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존슨앤존슨의 PER는 22.39이며 배당률은 2.5%로 은행 적금보다 높은 배당금 수령이 가능합니다^^
작년의 경우 월급과 배당금을 수령하게 되면 특정 주식 매수에 전부 활용을 하였는데
올해의 경우 월급으로는 목표한 기업의 주식을 매수하고 어느정도 현금을 남겨두고
배당금은 배당을 준 기업의 주식을 매수하는데 사용을 하고 부족한 돈은 남겨둔 현금을 활용하여 매수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여 한 기업에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방식에서 제가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의 주식을 골고루 매수하는 방법을 활용하려고 합니다. 또한, 월급과 배당금 말고 예상외 자금이 생기면 성장주, 배당주를 가리지 않고 적절하게 분배해서 매수를 할 게획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2년 3번째 배당금으로 생활비 벌기 프로젝트 상황을 공유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020년 7월 8일에 처음으로 제가 보유하고 있는 종목, 투자 기준, 그리고 다달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기반으로 매달 얼마의 배당금을 받을 수 있는지 알아봤었고 변동사항이 있을때 마다 업로드를 하고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잘 아시듯이, 올해 초 연준에서 테이퍼링, 금리인상, 양적긴축, 세계적으로는 우크라이나 전쟁, 유가 상승 이슈에 따라 시장 변동성이 매우 커진 상황입니다 ㅠㅜ
엎친데 덮친격으로 최근 국내에서는 제가 유일하게 들고 있는 삼성전자에서 GOS와 기술유출 사태가 터지면서 양쪽으로 터지고 있는데요ㅠㅜ
그래도 다행인것은 제 심리적 마지노선인 3억은 어떻게든 사수를 하고 있고, 전 원칙에 따라 좋은 주식을 꾸준하게 사모으는 전략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계획입니다^^
2022년 3월 8일 보유 주식 & 배당금
1. 삼성전자 - 800주
2. 애플 - 310주
3. 스타벅스 - 160주
4. 코카콜라 - 300주
5. 구글 - 10주
6. 테슬라 - 100주
7. 존슨앤존슨 - 60주
2022년 3월에는 존슨&존슨에서 배당금을 받을 예정이며 다음달에는 삼성전자와 코카콜라에서 배당금을 받을 예정입니다~^^
현재 포트볼리오 비중의 큰부분인 테슬라와 구글에서 배당금 지급을 안하고 있기 때문에 전체 배당금 %가 낮지만 전체자산 사이즈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성장주도 포함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2021년부터 배당주 위주의 매수를 진행하여 연간 배당금 수령금액을 약 280만원으로 증가시켰습니다.
작년 하반기부터 배당주를 집중적으로 매수를 하였지만 2022년에는 성장주, 배당주를 따지지 않고 2022년에 안정적으로 이익을 낼 수 있는 기업에 투자해야겠다고 생각을 하여 이번에는 애플과 코카콜라를 분산해서 매수를 진행하였으며, 최근 원달러가 가파르게 증가하여 제 포트폴리오에 달러자산 비중이 더 크기 떄문에 자산가치와 배당금 측면에서는 긍정적인 효과를 누리고 있습니다.
확실히 자산 중 일부는 달러 베이스 자산에 투자가 되어 있으면 햇지효과가 있어서 원화자산만 들고 있는것 보다 안정적인 것 같습니다^^
현재 저는 스타벅스 160주를 보유 중이기 때문에 세금을 제외하고 분기 배당금으로 총 $66.64를 수령했습니다!!
2022년 2월 28일 기준으로 스타벅스 주가는 주당 $92.58이며, 배당금은 2.12%로 배당금이 많은편은 아니지만 매년 배당금을 지속적으로 올려주고 있고. 스타벅스에 투자한지 약 2년이 넘어서 평균 매수가가 낮고 배당금의 인상을 몇번을 경험해서 지금은 시가 배당률보다 높은 %로 배당금을 받고 있습니다^^
올해들어 스타벅스의 주가가 박살?이나면서 심적으로 많이 흔들렸었는데, 그럴때마다 배당금이 입금되는것을 보면서 다시한번 마음을 다잡고 최대한 이성적으로 판단을 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2년 2번째 배당금으로 생활비 벌기 프로젝트 상황을 공유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020년 7월 8일에 처음으로 제가 보유하고 있는 종목, 투자 기준, 그리고 다달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기반으로 매달 얼마의 배당금을 받을 수 있는지 알아봤었고 변동사항이 있을때 마다 업로드를 하고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잘 아시듯이, 올해 초 연준에서 테이퍼링, 금리인상, 양적긴축을 세계적으로는 러시아 분쟁, 유가 상승, 유럽 중앙은행 금리인상 등 이슈에 따라 시장 변동성이 매우 커진 상황입니다 ㅠㅜ
하지만 전 제 원칙에 따라 좋은 주식을 꾸준하게 사모으는 전략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계획입니다^^
2022년 2월 8일 보유 주식 & 배당금
1. 삼성전자 - 800주
2. 애플 - 302주
3. 스타벅스 - 160주
4. 코카콜라 - 280주
5. 구글 - 10주
6. 테슬라 - 100주
7. 존슨앤존슨 - 60주
2022년 2월에는 애플과 스타벅스에서 배당금을 받을 예정이며 다음달에는 존슨&존슨에서 배당금을 받을 예정입니다~^^
현재 포트볼리오 비중의 큰부분인 테슬라와 구글에서 배당금 지급을 안하고 있기 때문에 전체 배당금 %가 낮지만 전체자산 사이즈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성장주도 포함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2021년에는 배당주 위주의 매수를 진행하여 연간 배당금 수령금액을 약 270만원으로 증가시켰습니다.
원래 계획은 꾸준하게 배당주 위주로 매수할 생각이였으나, 최근 여러 이슈들과 2021년 대비 2022년에 다이던스가 나쁜 기업들이 시장에서 냉정한 평가를 받는 것을 봤습니다.
해서, 2022년 초반에는 성장주, 배당주를 따지지 않고 2022년에 안정적으로 이익을 낼 수 있는 기업에 투자해야겠다고 생각을 하였으며, 100% 투자하는 것이 아니라 일단 매달 투자하는 금액의 50%정도를 달러로 보유하여 혹시 모를 폭락시기때 줍줍을 할 예정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2년 1번째 배당금으로 생활비 벌기 프로젝트 상황을 공유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020년 7월 8일에 처음으로 제가 보유하고 있는 종목, 투자 기준, 그리고 다달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기반으로 매달 얼마의 배당금을 받을 수 있는지 알아봤었고 변동사항이 있을때 마다 업로드를 하고 있습니다^^
2020년에 이어 작년 2021년에도 시장평균보다 높은 투자수익을 기록해서 재테크가 순조롭게 진행이 되고 있는데
올해 초에 연준에서 테이퍼링, 금리인상에 이어 양적긴축 가능성이 거론됨에 따라 시장 변동성이 매우 커진 상황입니다 ㅠㅜ
하지만 전 제 원칙에 따라 좋은 주식을 꾸준하게 사모으는 전략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계획입니다^^
2021년 1월 8일 보유 주식 & 배당금
1. 삼성전자 - 800주
2. 애플 - 300주
3. 스타벅스 - 160주
4. 코카콜라 - 275주
5. 구글 - 10주
6. 테슬라 - 100주
7. 존슨앤존슨 - 60주
2022년 1월에는 배당금이 없는 달이여서 허전하지만 다음달에는 애플과 스타벅스에서 배당금을 받을 예정입니다^^
현재 포트볼리오 비중의 큰부분인 테슬라와 구글에서 배당금 지급을 안하고 있기 때문에 전체 배당금 %가 낮지만 전체자산 사이즈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성장주도 포함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당분간은 매도를 하지 않으면서 배당 월급날 배당주 위주로 매수하는 전략으로 움직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