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오늘 새벽 애플이 기습적으로 맥미니와 14/16인치 맥북프로 신제품을 홈페이지 업데이트로 발표하였습니다!

(처음 확인했을때 오프라인/온라인 이벤트가 아니라 홈페이지를 통해 조용히? 업데이트를 진행한 것으로 보아 기존 제품과 큰 차이가 없을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오늘 발표한 2 제품의 출시일은 아직 공개가 되지 않았지만, 가격정보는 나와있음으로 이번에 구매하실 분들은 총알을 준비하고 계시면 될 것 같습니다^^a;;

개인적으로 오늘 발표의 핵심은 M2 Pro와 M2 Max칩인 것 같으며 기존 M2 칩 대비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M2, M2 Pro, M2 Max의 공통점은 같은 2세대 5nm 공정으로 만든 칩인 것이며, 차이점은

M2: 최대 8개 CPU 코어, 최대 10개 GPU 코어, 100GB/s 메모리 Bandwidth

M2 Pro: 최대 12개 CPU 코어, 최대 19개 GPU 코어, 200GB/s 메모리 Bandwidth

M2 Max: 최대 12개 CPU 코어, 최대 38개 GPU 코어, 400GB/s 메모리 Bandwidth

으로 성능은 코어수에 비례할 것으로 보이며 발표가 되지 않은 M2 Ultra가 나온다면 M2 Max의 CPU, GPU, Neural Engine등의 코어수가 2배로 될 것으로 보입니다^^

 

M2, M2 Pro 맥미니

www.apple.com/kr/mac-mini/

 

인텔칩과 M1칩이 탑제되었던 맥미니 제품이 2023년 업데이트를 통해 인텔칩은 단종이 되었고

M2칩과 M2 Pro칩이 탑제된 버전으로 출시가 되었습니다~!

작년에 출시한 M2 맥북에어에 탑제된 M2 뿐만 아니라, 오늘 발표한 M2 Pro도 맥미니에 들어간다는 소식이 매우 반가웠지만 M1 맥미니 대비 가격이 상승한 것은 아쉬운 점이였습니다. (물론 주주로서는 좋습니다)

M2 / M2 Pro 맥미니 (출처:  www.apple.com/kr/mac-mini/ )

 

M2나 M2 Pro가 탑제된 맥미니의 중요한 차이점은 IO포트의 차이로

Thunderbolt4 2개가 탑제된 M2 맥미니에 비해 M2 Pro 맥미니는 Thunderbolt4 포트가 4개가 적용되었습니다

M2(위) vs M2 Pro(아래) 맥미니 IO포트 차이점

 

 

M2 Pro, M2 Max 맥북프로 (14인치, 16인치)

www.apple.com/kr/macbook-pro/

 

애플 실리콘과 새로운 디자인으로 대대적인 업데이트를 했던 M1 Pro, M1 Max 맥북프로의 경우

M2 Pro와 M2 Max칩으로 업데이트가 되어 전작대비 성능향상이 이루어졌습니다~!

외관으로는 전작대비 차이점은 없으며,

M2 시리즈 칩 적용을 제외하고 업데이트가 된 부분은

  1. 와이파이 6E적용
  2. Bluetooth 5.3적용
  3. HDMI 2.1적용
  4. 배터리 시간 향상 (전작대비 +1시간)

으로 메이저 업데이트보다는 마이너 업데이트 느낌이 강한 제품입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visionTECH입니다^^

오래전부터 제가 덕질?을 해보고 싶었던 것이 있었는데~

그것은 바로 제가 가지고 있는 2018 맥북프로 13인치를 해체한 후 발열을 잡기위해 써멀패드를 부착해보는 것이였습니다^^;;;

애플케어플러스도 끝나고~개인적으로 바쁜일도 잠시 없는시기?여서 주말에 써멀패드와 드라이버를 수령한 후 작업을 진행해 보았습니다^^

써멀패드를 어떤것을 사용할지 조사하고 고민한 끝에 쿠팡에서 1.5mm 두께의 써멀패드를 구매했습니다~

실제 써멀패드를 만져본 결과 약간 건조된 찰흙의 느낌이였고 어느정도 조심히 다루지 않아 부서지면 돌이킬 수 없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ㅡㅡ;;;

 
 

아무튼~밑판의 나사 6개를 제거 후 분리한 후 에어건으로 내부푸품에 있는 먼지들을 싸아악~제거를 하고

위쪽에 있는 검은색 히트싱크 위에 써멀패드를 사이즈에 맞게 잘라서 붙였습니다^^

2018 맥북프로 13인치 써멀패드 부착 전 & 후 
 
 

 

써멀패드 부착 전 Cinebench를 돌려본 결과 Multi Core 4375, Single Core 1056을 기록하였는데

써멀패드 부착 후 Cinebench를 돌려본 결과 Multi Core 4427, Single Core 1104을 기록하여 대략 10%정도의 성능 상승을 확인하였습니다~^^

Cinebench 결과 (써멀패드 부착 전 & 후)
 
 

 

이렇게 아름답게 끝이나면 행복할텐데...열화상카메라로 써멀패드 부착전과 후를 촬영한 결과...

써멀패드를 부착했을때 키보드영역의 경우 약 5도가 상승하였고

하판부분 (특히 써멀패드 부착부위)의 온도는 약 16도가 상승한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확실히 써멀패드를 부착한 부위에 열전달이 매~~~우 잘되서 이제 허벅지에 맥북프로를 올려놓고 사용을 하는 것은 포기를 해야할 것 같습니다ㅠㅜ (뭐...맥북에어가 있으니....^^;;;)

맥북프로 온도 측정 (써멀패드 부착 전)
 
 

 

맥북프로 온도 측정 (써멀패드 부착 후)
 
 

 

써멀패드 부착 결과, CPU와 GPU의 열을 하판으로 효과적으로 전달을 하여 전제 성능은 올라갔지만...

그 때문에 노트북의 온도는 상승한 것을 확인하였고, 하판의 온도는 손을 대면 화상을 입을것 같은 느낌을 받을 정도로 뜨거워 진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팬 컨트롤을 하면 발열을 어느정도 잡을 수는 있겠지만...)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 입니다^^

이번 3월 애플 이벤트에 개인적으로 M2칩과 M2칩이 적용된 맥북에어가 출시되기를 바랬지만

애플에서는 M1 Ultra와 M1 Ultra가 적용된 맥 미니 스튜디오를 출시하였습니다 ^^;;;;

비록 이번 이벤트에서는 M2가 공개가 되지 않았지만 가까운 미래에 M2를 비롯해서 M2 Pro, M2 Max, M2 Ultra 가 출시되는 것은 당연한 수순입니다.

따라서, 많은 매체에서 저마다 M2 성능을 예상하고 있고, 그 중 Macworld에서 예상한 내용을 다뤼보도록 하겠습니다.

Apple's M2 chip: Predicting the power gains | Macworld

M2 기본정보와 전제조건

 

M1, M1 Pro, M1 Max, M1 Ultra칩들의 경우 아이폰에 적용된 A14칩을 기반으로 CPU, GPU코어 수를 늘려서 만든 제품입니다.

이에, M2, M2 Pro, M2 Max, M2 Ultra칩들은 아이폰 13시리즈에 적용된 A15칩을 기반으로 CPU, GPU코어수를 늘려서 만들 것이라는 것이 많은 루머의 공통된 전제조건입니다.

M1칩 시리즈 사진

 

M2 CPU의 경우 M1과 같이 고성능 코어 4개, 저전력 코어 4개로 총 8개의 CPU로 구성이 되며

GPU의 경우 8코어에서 10코어로 늘어날 것이라는 루머가 많습니다.

M2가 이와같이 구성이 되고, M1에서 M1 Pro, M1 Max와 같이 CPU, GPU코어가 늘어난다면

M2 Pro와 M2 Max의 CPU는 고성능 코어 8개, 저전력 코어 2개로 구성이 되며

GPU의 경우 M2 Pro는 20개, M2 Max는 40개의 GPU코어를 가질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M2 Ultra의 CPU는 고전력 16개, 저전력 4개 그리고 GPU는 80개 코어가 됩니다)

M1 시리즈 vs M2 시리즈 코어 예상 정보

 

M2 예상 CPU, GPU 성능

 

M1에서 M2시리즈로 넘어감에 따라 성능향상이 이루어질텐데, 이는 A14에서 A15로 넘어가면서 늘어난 성능을 기반으로 예상을 해볼 수 있습니다.

(A15는 아이폰13 시리즈에 탑제가 되었으며 A14는 아이폰 12시리즈에 탑제가 되어서 어느정도 객관적인 계산이 가능한 것으로 보입니다)

Geekbench 5 에 의하면

A15의 Singlecore 성능은 A14에 비해 약 7% 향상이 이루어졌으며

A15의 Multicore 성능은 A14에 비해 약 20% 향상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습니다.

이는 A14대비 A15의 아키텍쳐 향상, 제작방식(nm 공정), Clock speed 등의 요소로 전작대비 성능 향상이 이루어졌습니다.

A14 vs A15 성능 비교 (출처: Macworld,  Apple's M2 chip: Predicting the power gains Macworld )
 

A15의 성능과 M2 시리즈의 코어수를 기반으로 성능을 예상해보면

M2의 Singlecore CPU 점수는 M1과 M1 Max에 비해 엄청난 향상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 같지만

Multicore CPU 점수는 코어수에 따라 성능 향상이 되기 때문에 M2 점수는 M1보다는 높지만 M1 Max에 비해서는 낮은 점수 수준일 것이라 예상이 되며

M2 Max의 Multicore CPU 점수는 M1 Max보다 높을 것으로 보입니다. (당연하다면 당연한 예상성능입니다^^;;)

M1, M1 Max vs M2, M2 Max CPU Singlecore Multicore 점수 (출처: Macworld,  Apple's M2 chip: Predicting the power gains Macworld )
 

GPU 즉 그래픽 성능의 경우 CPU 성능 예측방식과 같이 이루어졌으며

3DMark 성능평가 결과 A14대비 A15의 그래픽 성능은 약 25% 증가한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A15 그래픽 성능결과를 기반으로 M2와 M2 Max의 예상 GPU코어 수를 반영하여 점수를 예측해보면

M2 Max의 그래픽 점수는 26202로 모바일 버전의 GTX 3070성능 수준인 것으로 예상을 하고 있습니다.

 
 

물론 이 수치들은 A15칩의 성능을 기반으로 M2의 CPU, GPU코어 수를 예측해서 계산한 수치로

애플이 CPU, GPU코어 수를 다르게 설계하면 이 예상수치들은 의미가 없으며 단순 코어 수 뿐만 아니라 다른 요소(예: A15가 아닌 다른 아케택처 기반, 공정방법 등)로 달라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처음 M1칩이 공개될 때 처럼 신선한? 충격적인 성능향상이 이루어질 확률은 희박한 것 같으며

아키텍쳐에서의 성능향상보다는 CPU와 GPU코어를 늘리는 방법으로 M2 시리즈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가능성이 클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 입니다^^

포스팅이 너무 늦었지만...^^;;;; 애플에서 3월 9일 새벽3시에 Peek Performance 라는 슬로건으로 이벤트를 연다는 소식을 발표하였습니다~^^

그 동안 루머들을 살펴본 결과, 이번 3월 이벤트에서 크게 3가지 카테고리의 제품이 출시될 것이라 예상이 되고 있으며 그 제품은 아이폰, 아이패드 에어 그리고 맥입니다~

개인적으로 전 M2(M1 후속) 맥북에어 출시를 오매불망 기다리고 있는데...루머상으로는 3월 이벤트에서는 다른 맥 제품이 발표가 될 것이라 거론이 되고 있습니다 ㅠㅜ

아이폰 SE 3

아이폰 SE 3 예상 이미지 (출처: 9to5mac,  https://9to5mac.com/2022/03/02/heres-everything-we-could-see-at-the-apple-event-march-8/ )

 

애플이 3월 이벤트에 발표할 제품 중 유력한 후보인 아이폰 SE 3입니다.

애플 루머에 정통한 Ming-Chi Kuo, Mark Gurman, 9to5mac 등에 따르면 아이폰 SE 3는 아이폰 SE 2 디자인에 5G 기능과 A15 bionic칩이 들어갈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아이폰 SE의 새로운 디자인이 적용되는 시기는 2023년 혹은 2024년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아이패드 에어 5세대

아이패드 에어 5세대 예상 이미지 (출처: 9to5mac,  https://9to5mac.com/2022/03/05/poll-apple-peek-performance-event-iphone-se-ipad-air-imac/ )

 

아이패드 미니 6세대 다음으로 애플이 3월 이벤트에 발표할 것이라 예상되는 아이패드 5세대입니다.

아이패드 5세대에는 A15 bionic, 5G, 쿼드 스피커 혹은 듀얼 스피커, 센터스테이지(전면카메라) 그리고 뒷면에 LED true tone 플레쉬가 추가가 될 것이라 예상을 하고 있습니다.

몇몇 루머상으로는 아이패드 에어에 OLED탑제설이 있긴 하지만 아이패드 4세대처럼 LCD가 탑제될 것이라는 의견이 더 우세한 것 같습니다.

맥: 맥북프로?맥북에어? 27인치 아이맥?맥 미니?

27인치 iMac 예상 디자인 (출처: 9to5mac,  https://9to5mac.com/2022/03/05/poll-apple-peek-performance-event-iphone-se-ipad-air-imac/ )

 

3월 이벤트에 아이폰 SE 3, 아이패드 에어 5세대 출시에 관해서는 상당히 일관된 루머가 있었는데 반해

M2칩이 탑제될 것이라 예상되는 맥 제품은 루머가 많이 엇갈려서 어떤 제품이 발표가 될지 맥 컴퓨터 전라인에 걸쳐서 루머가 돌고 있습니다;;;;;

 

일단 루머에 거론된 제품들을 정리를 해보자면, 첫번째 맥 제품은 아이맥 27인치입니다.

새롭게 출시되는 아이맥 27인치는 새로운 디자인과 더불어 M1 Pro/M1 Max칩이 탑제되며 ProMotion이 들어간 miniLED가 탑제될 것이라 예상을 하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아이맥 24인치와 같은 디지인으로 출시가 되지 않고 루머사진같이 출시가 되길 바라는데...일단 두고봐야 할 것 같습니다^^;;;;)

두번째 맥 제품은 맥북 프로 13인치입니다.

개인적으로 이 루머를 접하고 왜??라는 생각을 지울 수 없는 제품인데...

루머상으로는 새로운 디자인이 적용된 14인치 16인치와 같은 디자인이 아니라 예전부터 사골처럼 우려먹던 13인치 디자인에 M2칩을 탑제한 새로운? 보급형 맥북프로 13인치로 출시한다는 것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이제 맥북 프로 13인치는 단종되고 M2가 탑제된 새로운 디자인의 맥북에어로 대체가 되지 않을까 예상을 하고 있었는데...이 제품이 출시도리 가능성이 최근에 지속적으로 거론되고 있어 가능성이 0%는 아닌 것 같습니다.

세번째 맥 제품은 맥 미니입니다.

루머상으로 새롭게 출시되는 맥 미니는 새로운 디자인, 다양한 색상 옵션과 M2칩이 탑제가 될 것으로 예상을 하고 있으며 "프로"버전의 맥 미니 출시 가능성도 언급이 되고 있습니다.

마지막 맥 제품은 맥북 에어입니다.

제가 개인적으로 기다리고 있는 제품이며, 새로운 맥북 에어는 새로운 디자인, 다양한 색상옵션, M2칩 탑제가 될 것이라 예상을 하고 있습니다.

루머로는 어떤 맥이 발표가 될지 모르겠으나, 제 개인적으로 만약 애플이 3월 이벤트에 M2칩을 발표한다면

맥 미니와 맥북 에어/맥북 프로 13인치가 되지 않을까 예상하고 있습니다.

또한, 개인적으로는 애플이 작년 M1, M1 Pro, M1 Max로 ARM기반 칩으로도 노트북/데스크탑에 적용을 충분히 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한것에 이어 올해 M2칩으로 앞으로 성능을 발전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해야 한다고 생각을 하고 있어서 이번 발표에 애플이 어떤 제품과 가능성을 발표할지 관심있게 볼 예정입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오늘 새벽 애플이 홈팟, 에어팟 3세대, 그리고 맥북프로 (14인치, 16인치)를 발표하였습니다.

여태까지 수많은 루머와 정보로 이 제품들이 출시가 될지 알고는 있었는데...

제가 정말 궁금한 부분은 M1 칩의 후속작으로 많이 언급된 "M1X"의 성능이였습니다.

이름의 경우 많은 매체에서 언급한 M1X가 아니라 M1 Pro와 M1 Max로 2가지 버전으로 출시하였습니다.

M1 Pro, M1 Max 소개 (출처: 애플홈페이지:  https://www.apple.com/kr/macbook-pro-14-and-16/ )

 

M1 Pro와 M1 Max의 아키텍쳐는 작년에 발표한 M1 아키텍쳐 기반이며

CPU 성능향상이 있었지만 그보다 GPU 성능향상이 정말 비약적으로 향상되었습니다;;;;

애플이 발표한 자료를 보면 이게 정말 가능한가?????싶을정도이며

개인적으로는 작년 M1 출시때는 인텔의 빰을 때렸다면

(애플이 발표한 내용이 사실이라면)올해 M1 Pro와 M1 Max 출시는 인텔, 엔비디아, AMD의 빰을 한방에 때린 느낌입니다^^a;;;;;;;

간단하게 M1 Pro와 M1 Max의 차이를 말씀드리자면

결론적으로 "GPU 코어 숫자""최대 매모리"차이 입니다. (동영상 인코딩을 안하면요^^;;;)

M1 Pro, M1 Max 소개 (출처: 애플홈페이지: https://www.apple.com/kr/macbook-pro-14-and-16/)

M1 Pro와 M1 Max의 CPU의 경우 동일한 아키텍쳐를 가지고 있으며

저전력 코어 2개, 고성능 코어 8개 총 10갸의 코어를 가지고 있습니다. 

동일한 전력을 소비한다는 가정하에 성능은 동등하며

타 업체 8코어 노트북 CPU 대비 1.7배의 성능을 보여주며 전력소비량이 70% 적다고 발표하였습니다.

GPU성능의 경우 M1 Pro와 M1 Max의 코어 수가 다르기 때문에 성능또한 다르지만

기본적으로 M1 Max의 GPU코어 수가 많기 때문에 성능은 M1 Pro보다 뛰어납니다.

M1 Pro와 M1 Max의 성능 대 전력 소비량 그래프에 허접?하지만

최대 성능과 최대 전력 보시량을 기준으로 선을 그려서 성능과 전력 소비량을 확인해 보았는데요~

M1 Pro의 경우 전력 소비량은 70%정도 적은 것을 확인했으며 (빨간색 선)

같은 전력 대비 성능은 약 2배인 것으로 보입니다 (노란색 선)

M1 Max의 경우 전력 소비량은 50~60%정도 적은 것을 확인했으며 (빨간색 선)

같은 전력 대비 성능은 약 3.5배인 것으로 보입니다 (노란색 선)

 

물론 제가 방금 말씀드린 부분은 애플의 발표자료를 기반으로 대략적으로 예측을 해본것인데~

제품의 실성능은 수 많은 테크 유튜버님들께서 테스트를 하고 결과를 업로드할 것이기 때문에

조금만 기다리면 실성능테스트 결과가 인터넷에 도배가 될 것이라 확신합니다^^;;;;

아무튼 애플 주주로서 이번 발표때 새로운 하드웨어 제품도 보기 좋았지만

애플의 새로운 미래사업 부분 중 하나인 "애플 실리콘"이 타사 대비 발전속도가 매우 빠르다고 느껴저서

총알이 있으면 애플주식을 더 사고 싶은 생각이 많이난 발표회였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오늘 아침에 일어나서 확인을 해보니 애플에서 MacOS 11.2.1업데이트를 유포한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처음에는 언제나 그랬듯이 업데이트에는 보안패치와 최적화인줄 알았는데 이번 업데이트에는 그래픽카드 성능 부분에 개선이 포함이 되어 있었으며 일부 맥북프로의 배터리 충전문제까지 포함이 되어 있었습니다.

macOS 12.2.1 패치 내용 중 (출처: 애플,  https://support.apple.com/ko-kr/HT212163 )

 

저는 2018년 맥북프로 13인치를 사용중이여서 인지를 하지 못했지만, 애플에 따르면 2016년과 2017년도 맥북프로 13인치와 15인치에 충전문제가 있었던 것 같습니다.

하여, 2016년과 2017년도 맥북프로 13인치와 15인치를 사용중이신 분들 중에 충전문제를 겪고 계신분이 있다면 필히 이번 업데이트를 진행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1년 맥북프로 루머를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애플루머에 정통한 밍치궈에 의하면 약 5년 동안 유지되었던 맥북프로 디자인이 아닌, 새로운 디자인이 적용된 맥북프로가 출시될 것이라고 하였습니다.

이번에 공개한 루머의 변경내용은

1. 이번에 새롭게 적용될 디자인은 아이패드 프로와 아이폰 12 시리즈에 적용된 사각형 디자인이 적용

2. 2019년 15인치 맥북프로에서 16인치로 변경이 되었던 것처럼, 맥북프로 13인치도 14인치로 변경

3. 맥북프로 라인에 있던 터치바가 없어짐

4. MagSafe 충전기가 부활

5. USB-C포트 외에 다른 포트가 포함

입니다.

출시시기는 2021년 3분기 정도이며, 새로운 애플 실리콘 (M1X 혹은 M2)이 탑제될 것이라 예상이 되고 있습니다.

2021 맥북프로 예상 디자인 루머 (출처: AppleTrack)
2021 맥북프로 예상 이미지 (출처: ZONEofTECH)

 

2021 맥북프로 예상 이미지 (출처: ZONEofTECH)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저번주 월급날에 코카콜라 주식 10주를 매수하고 나머지 금액으로 삼성전자우와 애플 주식 중 어느 종목을 매수할지 고민을 했었는데...

고민 끝에 애플주식을 매수하기로 결정해서 장 초반에 1주당 $124로 5주를 매수하였습니다^^

 

 

이번 추가매수로 제가 보유하고 있는 애플주식은 총 280주로 되었고

2020년 12월 8일 현재 기준으로 60.52%의 수익을 얻고 있습니다~^^

 

 

현재 애플주가는 주당 $123.75이고 배당률은 0.67%로 배당금이 매우 작아보일 수는 있겠지만 올해 애플주식이 약 2배 상승한 효과로 인해 배당률이 낮아졌습니다. (뷴기기준으로 애플 주식 $0.205의 배당금이 지급됩니다^^)

다른 종목도 마찬가지지만 애플 주식을 계속 꾸준히 매수를 할 계획이며

최근 애플주식을 집중적으로 매수한 이유는 애플 실리콘 때문인데 첫 애플 실리콘이 탑제된 맥 미니, 맥북에어, 맥북 프로 13인치의 후기를 보면 앞으로 기대가 많이 되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 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번달에 발표한 애플 실리콘(M1)이 탑제된 맥북에어/맥북프로/맥미니에서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확인하는 사이트를 말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최근 애플이 발표한 맥북에어/맥북프로/맥미니는 기존 인텔/AMD가 사용하는 X86기반의 CPU가 탑제된 노트북이 아니라 ARM기반의 CPU가 탑제되었기 때문에 기존에 사용하는 소프트웨어가 작동이 안한다는 큰 리스크가 존재하고 있습니다.

물론, 이러한 현상을 완화시키기 위해 애플에서는 대표적으로 Rosetta 2라는 소프트웨어를 통해 기존 X86기반의 소프트웨어를 자연스럽게 애플 실리콘이 탑제된 맥 제품에서 구동을 할 수 있게 했지만, 100% 호환이 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많은 분들이 새로운 맥북에어/맥북프로/맥미니를 구매해야 하는지, 기존에 사용하는 소프트웨어를 그대로 사용이 가능한지 고민을 하고 계시리라 생각됩니다.

이러한 고민이 있으신 분들을 위해 여러 매체/개인이 저마다 테스트한 결과를 공유하고 있으며 밑에 정리를 하였습니다.

(하기 링크들은 유명 애플 관련 보도매체인 9to5mac에서 발표한 내용에 있는 링크입니다)

 

1. M1과 호환되는 게임 리스트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er-NivvuIheDmIKBVRu3S_BzA_lZT5z3Z-CxQZ-uPVs/edit#gid=0

 

개발자이면서 디자이너인 Thomas Schranz가 google doc에 업로드한 엑셀형태의 데이터 베이스입니다.

게임리스트, FPS, 세팅, Rosetta 2 제원여부 등의 정보가 기록되어 있습니다.

 

애플 실리콘과 호환되는 게임 리스트 (출처: 9to5mac,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er-NivvuIheDmIKBVRu3S_BzA_lZT5z3Z-CxQZ-uPVs/edit#gid=0 )

 

 

2. M1과 호환되는 소프트웨어 리스트 

https://isapplesiliconready.com

 

Is Apple Silicon ready ?

Ultimate guide for macOS apps that are Apple silicon (M1) ready.

isapplesiliconready.com

 

9to5mac에서 보도한 내용에 있는 정보이며 게임 이외에 음악, 동영상편집, 개발, 사진편집 등의 카티고리 별로 소프트웨어 리스트와 지원여부를 확인 할 수 있는 사이트입니다.

 

애플 실리콘과 호환되는 소프트웨어 리스트 (출처: isapplesiliconready.com,  https://isapplesiliconready.com )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애플 실리콘 M1이 탑제된 맥북에어/맥북프로/맥미니가 소비자에게 배송이 되면서 밝혀지는 M1칩의 구체적인 성능에 대해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애플이 M1성능을 소개할 때 정확하게 비교대상이 무엇인지, 그래프에서 x,y축이 어떻게 되는지 등을 밝히지 않은 상태에서 성능차이를 언급했었습니다.

그래서 정확한 CPU, GPU 성능이 어떤지, 기존 인텔/AMD 기반의 X86 소프트웨어를 Rosetta 2로 구동을 하면 성능이 어떻게 되는지 저마다 생각과 예상을 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던 와중 드디어 M1이 탑제된 맥 컴퓨터를 받은 사람들이 테스트한 결과를 온라인에 공유를 하기 시작했고 

현재까지 결과들을 보면 제 예상보다 상당히 희망적인 느낌을 받았습니다.

일단 CPU성능을 보면 Rosetta 2 환경이 아닌 상태에서 맥북에어/맥북프로/맥미니의 성능은 2020년에 출시한 27인치 아이맥에 탑제된 10세대 i9보다 뛰어난 성능을 지닌 것으로 나왔으며

심지어 맥북에어와 Rosetta 2로 구동하였을때도 2020년 27인치 아이맥보다 성능이 좋은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이번 테스트 결과로 유출해보면 Rosetta 2는 인텔기반 소프트웨어를 ARM기반에 돌릴 수 있게 해주는 일종의 translate 기능으로 성능손해는 약 20% 정도지만, 워낙 M1성능이 뛰어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기존에 출시된 맥과 비교하여 뛰어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M1 CPU 밴치마크 성능 (출처: MacRumor)

 

M1 GPU의 경우 “내장그래픽”임에도 불구하고 데스크탑에 탑제되는 GeForce GTX 1050Ti와 radeon RX 560와 비교해서 더 뛰어난 성능을 가진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몇몇 분들은 비교 대상인 GTX 1050Ti/RX560이 오래된 그래픽 카드이기 때문이지 않나 생각하실 수도 있지만 

GTX 1050Ti/RX560는 그래픽카드 자체의 소비전력이 약 75W이지만

이번에 M1이 탑제되고 별도의 쿨링팬이 없는 맥북에어의 전체 소비전력이 30W 정도임을 감안하면 확실히 뛰어난 성능인 것은 확실한 것 같습니다.

M1 GPU 성능 (출처: 9to5mac,  https://9to5mac.com/2020/11/16/apples-m1-chip-outperforms-geforce-gtx-1050-ti-in-graphics-benchmark/ )

 

앞으로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많은 테스트 결과가 공유가 되면서 더욱더 구체적으로 M1이 탑제된 맥 컴퓨터들의 성능과 소프트웨어 호환을 알 수 있겠으며 개인적으로 맥 OS에 윈도우10을 구동하는 Parallels 지원여부와 성능결과가 어떻게 될지 지켜보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