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오늘 오후 2021년 처음으로 스타벅스로부터 배당금을 수령했습니다~^^

현재 저는 스타벅스 130주를 보유 중이지만 20주는 배당락일 이후에 매수를 했기 때문에 110주에 한해서 세금을 제외하고 분기 배당금으로 총 $42.07를 수령했습니다!!

 

 

2021년 3월 8일 기준으로 스타벅스 주가는 주당 $105.20이며, 배당금은 1.71%로 배당금이 많은편은 아니지만 작년 코로나 사태 당시 어려운 상황속에도 배당금일 10% 인상하였던 것을 감안하면 올해 배당금을 늘려줄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투자를하고 지켜볼 기업 중 하나입니다^^

 

특히 최근 미국 장기 국체 금리 상승 때문에 그 동안 많이 올랐던 언텍주, 성장주, 기술주 등의 주가가 좋지 않은데 스타벅스는 변동이 거의 없으며 백신이 보급이 되고 사람들이 자유롭게 돌아다니게 되면 매출이 안정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1년 3번째 배당금으로 생활비 벌기 프로젝트 상황을 공유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020년 7월 8일에 처음으로 제가 보유하고 있는 종목, 투자 기준, 그리고 다달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기반으로 매달 얼마의 배당금을 받을 수 있는지 알아봤었고 변동사항이 있을때 마다 업로드를 하고 있습니다~

2월부터 미국 장기 국체 금리가 상승함에 따라 기준금리 상승여부와 연준의 발표에 시장이 민감하게 반응을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시장금리가 상승함에 따라 그 동안 많이 주가 상승을 했던 성장주의 주가가 많이 하락을 하고 있는 상황이며

제 포트폴리오에 테크 주식의 비중이 커서 2021년 1월을 기점으로 자산가치가 하락하고 있습니다. 

연준에서는 기습적인 기준금리와 테이퍼링을 하지 않고 변동시 사전에 가이드라인을 주겠다고 언급을 하였지만

시장이 원하는 것은 오퍼레이션 트위스트, YCC 혹은 양적완화 등을 통한 금리인하를 바라는 것 같습니다.

예전에 연준은 Inflation이 발생하면 기준금리를 조절하여 대응을 해와서 Inflation 파이터의 이미지가 있었는데... 

최근 발언들을 보면 고용률 지표를 기준으로 생각을 하고 있으며 어느정도의 Inflation은 용인하는 것 같습니다.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최소 1~2분기 동안은 2월 같은 분위기가 지속이 될 것 같기 때문에 각 기업의 실적을 확인하고 대응을 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2021년 3월 8일 보유 주식 & 배당금

1. 삼성전자 - 800주

2. 삼성전자우 - 50주

3. 애플 - 280주

4. 스타벅스 - 130주 (+20주)

5. 코카콜라 - 200주

6. 구글 - 10주

7. 테슬라 - 100주

월급날인 3월 5일에 스타벅스 20주를 추가매수를 하였으며, 3월에 스타벅스의 배당금이 입금이 될 예정입니다^^

이번 스타벅스 매수로 월 평균 배당금은 174,578원이 되었으며 적지만 매달 배당금 수령액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2021년 2월과 3월의 경우 작년 코로나가 발생했던 2월과 3월같이 순자산이 줄어들었습니다ㅠㅜ

(테크주식의 하락이 결정적이였으며 특히 테슬라의 주가가 많이 떨어진 영향입니다)

 

하지만 주식뿐만 아니라 자산의 가치는 변동을 하는 것이 당연한 것이며

꾸준히 우상향을 할 자산을 꾸준하게 모으고 보유를 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단기적인 하락에 흔들리지 않고 꾸준하게 제가 투자한 기업의 성과를 지켜보면서 투자를 지속적으로 할 예정입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어느덧 3월 월급날이 왔습니다~^^

저녁에 미국 장이 열리고 오랜만에 스타벅스 주식을 주당 $104.99에 총 20주를 추가매수하였습니다.

​이번 매수로 총 스타벅스 보유주식이 130주로 증가하였습니다^^

2021년 3월 5일 기준으로 스타벅스 수익률은 55.01%이며 분기기준으로 스타벅스 주식 1주당 $0.45의 배당금이 지급됨으로 분기별로 $58.5(세전 기준)의 배당금 수령이 가능해졌습니다^^​

스타벅스의 경우 PER이 185.21이여서 고 PER 상태여서 투자의 주의가 필요하다고 생각이 들지만

현재 백신의 보급, 경기 회복의 기대감 등의 이유여서인지 컨텍주의 경우 언텍주에 비해 주가 움직임이 안정적인 상황입니다.

이번달에 코카콜라와 스타벅스 중 어느 종목을 매수할지 고민을 한 끝에 스타벅스의 주식을 모으기로 결정을 했습니다.

작년에 코로나 상황 때문에 경기가 안좋고 기업의 실적이 안좋아졌는데도 불구하고 스타벅스는 배당금을 10% 인상을 했었습니다.

따라서 이번 년도에는 10%까지는 아니더라도 배당금 인상을 할 것으로 예상을 하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설 연휴가 지나고 오랜만에 출근해서 전혀 적응하지 못해 심신이 지쳐가는 오후에 반가운 카톡을 받았는데

그것은 바로~2021년 첫번째로 받은 애플 배당금입니다^^

현재 저는 애플 280주를 보유 중이며 세금을 제외하고 분기 배당금으로 총 $48.79를 수령했습니다!!

2021년 2월 15일 기준으로 애플주가는 주당 $135.37이며, 배당금은 0.61%로 미국 1등 시가총액 기업치고는 배당금이 매우 짠 편이지만 지속적인 혁신으로 회사의 가치가 매년 큰폭으로 올라가고 있으며 올해 배당금을 늘려줄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투자를하고 지켜볼 기업 중 하나입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2월 10일 미국장이 열리고 오랜만에 코카콜라 주식을 주당 $50에 총 15주를 추가매수하였습니다.

​이번 매수로 총 코카콜라 보유주식이 200주로 증가하였습니다^^

 

2021년 2월 11일 기준으로 코카콜라 수익률은 3.08%이며 분기기준으로 코카콜라 주식 1주당 $0.41의 배당금이 지급됨으로 분기별로 $82의 배당금 수령이 가능해졌습니다^^​

 

 

지난 1년간의 코카콜라 주가를 보면 언텍트 기업과는 달리 주가가 지지부진한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코카콜라는 컨텍주에 포함이 됨으로 백신이 광범위하게 보급이 되어 집단면역이 이루어져야 풍부한 유동성, 구고조정 등의 효과로 주가가 올라갈 수 있을 것이라 생각 됩니다.

코카콜라 기업 정보 (출처: 애플 주식어플)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0년 삼성전자 실적과 배당금 관련 내용을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아침, 출근하기 전 애플 분기실적 발표 내용을 정리해서 업로드를 하였고

이번에 삼성전자 내용을 다룬 후 테슬라의 분기실적 발표 내용 또한 빠른시간안에 업로드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에니웨이~

2020년 삼성전자 실적발표 내용은 하기 링크로 들어가시면 전체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images.samsung.com/kdp/ir/events/2020_4Q_conference_kor.pdf?_ga=2.268956403.345844312.1611834742-154277544.1611834742

간략하게 요약해서 정리를 하면,

2020년 삼성전자 매출은 전년대비 2.78% 늘어난 236.81조원, 영업이익은 29.62% 늘어난 35.99조원을 기록하였습니다.

수익성 지표 중 하나인 ROE의 경우 10%로 2019년 4Q와 비교해서 2% 늘어났지만 2020년 3Q에 비하면 4% 감소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2020년 삼성전자 손익분석 (출처: 삼성전자 홈페이지,  https://images.samsung.com/kdp/ir/events/2020_4Q_conference_kor.pdf?_ga=2.268956403.345844312.1611834742-154277544.1611834742 )

 

2020년 실적발표와 함께 2021년 사업군별 전망을 발표하였는데요~

전체적으로 원가 경쟁력과 생산확대로 어려운 시기를 극복하려는 느낌을 받았고 잘 사업을 해도 지정학 리스크나 환율에 따른 불확실성이 있는만큼 올해도 만만치 않은 한해가 될 것이라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사업군별 2021년 전망 (반도체(오른쪽), DP(왼쪽))
사업군별 2021년 전망 (IM(오른쪽), CE(왼쪽))

 

마지막으로 많은 분들이 깜짝놀라면서 삼성전자 주주분들이라면 희소식이 있는데요^^

그것은 바로 삼성전자 특별배당인데~

기존 배당금 355원에 1578원의 특별배당이 추가가 되서 총 1933원을 받게 되었습니다^^

또한, 올해부터 향후 3년동안(2023년까지) 정규 배당 규모를 9조 6000억원에서 9조 8000억원으로 확대한다는 발표를 하였는데, 개인적으로 예상했던 것 보다 배당금 인상폭이 크지 않아서 실망을 하였지만...

올해처럼 3년 뒤 잉여 현금흐름의 50% 내에서 잔여 재원이 발생하면 특별배당을 지급한다는 정책을 유지한다고 하였으며, 공격적인 M&A를 통한 주가상승의 요소가 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1년 첫번째 배당금으로 생활비 벌기 프로젝트 상황을 공유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020년 7월 8일에 처음으로 제가 보유하고 있는 종목, 투자 기준, 그리고 다달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기반으로 매달 얼마의 배당금을 받을 수 있는지 알아봤었고 변동사항이 있을때 마다 업로드를 하고 있습니다^^

코로나가 발병하던 시기인 2020년 2월과 3월 그리고 9월, 10월 동안은 미국 대선, 대주주 요건 등의 소식으로 순자산이 감소하였지만 2020년 11월부터 현재까지 자산이 증가하고 있고

국내의 경우 코스피 3000을 돌파하고 삼성전자와 삼성전자우가 불이 붙으면서 이익이 꾸준히 늘어나고 있습니다^^

2014년 1월 ~ 2021년 1월 순자산&수익률

최근 1년기준 순자산, 수익 (출처: 미래에셋대우 어플)

 

2021년 1월 8일 보유 주식 & 배당금

1. 삼성전자 - 800주

2. 삼성전자우 - 30주

3. 애플 - 280주

4. 스타벅스 - 110주

5. 코카콜라 - 185주

6. 구글 - 10주

7. 테슬라 - 100주

12월 월급날 삼성전자우를 신규편입을 하고난 후 꾸준하게 매달 매수를 진행을 하면서

현재까지 투자수익으로 생활비 벌기 프로젝트가 순조롭게 진행시키고 있습니다~^^

연간 배당금, 월 평균 배당금 계산​

 

월간 배당금 history 그래프

현재 포트폴리오로 월 164,461원이 배당소득으로 들어오고 있으며

제가 블로그에 배당금 내역을 기록한지 약 7개월 동안 평균 월간 배당금이 10,000원이 증가하여

배당금 증가 속도는 느리게 느껴지지만 복리효과를 최대한 누리고자 모든 배당금은 주식매수에 재투자하는 중입니다.

개인적으로는 현재 주식시장이 상승장이기 때문에 어느순간부터 높은 이익을 보는 것이 당연하게 생각이 들때가 있는데

모든 자산이 계속 올라갈 수는 없다는 사실을 매일매일 생각하고 이성적으로 판단을 하려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2021년부터는 제 월급의 50%이상을 투자하는 것은 변함이 없으나

모든 돈을 주식으로 매수하기보다는 현금비중을 늘리는 것으로 변수를 대항하려고 합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연휴가 끝나고 2021년 첫번째 월급날이 왔습니다~~

새해 시작을 알리는 첫번째 매수로 어느 종목을 매수할까 고민을 한 끝에 삼성전자우 10주를 매수하였습니다^^

 

 

2021년부터는 현금비중을 늘리기 위해 월급의 50%를 전부 매수를 하지 않고 월급의 50%의 50%정도?만 사용하여 주식을 FLEX하였고 나머지 현금은 CMA계좌에 보관을 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2021년 1월 5일 삼성전자우 종목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

 

최근 삼성전자와 삼성전자우의 주가가 급하게 올라가면서 배당률이 2%가 안되는데, 올해 삼성전자에서 배당금을 올려서 다시 배당률을 2%중반 이상으로 올려줬으면 합니다^^a;;;;

(물론 연말에 소문으로만 무성하던 특별배당도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번 매수로 제가 보유하고 있는 삼성전자우는 총 30주이며, 평균매입가는 68,833원이고 수익률은 8.96%입니다.

물론 투자한 기업의 주가가 올라가면 좋지만...

삼성전자우 주식을 모우는 입장에서는 평균단가를 최대한 낮추기 위해 천천히 올라갔으면? 하는 배부른 생각이 들고

궁극적으로는 매분기에 나오는 배당금의 규모를 늘리는 것이 목표이기 때문에 미국처럼 이익이 발생하면 주주에게 환원을 잘하는 삼성전자가 되었으면 합니다.

(물론 국내 기준으로는 훌륭하지만 매년 이익과 배당금을 올려줘서 복리효과가 최대한 나왔으면 합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0년 투자내역과 결과가 어떻게 됬는지 정리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2020년은 다시 생각해보면 정말 많은 일들이 있었고 코로나 때문에 지옥과 천국을 왔다갔기 때문에 저만의 투자원칙이 없었다면 최악의 상황까지 갈 수도 있었지만...다행히도 운이 좋아서 올 한해는 매우 성공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visiontech.tistory.com/11

 

배당금으로 생활비 벌기 프로젝트~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는 제가 약 4년부터 진행 중인 배당금으로 생활비 벌기 프로젝트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재테크에 관심이 많으신 분들이라면 너무나 잘 아시겠지

visiontech.tistory.com

 

에니웨이~

2020년 제가 어떤 투자를 하였고 결과가 어떻게 되었는지 정리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존 부유 종목 & 추가 투자 종목

2020년 1월1일 기준 제가 부유했던 종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2020년 1월1일 기준 자산

1. 삼성전자: 850주

2. 애플: 35주 (액면분할 후 140주)

3. 알파벳A(구글): 8주

4. 테슬라 30주 (액면분할 후 150주)

 

2020년 1월1일 제 자산의 평가금액은 86,384,814원이였으며, 

2020년 1월1일 대비 2020년 12월 31일 기준 제가 보유했던 종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2020년 12월 31일 기준 자산

 

1. 삼성전자: 850주 -> 800주 <-50주>

2. 삼성전자우: 20주 <+20주>

3. 애플: 280주 <+140주>

4. 알파벳A(구글): 10주 <+2주>

5. 코카콜라: 185주 <+185주>

6. 스타벅스: 110주 <+110주>

7. 테슬라 100주 <-50주>

 

2020년 12월 31일 기준으로 제 자산의 평가금액은 225,303,679원이며

한해동안 국내주식으로 삼성전자를 50주 매도 후 해외주식을 매수하였으며

신규편입으로 삼성전자우 20주를 매수하였습니다.

 

해외주식은 애플, 구글 주식을 추가로 매수하였으며, 신규편입으로 코카콜라, 스타벅스를 매수하였습니다.

테슬라의 경우 코로나 사태 전 주당 약 $900(액면분할 전)당시 원금회수를 목적으로 10주를 매도 후 해외주식 매수에 사용을 하였습니다.

 

이때 제가 테슬라를 매도하지 않았다면 더 큰 수익을 올릴 수 있었으나, 이미 매도당시 원금대비 약 2.5배 상승을 하였던 구간이기도 하였으며 앞일이 어떻게 될지 몰라 원금회수와 신규매수 목적으로 매도를 했습니다.

(이미 원금을 확보하였었기 때문에 일년동안 편안한? 마음으로 테슬라를 지켜볼 수 있었습니다 ^^a;;) 

 

 

2020년 투자 수익률 & 월별 평균 매수 금액

2020년 12월 31일 기준 자산(왼), 2020년 투자 수익률(오)

 

2020년은 정말 운이 좋게도 수익률은 111.23%를 기록하였으며, 원금이 2배 이상 불어났습니다^^

 

결과론적으로는 2020년 동안 무난하게 행복하기만 했을 것 같지만... 

코로나 사태 초기인 2월과 3월에는 제 자산이 저 세상으로 가는 모습을 보면서 버티는 것이 힘들었습니다ㅠㅜ

2020년 2월~2021년1월1일 자산 변동

 

제 투자원칙은 매달 월급의 50% 이상을 월급날 혹은 주간 단위로 꾸준하게 주식을 매수하는 것입니다.

하여, 제 월급이 세후 약 290만원이기 때문에 150만원 이상을 투자하는 것에 집중하였으며

용돈, 보너스 그리고 추가 수입(배당금, 용돈 등)이 있는 경우 전부 주식투자에 사용을 하였습니다. 

 

투자금 입금 내역 (2020년 월별)

 

2020년 1월부터 12월까지 월급의 50%이상과 추가수입 그리고 기타자산에 투자되었던 자산을 처분하고 투자에 총 26,475,000원을 추가투자하였으며 월간 약 220만원어치의 주식을 매수하였습니다^^

 

2021년 투자 계획

2021년에도 전 월급의 50%와 기타 소득들을 투자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계획입니다.

다만, 여태까지 제 포트폴리오에 현금성 자산이 없었기 때문에, 2021년에는 월급의 50% 중 일부를 주식투자에 사용하고 나머지를 현금으로 비축해서 현금비중을 확보를 할 계획입니다.

 

종목의 경우 당연히 시장상황을 살펴서 유동적으로 변경을 하겠지만 적어도 2021년 1분기 동안에 매수를 한다면

국내의 경우 삼성전자우를 매수할 것이며 미국주식의 경우 애플 혹은 코카콜라 주식을 매수를 할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오늘 2020년 마지막 매수로 고민을 한 끝에 삼성전자우 10주를 매수하였습니다^^

 

오늘 오전에 매수를 해놓고 신경을 못 썼는데 대주주 10억 조건에 걸리지 않으려고 매도물량이 많이 나와서인지 반등없이 장이 끝났습니다. 

삼성전자우 (출처: 네이버증권)

 

2020년 12월 28일 기준으로 삼성전자우는 1주당 72,900원이며

배당수익률은 1.94%로 최근 주가 급등으로 인해 배당률이 많이 내려갔습니다.

바라기로는 삼성전자에서 주주를 위해 특별배당을 할 가능성이 크다고 알려져 있는데 이번 특별배당과

주가가 오른만큼 미국의 배당주처럼 꾸준하게 배당금을 올려서 투자수익을 극대화 할 수 있었으면 합니다.

 

아무튼~

 

이번 10주 추가매수로 삼성전자우 주식을 총 20주를 보유하게 되었으며 

수익률은 9.85%이며 매달 월급날에 미국주식을 사지않는 경우 삼성전자우를 집중적으로 매수 할 계획입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