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오늘도 열씸히? 일을 하고 있는 중, 2023년 두번째로 삼성전자우에서 지급한 배당금을 수령했습니다~^^

현재 저는 삼성전자우를 915주를 보유 중이지만, 5주는 배당락일 이후에 매수하였기 때문에 910주의 세전 기준으로 328,510원이 입금되었고, 세금을 제외한 실 수령액으로 279,084원을 수령했습니다^^

 

2023년 5월 17일 기준으로 저는 삼성전자우 915주를 보유하고 있으며

수익률은 13.09%로 투자금의 손해는 보고있지 않지만

다른 미국주식들과 기간별 수익률을 비교하면 투자성적이 좋은 편은 아닙니다.

제 기준에서는 삼성전자가 사업성과 주주환원 정책이 국내기업들보다 좋으며, 세계적인 회사인 동시에 우리나라 최고의 기업이기에 지금보다 더 주주환원 정책을 통해 주주의 이익에 신경을 써줘야한다고 생각이 듭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3년 5번째 배당금으로 생활비 벌기 프로젝트 상황을 공유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020년 7월 8일에 처음으로 제가 보유하고 있는 종목, 투자 기준, 그리고 다달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기반으로 매달 얼마의 배당금을 받을 수 있는지 알아봤었고 변동사항이 있을때 마다 업로드를 하고 있습니다^^

 

 

 

2023년 5월 8일 기준으로 제 주식자산의 평가금액은 319,452,891원이며

올해 누적 저축액은 10,400,000원, 누적 수익률은 24.39%으로 61,765,811원의 수익을 올리고 있습니다~ 

(드디어 올해 누적 저축액 1000만원을 돌파했습니다~!!)

 

​2023년 5월 8일 보유 주식 & 배당금

1. 삼성전자우 915주 (+5주)

2. 애플 - 355주 (+4주)

3. 스타벅스 - 205주 (+4주)

4. 코카콜라 - 355주 (+2주) 

5. 구글 - 120주 

6. 테슬라 - 300주

7. 존슨앤존슨 - 120주 

8. SPDR S&P500 - 23주 (+1주)

4월 배당금으로 생활비 벌기 프로젝트를 업로드 한 후, 

삼성전자우 5주, 애플 4주, 스타벅스 4주, 코카콜라 2주, SPDR S&P500 1주를 매수하여 

그동안 모아온 현금 중 일부를 매수에 사용하고 남은 현금은 약 1%정도이며

​이번달에도 배당주식을 늘린결과, 매달 평균 34만6천원 정도의 배당금을 받을 수 있는 현금흐름 구조를 만들었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3년 4번째 배당금으로 생활비 벌기 프로젝트 상황을 공유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020년 7월 8일에 처음으로 제가 보유하고 있는 종목, 투자 기준, 그리고 다달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기반으로 매달 얼마의 배당금을 받을 수 있는지 알아봤었고 변동사항이 있을때 마다 업로드를 하고 있습니다^^

2023년 4월 8일 기준으로 제 주식자산의 평가금액은 314,961,668원이며

올해 누적 저축액은 8,800,000원, 누적 수익률은 23.33%으로 58,874,588원의 수익을 올리고 있습니다~

​2023년 4월 8일 보유 주식 & 배당금

1. 삼성전자우 910주

2. 애플 - 351주

3. 스타벅스 - 201주

4. 코카콜라 - 353주 (+3주)

5. 구글 - 120주 (-30주, 리벨런싱)

6. 테슬라 - 300주

7. 존슨앤존슨 - 120주 (+20주, 리벨런싱)

8. SPDR S&P500 - 22주 (+1주)

3월 동안 포트폴리오 조정을 하기위해 구글 30주를 매도한 금액으로 존슨&존슨을 매수하였으며,

4월 코카콜라에서 받은 배당금과 월급날에 저축한 금액으로 SPDR S&P500 1주와 코카콜라 3주를 매수하고

나머지는 매수하지않고 현금으로 CMA에 저축해서 현금비중을 늘리고 있습니다.

최근 현금비중을 늘리기 위해 주식매수에 모든 현금을 쓰고있지 않지만

포트폴리오 조정으로 배당주 비중을 늘린결과 매달 평균 34만원의 배당금을 받을 수 있는 구조를 만들었습니다~

(참고로 제 원룸이 35만원임으로 조금만 더 배당주를 매수하면 제가 일하지 않고도 방값이 해결되는 시스템이 만들어집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오늘 삼성전자 배당조회 사이트에서 2022년 기말 배당조회가 가능한 것을 확인해서 기쁜마음으로

4월에 받을 배당금 내역확인을 하였습니다^^

기존 삼성전자 혹은 삼성전자우 주주라면 하기에 있는 사이트로 들어가셔서 회원가입/로그인을 하시고

주주인증을 거치면 배당금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dividend.samsung.com

 

삼성전자 배당조회 Web Service

'22년 기말배당 조회 회원가입 및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회원가입 로그인 삼성전자 배당조회 Web Service란? 배당기준일에 삼성전자 주식을 보유하신 주주분들이 배당내역을 확인하실 수 있는 Web Se

dividend.samsung.com

 

 

현재 전 삼성전자우 주식을 910주를 보유하고 있고~삼성전자우 1주당 362원을 분기배당으로 지급하기 때문에

세전기준으로 총 329,420원을 분기배당금으로 수령이 가능하며,​

이번에 배당을 받은 삼성전자우 배당금은 그대로 100% 재투자해서 오란맨에 삼성전자우를 매수할 계획입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3년 3번째 배당금으로 생활비 벌기 프로젝트 상황을 공유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020년 7월 8일에 처음으로 제가 보유하고 있는 종목, 투자 기준, 그리고 다달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기반으로 매달 얼마의 배당금을 받을 수 있는지 알아봤었고 변동사항이 있을때 마다 업로드를 하고 있습니다^^

 

2023년 3월 8일 기준으로 제 주식자산의 평가금액은 296,898,728원이며

올해 누적 저축액은 6,700,000원, 누적 수익률은 17.03%으로 42,811,648원의 수익을 올리고 있습니다~ 

 

​2023년 3월 8일 보유 주식 & 배당금

 

1. 삼성전자우 910주

2. 애플 - 351주 (+1주)

3. 스타벅스 - 201주 (+1주)

4. 코카콜라 - 350주 

5. 구글 - 150주 

6. 테슬라 - 300주

7. 존슨앤존슨 - 100주 

8. SPDR S&P500 - 21주 (+1주)

올해 약 2월까지 시장이 폭팔적으로 상승한 다음 눈치보기 장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에서 발표되는 지표를 보면 인플레이션이 쉽게 잡힐것 같지 않아 추가 금리상승에 의한 조정이 언제든지 나타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하여, 매달 배당금이 나오는 주식을 매수하되 현금을 전부 소진하지 않는 전략으로 당분간 유지를 할 생각입니다.

(폭락하는 날이오면 언제든지 풀매수를 할 생각입니다) 

​월간 배당금의 경우 최근 원달러 상승과 꾸준한 배당주 매수로 인해 월간 약 32만원으로 상승하였고

조금만 더 배당주를 매수하면 연간 배당금이 400만원을 넘길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3년 2번째 배당금으로 생활비 벌기 프로젝트 상황을 공유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020년 7월 8일에 처음으로 제가 보유하고 있는 종목, 투자 기준, 그리고 다달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기반으로 매달 얼마의 배당금을 받을 수 있는지 알아봤었고 변동사항이 있을때 마다 업로드를 하고 있습니다^^

2023년 2월 8일 기준으로 제 주식자산의 평가금액은 298,259,216원이며

올해 누적 저축액은 4,800,000원, 누적 수익률은 18.39%으로 46,072,136원의 수익을 올리고 있습니다~

​2023년 2월 8일 보유 주식 & 배당금

1. 삼성전자우 910주

2. 애플 - 350주 (+5주)

3. 스타벅스 - 200주

4. 코카콜라 - 350주 (+20주)

5. 구글 - 150주 (-20주)

6. 테슬라 - 300주

7. 존슨앤존슨 - 100주 (+20주)

8. SPDR S&P500 - 20주

고민 끝에 2023년 2월 포트폴리오 리벨런싱을 통해 배당금을 늘리는 방향으로 진행을 하였습니다.

현재 배당이 나오지 않는 종목 중 하나인 알파벳(구글)을 20주 매도하였고, TQQQ를 매도한 금액으로

코카콜라와 존슨앤존슨를 추가매수하였습니다~^^

2022년 초 제 포트폴리오의 기술주 비중이 약 80%에 육박했었습니다.

해서, 지난 1년 동안 배당주 집중매수 및 포트폴리오 조정한 결과 현재 기술주 비중이 70% 정도로 낮아졌으며

​월간 배당금의 경우 포트폴리오 리벨런싱으로 월간 약 31만원으로 다시 월배당 30만원을 넘기는데 성공했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3년 1번째 배당금으로 생활비 벌기 프로젝트 상황을 공유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020년 7월 8일에 처음으로 제가 보유하고 있는 종목, 투자 기준, 그리고 다달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기반으로 매달 얼마의 배당금을 받을 수 있는지 알아봤었고 변동사항이 있을때 마다 업로드를 하고 있습니다^^

​2023년 1월 8일 보유 주식 & 배당금

1. 삼성전자우 910주

2. 애플 - 345주 (+5주)

3. 스타벅스 - 200주 (+20주)

4. 코카콜라 - 330주 (+5주)

5. 구글 - 170주 (-30주)

6. 테슬라 - 300주

7. 존슨앤존슨 - 80주

8. SPDR S&P500 - 20주 (+1주)

2022년 12월 월급날 이후 미국주식 양도소득세 면제구간인 250만원 수익 기준에 맞춰 포트폴리오 조정을 해서, 구글 30주를 매도하였습니다.

그렇게 매도한 금액으로 스타벅스, 코카콜라를 추가매수하여 배당을 늘리는 방향으로 매수를 하였고, 2023년 1월 월급날 확보한 현금 중 일부로 애플을 매수하였습니다~^^

2022년 초 제 포트폴리오의 기술주 비중이 약 80%에 육박하여, 지난 1년동안 S&P500 ETF와 배당주를 많이 매수한 결과 현재 기술주 비중이 70% 정도로 낮아졌습니다. (기술주 주가가 하락한 영향도 많이 미쳤습니다)

기술주 비중이 낮아졌어도 여전히 비중이 높은 것 같아서 배당주와 S&P500 ETF를 매수하여하는 방향을 유지해야하는데...

최근 애플과 테슬라의 하락이 커서 애플은 개인적으로 매수하기 너무나 매력적인 구간인 것 같고, 태슬라는 꿈의 영역에서 숫자의 영역으로 들어온 것 같아 $100근방에 기회가 오면 매수를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아서 매수전략을 어떻게 가져가야 할지 고민 중입니다.

(개인적으로 삼성전자를 더 투자하고 싶은데...주주환원정책이 미국에 비해 아직은 많이 부족한것 같아 아쉽습니다..ㅠㅜ)

월간 배당금의 경우 최근 원달러 환률이 낮아진 영향으로 월 30만원보다는 조금 떨어진 299,574원이지만, 배당주를 조금만 매수하면 30만원을 넘는데는 문제가 없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2년 투자내역과 결과가 어떻게 됬는지 정리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재테크를 하시는 분들이라면...2022년은 정말 역대급으로 험난하고 힘든 한해였을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미국이 인플레이션에 대응을 한다는 명목으로 급격하게 기준금리를 올리고 시장의 기대를 완전히 박살을 내면서 다우존스, 나스닥, S&P 500지수 모두 마이너스를 기록하였고...

특히, 기술주와 성장주 중심인 나스닥의 경우 -33.89%를 기록하여 기술주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가지고 있는 저의 수익률에도 악영향을 주었습니다.

총 주식 평가금액 & 2022년 수익률 & 2022년 입금액(저축액)

 

2022년 1월에 33,970,4497원의 주식 평가금액으로 시작을 하였으며, 매달 월급의 50% 이상을 저축하고 현금이 생기면 소비에 사용하지 않고 저축을 하여 약 2800만원을 투자에 활용하였습니다.

올 한해 제 수익률은 -33.97%를 기록, 약 1억2000만원의 손실이 있었고 2022년 말의 제 주식 평가액은 약 2억 4700만원입니다.

 

 

현 주식 보유현황 & 2022년 주식 매수 기록 & 배당금

2022년 12월 31일 주식현황

 

2022년 주식 매수/매도 기록

 

1. 삼성전자우: 910주 <+910주>

2. 애플: 341주 <+41주>

3. 알파벳A(구글): 170주 <-30주>

4. 코카콜라: 330주 <+65주>

5. 스타벅스: 200주 <+44주>

6. 테슬라 100주 <변동 없음>

7. 존슨 앤드 존슨: 80주 <+20주>

8. SPDR S&P500(SPY): 20주 <+20주>

2022년에 매도한 종목은 삼성전자와 알파벳(구글)이 있었습니다.

삼성전자는 매도한 금액을 전부 삼성전자우를 매수하는데 사용을 하여 배당금을 약 15%정도 더 확보를 할 수 있게되었고~

구글은 200주 중 30주를 매도하여 연 250만원 해외비과세 세금면제 기준을 넘지않도록 하고 배당종목에 투자하였습니다.

포트폴리오 조정과 매달 꾸준한 배당주 매수로 2022년 연간 배당금은 약 270만원에서 약 360만원으로 증가하였고, 이는 매달 평균 약 22만원에서 30만원으로 증가한 결과로 이어졌습니다~!

2022년 배당금 변화 (1월 vs 12월)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2년 12번째(마지막이죠ㅠㅜ) 배당금으로 생활비 벌기 프로젝트 상황을 공유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020년 7월 8일에 처음으로 제가 보유하고 있는 종목, 투자 기준, 그리고 다달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기반으로 매달 얼마의 배당금을 받을 수 있는지 알아봤었고 변동사항이 있을때 마다 업로드를 하고 있습니다^^

 

​2022년 12월 8일 보유 주식 & 배당금

1. 삼성전자우 910주

2. 애플 - 340주

3. 스타벅스 - 180주

4. 코카콜라 - 325주 (+5주)

5. 구글 - 200주 

6. 테슬라 - 300주

7. 존슨앤존슨 - 80주

8. SPDR S&P500 - 19주 (+4주)

2022년 12월 월급날에 코카콜라 5주와 SPDR S&P500 4주를 추가 매수하였습니다~^^

최근 주식시장이 변동폭이 크고 하락이 심해서 연초대비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있으며, 제 포트폴리오에 달러자산 비중이 크기 때문에 최근 달러약세로 자산가치와 배당금 측면에서는 최근 1달동안 좋지않은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원화 기준으로 매달 받는 배당금의 금액이 조금 줄었습니다

최근 10월부터 지금까지 중국 리스크로 인해 제 포트폴리오 비중이 높은 애플과 테슬라의 하락이 심하여 제 자산의 가치가 3억 밑으로 떨어진것은 가슴이 아픕니다...하지만 장기로 보았을때 이 기업들에 확신이 있기 때문에 보유를 하면서 지속적으로 모티너링을 할 예정입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오늘 일을 하고 있는 중, 2022년 네번째로 삼성전자에서 지급한 배당금을 수령했습니다~^^

현재 저는 삼성전자 800주를 매도하고 삼성전자우를 910주를 보유 중이지만 배당락 이후에 포트폴리오 변경을 했기 때문에 삼성전자 800주에 세전 기준으로 288,880원이 입금되었습니다^^;;;

2022년 11월 15일 기준으로 저는 삼성전자우 910주를 보유하고 있으며

수익률은 17.25%로 포트폴리오 변경 후 주가가 상승하여 수익을 보고 있습니다^^

내년에 삼성전자와 삼성전자우의 배당금을 늘려줘서 배당금을 더 수령을 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이재용 회장님 믿습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