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visionTECH입니다^^

오늘 퇴근 후 삼성전자에서 받은 배당금으로 코카콜라 주식을 주당 $65에 4주를 매수하였습니다^^

2022년 4월 18일 기준으로 코카콜라 수익률은 25.62%이고

코카콜라 주식 1주당 $0.44의 배당금이 지급됨으로 분기별로 $135.96 (세전 기준) 의 배당금 수령이 가능해졌습니다^^

현재 코카콜라 PER이 27.81이고 2.71% 배당금을 받을 수 있으면서 기술주와 성장주보다 변동성이 높은 현재시장에서 리스크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포트폴리오 균형을 맞추기에 안성맞춤인 종목 중 하나로 생각이 됩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오늘 2022년 첫번째로 삼성전자에서 지급한 배당금을 수령했습니다~^^

현재 저는 삼성전자 800주를 보유 중이여서 세전 기준으로 288,880원이 입금되었습니다^^

삼성전자가 7만원에 상당기간 횡보하다가 6만원대로 내려가서 많은 분들이 힘들어 하실 것으로 예상이 되는데요...(저도 마찬가지입니다ㅠㅠ)

개인적으로 액면분할 후에 1넌넘게 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한 경험과 폭팔적인 상승장을 경험해봐서인지

투자한 기업이 꾸준히 이익을 내고 전망이 좋으면 보유 혹은 비중을 늘려나가는 전략이 좋은 것 같습니다.

전 지금 미국주식, 특히 배당주 위주로 매수를 집중하고 있어서 삼성전자를 매수한지 상당히 오래되었는데, 여건이 된다면 삼성전자는 더 매수를 할 예정입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visionTECH입니다^^

조금 늦었?지만 애플에서 6월 WWDC(세계개발자회의)를 6월 6일부터 10일까지 개최한다는 공식발표를 하였습니다.

아시는분들은 잘 아시겠지만, 이번 WWDC는 하드웨어보다는 소프트웨어를 중점적으로 다루는 행사로

2022년에는 iOS 16, iPadOS 16, watchOS 9, macOS 13, tvOS 16 등이 발표될 예정입니다^^

개인적으로 작년 WWDC발표 때 맥과 아이패드가 연동되는 Universal Control 기능을 가장 많이 기대를 하였고, 예상보다 애플에서 많이 늦어지긴 했으나 실제로 이 기능을 써보니 정말 편리하고 애플이 구축해 놓은 생태계에 더욱더 빠져나오기 힘들겠다는 생각을 하였습니다^^;;;

개인적으로 아이폰은 크게 바라는 것은 없지만 제가 사용하고 있는 기기 기준으로 애플에게 바라는 소프트웨어 개선 부분은

1. 아이패드

- 외부모니터 지원 강화 (지금은 그냥 미러링 수준ㅠㅜ)

- iPadOS 홈스크린 아이콘 배치 자유 (한 화면에 어플 더 넣기)

- 파일어플 기능 강화 (맥 파인더 수준이면 참 좋을...ㅠ)

2. 맥

- Rosetta 2 기능 업그레이드 (잘 돌아가긴 하지만 완벽하지는 않습니다ㅠㅜ)

- X86기반 게임이 macOS에 잘 적용되도록 low level 소프트웨어 개방 혹은 변경 (CrossOver같은 어플이 잘 돌아가도록....)

3. 애플워치

- 다중 기기 인식 (핸드폰 2개)

 

정도가 있습니다만...애플이 이번 소프트웨어 발표 때 어느정도 반영이 될지는 지켜봐야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2년 4번째 배당금으로 생활비 벌기 프로젝트 상황을 공유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020년 7월 8일에 처음으로 제가 보유하고 있는 종목, 투자 기준, 그리고 다달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기반으로 매달 얼마의 배당금을 받을 수 있는지 알아봤었고 변동사항이 있을때 마다 업로드를 하고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잘 아시듯이, 올해 초 연준에서 테이퍼링, 금리인상, 양적긴축, 세계적으로는 우크라이나 전쟁, 유가 상승 이슈에 따라 시장 변동성이 매우 커진 상황이지만 3월에 제가 가지고 있는 주식들이 반등에 성공해서 손해의 대부분을 복구하였지만...

4월부터 연준의 금리인상폭과 양적긴축 이슈가 터지면서 다시 불안한 상황입니다ㅠ

2022년 4월 7일 보유 주식 & 배당금

1. 삼성전자 - 800주

2. 애플 - 325주

3. 스타벅스 - 160주

4. 코카콜라 - 305주

5. 구글 - 10주

6. 테슬라 - 100주

7. 존슨앤존슨 - 66주

2022년 4월에는 이미 코카콜라에서 배당금을 받았으며 삼성전자 배당금을 받을 예정입니다~^^

다음달에는 애플 스타벅스 삼성전자에서 배당금 수령 예정인데 생각만 해도 너무나 행복합니다ㅎㅎㅎㅎ

현재 포트볼리오 비중의 큰부분인 테슬라와 구글에서​ 배당금 지급을 안하고 있기 때문에 전체 배당금 %가 낮지만 전체자산 사이즈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성장주도 포함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2021년부터 배당주 위주의 매수를 진행하여 연간 배당금 수령금액을 약 290만원으로 증가시켰습니다.

작년 하반기부터 배당주를 집중적으로 매수를 하였지만 2022년에는 성장주, 배당주를 따지지 않고 2022년에 안정적으로 이익을 낼 수 있는 기업에 투자해야겠다고 생각을 하여 이번에는 애플 매수를 진행하였으며, 배당금을 받은 코카콜라의 주식에 재투자를 하였고 남은 잉여자금으로는 존슨&존슨을 매수하였습니다.

최근 원달러가 떨어지긴하였지만 1200원 위에 있고, 제 포트폴리오에 달러자산 비중이 더 크기 떄문에 자산가치와 배당금 측면에서는 긍정적인 효과를 누리고 있습니다.

확실히 자산 중 일부는 달러 베이스 자산에 투자가 되어 있으면 햇지효과가 있어서 원화자산만 들고 있는것 보다 안정적인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2022년이 시작한지 어제 같은데 어느덧 4월 월급날이 왔습니다ㅠㅜ

이번달에는 애플, 코카콜라 그리고 존슨&존슨을 미국장 시작전에 매수를 하였습니다~

(애플: 주당 $178 5주, 코카콜라: 주당 $62.5 5주, 존슨&존슨: 주당 $176 1주)

2022년 4월 5일 기준으로

애플 수익률은 103.82%, 코카콜라 수익률은 21.14%, 존슨&존슨 수익률은 9.77%(리벨런싱 이후 기준)이며

분기기준으로 세전 기준으로 분기 배당금 수령은 애플 $71.5, 코카콜라 $134.2, 존슨&존슨 $69.96이 가능해졌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2022년 4월 4일 점심식사 후에 업무를 보고있던 중 제가 보유 중인 종목 중 하나인 코카콜라에서 배당금을 수령하였습니다^^

현재 저는 코카콜라 300주를 보유 중이여서 세금을 제외하고 $112.21를 받았습니다~!

(달달합니다^^)

2022년 4월 4일 기준으로 코카콜라 주가는 $62.87이고,

제 수익률은 22.39%이며 배당률은 2.8%로 은행이자보다 훨씬 짭짤?하며

성장주가 좋지않은 2022년동안 주가가 크게 오르지 않더라도 꾸준히 주가가 올라간 기업입니다.

즉, 코카콜라는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만들 수 있는 좋은 기업 중 하나로 생각이 되어 여력이 된다면 비중을 계속 늘려나갈 계획이며 이번에 받은 배당금을 전부 코카콜라로 재투자할 생각입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4월 3일 새벽에 테슬라에서 2022년 1분기 전기차 생산량/판매량을 발표하였습니다^^

2022년 1분기 테슬라 전기차 생산량/판매량 (출처: Tesla 홈페이지, https://ir.tesla.com/press-release/tesla-vehicle-production-deliveries-and-date-financial-results-webcast-first-quarter )

 

2022년 1분기 테슬라 전기차 생산량은 Model S/X 14,218대, Model 3/Y는 291,189대

총 생산량은 305,407대이며

판매량은 Model S/X 14,724대, Model 3/Y는 295,324대

총 판매량은 310,048대로 저번 분기대비 성장을 하였고 역대 최대 분기 판매량을 기록하였습니다​

개인적으로 미국 텍사스 공장, 유럽 베들린 공장에서 생산/판매가 된다는 가정하에 2022년 테슬라 전기차 생산/판매량을 120만대는 되야 현 주가를 유지할 수 있을것이라 생각했는데

2022년 1분기 실적이 유지 혹은 늘어난다면 120만대의 생산/판매량은 무난할 것으로 보입니다.

(물론 최근 상하이 기가팩토리 셧다운, 반도체 공급이슈, 물가상승, 등 여러 요인으로 인해 변수가 많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오늘도 일어나서 습관적으로 애플기기 업데이트를 확인하던 도중 아이폰, 아이패드 그리고 애플워치에 새로운 업데이트가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아이폰은 iOS15.4.1, 아이패드는 iPadOS15.4.1 버전으로 업데이트 크기는 313.5MB (아이폰13프로 기준), 235.3GB(아이패드 프로 1세대 11인치 기준) 이며 애플워치 WatchOS 8.5.1는 약100MB(애플워치 4세대 기준)입니다.

기기마다 용량은 달라질 수 있으며 이번 업데이트는 마이너? 업데이트기 때문에 용량이 작지만 배터리 소모 문제 수정이 있으니 꼭 업데이트를 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iOS 15.4.1 업데이트 내용

https://support.apple.com/ko-kr/HT212788

iOS 15.4.1

iOS 15.4로 업데이트한 후에 배터리가 예기치 않게 빨리 소모될 수 있는 문제

텍스트를 탐색하거나 알림을 표시할 때 점자 기기가 응답하지 않을 수 있는 문제

‘Made for iPhone’ 보청기가 일부 타사 앱 내에서 연결이 끊길 수 있는 문제

 

iPadOS 15.4.1 업데이트 내용

https://support.apple.com/ko-kr/HT212789

iPadOS 15.4.1

iPadOS 15.4로 업데이트한 후에 배터리가 예기치 않게 빨리 소모될 수 있는 문제

텍스트를 탐색하거나 알림을 표시할 때 점자 기기가 응답하지 않을 수 있는 문제

‘Made for iPad’ 보청기가 일부 타사 앱 내에서 연결이 끊길 수 있는 문제

watchOS 8.5.1 업데이트 내용

https://support.apple.com/ko-kr/HT212790

watchOS 8.5.1

watchOS 8.5.1 업데이트는 Apple Watch 관련 보안 업데이트 및 오류 수정을 포함합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오늘 퇴근하고 집에 오면서 미국주식 시세를 확인하고 있었는데...

5시에 마이너스였던 테슬라의 주가가 5%정도 상승한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베들린 기가팩토리 오픈은 이미 나온 이슈이기 때문에 다른 이유가 있을 것이라 생각해서 뉴스를 찾아본 결과

테슬라가 2022년 연례회의에서 주주들에서 주식분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총 발행주식 수를 늘리는 안건을 투표로 신청을 하겠다는 내용이 발표되었습니다.

이번 발표는 테슬라가 주식분할을 하겠다는 것이 아니라, 주식분할을 할 수 있도록 총 주식수의 한도를 늘리겠다는 것으로 아직 확정된 소식은 아닙니다.

확정된 소식은 아니지만, 주식분할의 가능성이 제기된 만큼 기대감으로 미국장 시작전에 주가가 반영을 하고 있는 것 같으며, 일론 머스크가 정말 끈임없이 주주와 사람들에게 기대감을 심어주고 있다는 느낌을 강하게 받았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 입니다^^

이번 3월 애플 이벤트에 개인적으로 M2칩과 M2칩이 적용된 맥북에어가 출시되기를 바랬지만

애플에서는 M1 Ultra와 M1 Ultra가 적용된 맥 미니 스튜디오를 출시하였습니다 ^^;;;;

비록 이번 이벤트에서는 M2가 공개가 되지 않았지만 가까운 미래에 M2를 비롯해서 M2 Pro, M2 Max, M2 Ultra 가 출시되는 것은 당연한 수순입니다.

따라서, 많은 매체에서 저마다 M2 성능을 예상하고 있고, 그 중 Macworld에서 예상한 내용을 다뤼보도록 하겠습니다.

Apple's M2 chip: Predicting the power gains | Macworld

M2 기본정보와 전제조건

 

M1, M1 Pro, M1 Max, M1 Ultra칩들의 경우 아이폰에 적용된 A14칩을 기반으로 CPU, GPU코어 수를 늘려서 만든 제품입니다.

이에, M2, M2 Pro, M2 Max, M2 Ultra칩들은 아이폰 13시리즈에 적용된 A15칩을 기반으로 CPU, GPU코어수를 늘려서 만들 것이라는 것이 많은 루머의 공통된 전제조건입니다.

M1칩 시리즈 사진

 

M2 CPU의 경우 M1과 같이 고성능 코어 4개, 저전력 코어 4개로 총 8개의 CPU로 구성이 되며

GPU의 경우 8코어에서 10코어로 늘어날 것이라는 루머가 많습니다.

M2가 이와같이 구성이 되고, M1에서 M1 Pro, M1 Max와 같이 CPU, GPU코어가 늘어난다면

M2 Pro와 M2 Max의 CPU는 고성능 코어 8개, 저전력 코어 2개로 구성이 되며

GPU의 경우 M2 Pro는 20개, M2 Max는 40개의 GPU코어를 가질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M2 Ultra의 CPU는 고전력 16개, 저전력 4개 그리고 GPU는 80개 코어가 됩니다)

M1 시리즈 vs M2 시리즈 코어 예상 정보

 

M2 예상 CPU, GPU 성능

 

M1에서 M2시리즈로 넘어감에 따라 성능향상이 이루어질텐데, 이는 A14에서 A15로 넘어가면서 늘어난 성능을 기반으로 예상을 해볼 수 있습니다.

(A15는 아이폰13 시리즈에 탑제가 되었으며 A14는 아이폰 12시리즈에 탑제가 되어서 어느정도 객관적인 계산이 가능한 것으로 보입니다)

Geekbench 5 에 의하면

A15의 Singlecore 성능은 A14에 비해 약 7% 향상이 이루어졌으며

A15의 Multicore 성능은 A14에 비해 약 20% 향상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습니다.

이는 A14대비 A15의 아키텍쳐 향상, 제작방식(nm 공정), Clock speed 등의 요소로 전작대비 성능 향상이 이루어졌습니다.

A14 vs A15 성능 비교 (출처: Macworld,  Apple's M2 chip: Predicting the power gains Macworld )
 

A15의 성능과 M2 시리즈의 코어수를 기반으로 성능을 예상해보면

M2의 Singlecore CPU 점수는 M1과 M1 Max에 비해 엄청난 향상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 같지만

Multicore CPU 점수는 코어수에 따라 성능 향상이 되기 때문에 M2 점수는 M1보다는 높지만 M1 Max에 비해서는 낮은 점수 수준일 것이라 예상이 되며

M2 Max의 Multicore CPU 점수는 M1 Max보다 높을 것으로 보입니다. (당연하다면 당연한 예상성능입니다^^;;)

M1, M1 Max vs M2, M2 Max CPU Singlecore Multicore 점수 (출처: Macworld,  Apple's M2 chip: Predicting the power gains Macworld )
 

GPU 즉 그래픽 성능의 경우 CPU 성능 예측방식과 같이 이루어졌으며

3DMark 성능평가 결과 A14대비 A15의 그래픽 성능은 약 25% 증가한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A15 그래픽 성능결과를 기반으로 M2와 M2 Max의 예상 GPU코어 수를 반영하여 점수를 예측해보면

M2 Max의 그래픽 점수는 26202로 모바일 버전의 GTX 3070성능 수준인 것으로 예상을 하고 있습니다.

 
 

물론 이 수치들은 A15칩의 성능을 기반으로 M2의 CPU, GPU코어 수를 예측해서 계산한 수치로

애플이 CPU, GPU코어 수를 다르게 설계하면 이 예상수치들은 의미가 없으며 단순 코어 수 뿐만 아니라 다른 요소(예: A15가 아닌 다른 아케택처 기반, 공정방법 등)로 달라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처음 M1칩이 공개될 때 처럼 신선한? 충격적인 성능향상이 이루어질 확률은 희박한 것 같으며

아키텍쳐에서의 성능향상보다는 CPU와 GPU코어를 늘리는 방법으로 M2 시리즈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가능성이 클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