간기준 적자인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개를 했다는 것은 차후 매출증가&순이익 달성에 자신감이 있다는 느낌이 듭니다.

마지막으로 Other bets부분은 분기 기준으로 3분기 1억7200만달러에서 4분기 1억9600만달러로 소폭 상승하였지만 2019년 대비 2020년 매출은 6억5700만달러로 소폭 감소하였습니다.

Other bets부분은 구글사업을 제외한 모든 사업, 즉 많은 분들이 알고 계시는 웨이모를 포함해서 Access, Calico, Verily 등의 사업부분인데 매출증가는 커녕 소폭 감소한 것으로 보아 2020년 알파벳의 어닝서프라이즈는 본 사업인 검색과 유튜브를 제외하면 아직까지는 눈에 띄는 성장이 보이지 않는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0년 삼성전자 실적과 배당금 관련 내용을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아침, 출근하기 전 애플 분기실적 발표 내용을 정리해서 업로드를 하였고

이번에 삼성전자 내용을 다룬 후 테슬라의 분기실적 발표 내용 또한 빠른시간안에 업로드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에니웨이~

2020년 삼성전자 실적발표 내용은 하기 링크로 들어가시면 전체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images.samsung.com/kdp/ir/events/2020_4Q_conference_kor.pdf?_ga=2.268956403.345844312.1611834742-154277544.1611834742

간략하게 요약해서 정리를 하면,

2020년 삼성전자 매출은 전년대비 2.78% 늘어난 236.81조원, 영업이익은 29.62% 늘어난 35.99조원을 기록하였습니다.

수익성 지표 중 하나인 ROE의 경우 10%로 2019년 4Q와 비교해서 2% 늘어났지만 2020년 3Q에 비하면 4% 감소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2020년 삼성전자 손익분석 (출처: 삼성전자 홈페이지,  https://images.samsung.com/kdp/ir/events/2020_4Q_conference_kor.pdf?_ga=2.268956403.345844312.1611834742-154277544.1611834742 )

 

2020년 실적발표와 함께 2021년 사업군별 전망을 발표하였는데요~

전체적으로 원가 경쟁력과 생산확대로 어려운 시기를 극복하려는 느낌을 받았고 잘 사업을 해도 지정학 리스크나 환율에 따른 불확실성이 있는만큼 올해도 만만치 않은 한해가 될 것이라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사업군별 2021년 전망 (반도체(오른쪽), DP(왼쪽))
사업군별 2021년 전망 (IM(오른쪽), CE(왼쪽))

 

마지막으로 많은 분들이 깜짝놀라면서 삼성전자 주주분들이라면 희소식이 있는데요^^

그것은 바로 삼성전자 특별배당인데~

기존 배당금 355원에 1578원의 특별배당이 추가가 되서 총 1933원을 받게 되었습니다^^

또한, 올해부터 향후 3년동안(2023년까지) 정규 배당 규모를 9조 6000억원에서 9조 8000억원으로 확대한다는 발표를 하였는데, 개인적으로 예상했던 것 보다 배당금 인상폭이 크지 않아서 실망을 하였지만...

올해처럼 3년 뒤 잉여 현금흐름의 50% 내에서 잔여 재원이 발생하면 특별배당을 지급한다는 정책을 유지한다고 하였으며, 공격적인 M&A를 통한 주가상승의 요소가 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제가 재테크를 시작한 이래 처음으로 개별종목 수익률 1000%를 달성하였습니다~^^

10루타를 친 종목은 당연히? 저세상 주식이라 불리는 테슬라이며 2019년 11월18일에 주당 $354.13(액면분할 후 주당 $70.83)을 30주를 매수하였고, 2020년 2월 7일에 원금회수 목적으로 주당 $875.00에 10주(액면분할 후 50주)를 매도한 후 나머지 20주(액면분할 후 100주)를 현재까지 들고 있습니다.

 

지난 1년 동안을 생각해보면 별탈 없이 쭉 주가가 오른것 같지만....

코로나가 터지기 전까지 쭉 우상향을 해오다가 사태가 커지면서 주가가 급락을 하였고...

싸이버트럭 시연에서 철공을 너무 세게?던져서 창문이 깨지면서 주가가 급락을 하고...

테슬라 Battery Day, S&P500지수 편입 실패 등 이슈들이 터지고 주가가 급등락을 할 때마다 매도를 심각하게 고민을 하였지만...

이미 원금을 확보한 상태였기 때문에 매도의 유혹을 이겨내고 버텼기 때문에 오늘과 같은 결실을 맺은 것 같습니다^^

 

물론, 현재 PER, PBR, ROE등을 고려하면 테슬라가 고평가인 것은 맞으며

단순 전기차 제조/판매 회사로 생각하면 말도 안되는 주가이지만, 예전에 작성한 글에서도 언급을 하였듯이 테슬라는 전기차 뿐만 아니라 자율주행, 로보택시, 스페이스X의 Starlink Project 등의 요소가 있기 때문에 고전적인 평가방식으로는 아직 가치가 재대로 산정이 안되는 것 같습니다.

visiontech.tistory.com/33

 

테슬라 얼마나 고평가이며 투자를 해도 괜찮을까?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저세상 주식으로 유명한 테슬라가 과연 고평가인지, 투자를 해도 괜찮을지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본 주제를 다루기 전에 저는 주식 전문가가 아니

visiontech.tistory.com

 

에니웨이~

올해 일론 머스크가 목표로 한 연간 50만대 판매 목표가 달성이 됬다고 저는 판단하고 있으며

테슬라가 약속한? 목표들을 하나하나씩 이루어 나가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도 쭉 테슬라가 진행하고 있는 사업들을 지켜보면서 포트폴리오 조정을 할 계획입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연휴가 끝나고 2021년 첫번째 월급날이 왔습니다~~

새해 시작을 알리는 첫번째 매수로 어느 종목을 매수할까 고민을 한 끝에 삼성전자우 10주를 매수하였습니다^^

 

 

2021년부터는 현금비중을 늘리기 위해 월급의 50%를 전부 매수를 하지 않고 월급의 50%의 50%정도?만 사용하여 주식을 FLEX하였고 나머지 현금은 CMA계좌에 보관을 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2021년 1월 5일 삼성전자우 종목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

 

최근 삼성전자와 삼성전자우의 주가가 급하게 올라가면서 배당률이 2%가 안되는데, 올해 삼성전자에서 배당금을 올려서 다시 배당률을 2%중반 이상으로 올려줬으면 합니다^^a;;;;

(물론 연말에 소문으로만 무성하던 특별배당도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번 매수로 제가 보유하고 있는 삼성전자우는 총 30주이며, 평균매입가는 68,833원이고 수익률은 8.96%입니다.

물론 투자한 기업의 주가가 올라가면 좋지만...

삼성전자우 주식을 모우는 입장에서는 평균단가를 최대한 낮추기 위해 천천히 올라갔으면? 하는 배부른 생각이 들고

궁극적으로는 매분기에 나오는 배당금의 규모를 늘리는 것이 목표이기 때문에 미국처럼 이익이 발생하면 주주에게 환원을 잘하는 삼성전자가 되었으면 합니다.

(물론 국내 기준으로는 훌륭하지만 매년 이익과 배당금을 올려줘서 복리효과가 최대한 나왔으면 합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