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저세상 주식으로 유명한 테슬라가 과연 고평가인지, 투자를 해도 괜찮을지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본 주제를 다루기 전에 저는 주식 전문가가 아니며 해당 내용은 제 주관적 의견이 많이 포함이 되어 있음으로 맹목적으로 제 글을 믿고 투자하시면 안되며, 이런 생각을 하고 있는 사람이 있구나 정도로 참고만 하셨으면 합니다.

(제 짧은 소견으로 투자할 때 남의 말을 듣고 투자하기 보다는 참고를 하되 면밀하게 공부를 해서 최종적으로 본인의 기준을 세워서 투자하는 것이 좋은 것 같습니다)

일단 개인적인 생각으로 주식투자를 하시는 분들이라면 알고 계실 PER, ROE, PBR, 시가총액 같은 기준으로 놓고 본다면 100% 고평가인 것은 맞는 것 같습니다.

 

시가총액


현재 테슬라의 시가총액은 2020년 8원 17일 기준으로 약 321조원으로 자동차 기업 중에서는 1등이며, 우리나라 1등기업인 삼성전자의 시가총액이 346조원인 것을 감안하면 거의 비슷한 평가를 시장에서 받고 있습니다. 

자동차 기업 시가총액 순위 (출처: 미스터 캡,  http://www.mrktcap.com/car.html )

 

 

PER(P/E) (Price Earning Ratio)


PER는 Price Earning Ratio의 약자로 주가수익비율을 뜻하며 현재 시가총액을 주당순이익을 나눈 수치입니다.

시가총액이 낮거나 기업 순이익이 늘어나면 저절로 PER숫자가 적어지게 됨으로 PER가 낮으면 저평가, 높으면 고평가로 분류를 많이 하며, 단순히 숫자만 가지고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지수 혹은 동일업종 PER과 상대 비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동차 기업 중 1등의 시가총액을 자랑하는 테슬라의 멀티플 즉 PER(P/E)의 경우 무려 854로 정말 꿈과 희망을 적극적으로 번영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참고로 미국 우량기업 500개를 모은 지수인 S&P500의 평균 PER(P/E)는 13~15이며, 테슬라가 속해 있는 나스닥의 평균 PER(P/E)는 약 23, 같은 자동차 기업 시가총액 2위인 도요타의 PER(P/E)는 8.21인 것을 감안하면 정말 고평가중에서도 고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테슬라 기업정보 (출처: 애플 주식 어플)
도요타 기업정보 (출처: 애플 주식 어플)

 

 

ROE (Return on Equity)


ROE는 Return on Equity의 약자로 자기자본이익률을 뜻합니다.

자기자본에 비해 몇%의 이익을 내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간단하게 10억원의 자본으로 사업을 해서 1억의 이익을 발생하였다면 ROE는 10%가 됩니다.

즉, PER과는 달리 ROE는 높으면 높을수록 기업이 이익을 많이 내는 것으로 당연히 높은 ROE를 가지고 있는 기업은 돈을 잘번다는 뜻입니다.

2020년 2분기 기준으로 테슬라 ROE는 4.28%이지만 이전까지 꾸준히 ROE가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을 보면 이제 막 흑자가 났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테슬라 ROE 히스토리 (출처: MicroTrends,  https://www.macrotrends.net/stocks/charts/TSLA/tesla/roe )

 

반면, 자동차 기업 시가총액 2위인 도요타의 경우 꾸준하게 10%정도의 ROE를 유지해온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물론 최근 코로나 사태로 2020년 2분기의 ROE는 7.41%를 기록하였습니다)

도요타 ROE 히스토리 (출처: MicroTrends,  https://www.macrotrends.net/stocks/charts/TM/toyota/roe )

 

단순히 도요타와 비교해도 테슬라는 역사적?으로 안정적인 ROE를 아직까지 시장에 증명을 하지 못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최근 흑자로 돌아섰지만 ROE 4.28%로 높은 ROE가 아직 아닌 것을 알 수 있습니다.

 

PBR (Price Book Value Ratio)


 

PBR은 Price Book Value Ratio의 약자로 주가순자산을 뜻합니다.

현재 주가를 주당 순자산을 나눈 수치로 순자산에 비해 주가가 몇배로 거래가 되는지를 알 수 있는 수치로 PBR이 1이면 회사를 정리하였을때 현재 거래되고 있는 가격이 나온다는 뜻입니다.

즉, PBR이 1을 넘어가면 회사의 순자산에 비해 가격이 비싸게 거래가 되고 있다는 뜻이며 1 이하면 순자산에 비해 낮은 가격으로 거래가 되고 있다는 뜻입니다.

당연히 시가총액이 커질수록 PBR이 높아짐으로 PBR이 높으면 고평가, 낮으면 저평가로 판단을 할 수 있습니다.

현재 테슬라의 PBR은 31.2로 도요타의 PBR 1에 비해 수치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테슬라, 도요타 PBR (출처: 아이투자,  http://us.itooza.com/stocks/summary/TSLA ,  http://us.itooza.com/stocks/summary/TM )

 

 

테슬라는 고평가인가? 왜 이렇게 가격이 높을까?


 

테슬라 1년 주가 (출처: 애플 주식 어플)

 

테슬라가 타 자동차 기업처럼 단순히 자동차 제조기업이라면 현재 주가는 버블이며 말도 안되는 가치로 거래가 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글을 보고 계시는 분들이라면 당연히 테슬라가 자동차 제조회사 뿐만 아니라 자율주행, 로보택시(공유택시), 스페이스X의 Starlink Project, 미국 텍사스에 건설되고 있는 테라팩토리, 배터리 사업(100만 마일 베터리) 등의 가치와 기대가 반영이 된 주가인 것을 알고 계실겁니다.

한마디로, 현재 주가 상승을 이끈 이슈들이 어느정도 현실로 만들어 지지 않는다면 주가폭락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는 것입니다.

여기까지는 많은 분들이 예상을 하고 생각을 하시고 계실 것이라 생각이 되는데요...

그럼 최악의 상황?을 가정해서 테슬라가 진행하고 있는 사업 중 현실 가능성이 높은 부분과 전기 자동차 생산업체로만 평가를 받으면서 현재 주가를 유지하려면 어떻게 되야 할까요???

 

 

테슬라가 현재 주가를 유지하려면 어느정도 Performance를 보여야 할까???


 

다시 한번 말씀드리지만...저는 주식 전문가가 아니며 이건 순전히 저의 개인적인 의견임을 감안하고 봐주셨으면 합니다. 

(당연히 제가 틀린 부분이 있을 수 있으며, 예상을 단순화 하기 위해 테슬라가 진행하고 있는 다른 분야의 사업(베터리, Powertrain, Energy 등)을 제외하였으니 부족한 부분을 댓글로 알려주시면 공부하고 변영하도록 하겠습니다^^a;;;;;)

제 생각으로 테슬라가 현재까지 보여준 영역에서 사업화 가능성이 높은 혹은 하고 있는 분야는 

1. 전기차 생산/판매

2. (보조)자율주행 N.O.A

3. 스페이스X Starlink Project

으로 중국의 기가팩토리 이후 미국 텍사스에 테라팩토리 건설, 유럽의 베들린 기가팩토리 등 전기 자동차 생산과 판매는 하고 있으며 

완벽한 자율주행이 아니지만 지속적인 업데이트로 N.O.A가 발전하고 호평을 받고 있으며 

인공위성을 뿌려서 인터넷을 연결하는 스페이스X의 Starlink Project는 현재 배타테스트 진행으로 성공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에니웨이~

앞서 다룬 PER, ROE, PBR로 생각을 해보면 궁극적으로 테슬라의 "순이익"이 늘어야 모든 수치가 정상?으로 돌아옵니다.

PER = 주가 / 순이익 -> 주가는 고정임으로 순이익이 증가해야 PER이 낮아집니다

ROE = (순이익 / 자기자본) X 100 -> 순이익이 증가해야 ROE가 커집니다

PBR = 주가 / 순자산 -> 순자산은 부채를 제외한 나머지, 즉 자본금, 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 등의 합계로 이익을 내야 순자산이 늘어납니다

좀 뜬금없지만...테슬라가 고평가되고 있는 이유 중 하나가 제조기업이 아닌 플랫폼 기업의 가치가 더해졌기 때문에 플랫폼 기업의 대표? 중 하나인 애플정도로 맞춰진다는 가정을 해보면, 애플의 PER은 약 35이기 때문에 현재 테슬라의 PER인 854가 35정도로 내려가기 위해서는 지금보다 순이익을 약 25배 정도로 늘려야 합니다....

단순 무식?하게 계산을 해보면 테슬라가 현재 시가총액을 유지하고 애플의 PER정도로 평가를 받기 위해서는 지금 판매하고 있는 전기 자동차 수를 25배로 늘려야 함으로 이것이 가능한지 현재 테슬라가 생산하고 있는 현황과 계획을 보겠습니다.

테슬라 전기차 생산 현황 (출처: 테슬라 2020년 2분기 실적 리포트,  https://ir.tesla.com/static-files/f41f4254-f1cc-4929-a0b6-6623b00475a6 )

 

2020년 2분기 기준으로 테슬라가 가동하고 있는 공장은 미국의 Fremont와 중국의 상하이에 있으며, 모델 S, X, 3, Y를 대략 70만대를 생산할 수 있음으로 70만대를 25로 곱하면 연간 테슬라는 1750만대를 생산하고 전부 판매를 해야합니다;;;

 

자동차 시가총액 2위인 도요타의 연간 판매량이 약 1000만대인 것을 감안하면...

수요가 받쳐주고 자동차 시장이 전기차 시장으로 넘어간다면 가능은 할 것 같은데...

일단 1750만대를 만들수나 있는지 예상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테슬라가 짓고있는 공장에서 얼마나 많은 자동차를 생산할 수 있는지 자료를 찾지 못해서 2020년 2분기 자료를 바탕으로 대략적으로 예상을 해보면 각 모델당 생산량은 다음과 같습니다.

(각 모델 당 생산량은 제가 확인한 정보를 바탕으로 순전히 예상을 한 것으로 정확하지 않습니다)

 

모델 S/X: 공장 당 연간 90,000대 생산

모델 3: 공장 당 연간 250,000대 생산 (2분기 리포트 끝에 2020년까지 모델3/Y 생산량을 500,000대를 넘을 것이라는 문구가 있어 절반씩 반영했습니다)

모델 Y: 공장 당 연간 250,000대 생산 (2분기 리포트 끝에 2020년까지 모델3/Y 생산량을 500,000대를 넘을 것이라는 문구가 있어 절반씩 반영했습니다)

Cybertruck/ Tesla Semi/ Roadster: 공장 당 연간 45,000대 생산 (각 모델 기준이며 고가 모델인 S와X의 생산량을 2로 나누어서 적용했습니다)

 

제 허접한 예상 생산량을 기준으로 2020년 2분기 테슬라 생산표에 기입을 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Installed Annual Capacity

Current

Status

Fremont

Model S / Model X

90,000

Production

 

Model 3 / Model Y

500,000

Production

Shanghai

Model 3

250,000

Production

 

Model Y

250,000

Construction -> Production

Berlin

Model 3

250,000

In development -> Production

 

Model Y

250,000

Construction -> Production

New US factory

Model Y

250,000

In development -> Production

 

Cybertruck

45,000

In development -> Production

United State

Tesla Semi

45,000

In development -> Production

 

Roadster

45,000

In development -> Production

Total

1,975,000

 

 

정확하진 않지만, 2020년 2분기 자료에 나와있는 모든 테슬라 공장이 완성되고 현재 생산량 정도를 유지하며 생산을 하면 연간 약 200만대 정도로 1750만대를 생산하려면 현재보다 약 8~9배 정도 생산량을 늘려야 합니다.

이 때문인지...테슬라는 기존 베터리 생산량의 약 20배를 생산할 수 있다는 테라팩토리를 건설하겠다고 발표를 하였지만 배터리를 제외하고 어떤 테슬라 차량 모델이 생산이 되는지 파악은 못했지만 배터리와 함께 테슬라 전기차 생산을 같이 병행한다면 생산량 증가에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아무튼~

현재 테슬라의 생산량을 유추해 보았을 때 전기차 생산량을 폭팔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기가팩토리 혹은 테라 팩토리 건설이 필수이며 차량판매로 현재 주가수준을 맞추려면 지금보다 약 25배정도 생산량/판매량을 증가시켜야 합니다.

(물론 테슬라가 자율주행 소프트웨어를 타 회사에 판매를 하거나, 자율주행/로보택시 같은 기술상용화에 성공을 하면 완전 다른 계산을 해야 합니다)

당연히 제가 예상한 수치를 기반으로 계산을 했기 때문에 정확하지 않고, PER/ROE/PBR 수치에 따라 주가가 100% 움직이지 않으며 테슬라가 생산 최적화를 통해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도 있지만...

막연히 전세계 유동성이 증가하고 있고, S&P500 지수에 편입될 가능성, 8월말 액면분할 이슈, 완전 자율주행, 로보택시 등의 요소로 앞으로 잘되겠지?라는 생각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부족하더라도 여러가지 시나리오를 생각하고 계산을 해서 투자를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아 제 의견을 적어보았습니다.

(많은 부분이 미흡하여 부끄럽긴 합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어제 출근하고 한통의 카톡을 받았는데 삼성전자 배당금 통지서에 이어 애플 배당금 입금내역을 받았습니다~^^

 

 

현재 애플 분기 배당금은 1주당 $0.82로 배당률이 약 0.71%입니다~

 

애플 기업 정보 (출처: 애플 주식어플)

 

현재 애플주식을 63주 보유중이지만, 배당락일 후에 3주를 매수했기 때문에 이번분기 배당금은 60주를 기준으로 받았습니다. (60주 X $0.82 = $49.2 (세전 기준))

이번달 삼성전자 배당금이 임급되면 애플주식을 추가 매수하여 다음 분기 배당금을 늘릴 계획입니다^^

삼성전자 배당금의 경우 약 2.4%로 은행 이자보다 수익률이 높은데 반해 애플 배당률은 0.71%여서 배당매력이 떨어진다고 생각을 할 수 있으나 주가가 상승하는 만큼 배당률이 떨어지기 때문에 단순히 배당률 숫자를 보고 투자하기 보다는 주가가 꾸준히 올라가는지, 그리고 기업이 꾸준히 배당금을 늘려주는지 확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삼성전자 800주 배당금 통지서 수령 후기~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오늘도 지친몸을 이끌고 퇴근을 하고 집에 도착하였는데 유편물 수령함에 한줄기의 빛이 비취지는 듯한 모습으로 저를 기다린 편지 한통이 있었으니... 그것은 바로

visiontech.tistory.com

실제로 애플은 꾸준히 배당금을 늘려왔기 때문에 장기투자시 주가상승과 배당금 상승의 이득을 동시에 챙길 수 있습니다~^^

 

애플 주가, 배당금, 배당률 변화 그래프 (출처: Microtrends,  https://www.macrotrends.net/stocks/charts/AAPL/apple/dividend-yield-history )

 

주주로서 애플이 발표한 애플 실리콘이 성공적으로 안착하여 폭팔적인 매출증가로 주가상승과 배당금 상승을 누릴수 있으면 좋겠습니다만...주기적으로 회사상황을 확인하여 꾸준히 성장을 하는지 체크하여 포트폴리오에 반영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오늘도 지친몸을 이끌고 퇴근을 하고 집에 도착하였는데 유편물 수령함에 한줄기의 빛이 비취지는 듯한 모습으로 저를 기다린 편지 한통이 있었으니...

그것은 바로 한국예탁결제원에서 보낸 삼성전자 배당금 통지서 입니다~^^

 

제가 보유하고 있는 미국주식은 거의 IT계열 주식이기 때문에 말 그대로 날라가고 있는데 

삼성전자는 비교적 부진?한 면이 있어서 국내주식을 정리하고 해외주식으로 갈아탈까?란 생각을 하며 고민을 하고 있었는데 배당금 통지서를 받고나니 장기투자 의욕이 다시 살아나는 것 같습니다^^

 

2020년 8월 13일 기준으로 삼성전자 800주를 보유하고 있으며 분기 배당금으로 283,200원을 

2020년 8월 19일에 받게 됩니다~^^

 

저의 경우 의지가 약하기 때문에 단타와 조금 수익이 났을 때 매도의 유혹이 많은데

장기투자를 할 때 연간 배당금이 아닌 분기 배당금을 수령하게 되면 장기투자에 심리적, 경제적으로 확실히 도움이 되는 것 같습니다.

 

이번에 들어온 배당금과 이번달 월급에서 애플 주식을 사고남은 현금을 합쳐서 애플주식을 추가로 매수할 계획이며 이번달에는 애플과 스타벅스 배당금 또한 수령 예정이기 때문에 노동수입 외에 투자수익으로 총 3번을 받게 될 예정입니다~ (배당금을 받는 맛에 회사주식을 모아가는 재미가 쏠쏠합니다^^)

 

제가 배당수익을 재투자하는 이유는 최대한 복리효과를 누리기 위함인데요~ 

어제 제가 포스팅한 글에 단순히 월급의 일정금액을 꾸준히 저축하였을때와 배당금을 같이 재투자 했을때 복리수익 차이가 크기 때문에 시간이 걸려도 최대한 투자수익은 전부 재투자를 할 계획입니다.

 

지금 진행하고 있는 혹은 진행할 재테크로 30억을 언제 모을수 있을까??(feat. 월 500만원을 투자소�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현재 진행하고 있는 재테크를 유지하면 혹은 진행할 재테크 계획으로 언제 30억을 모을 수 있는지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짧은 금융지식과 투자경�

visiontech.tistory.com

 

 

배당금으로 생활비 벌기 프로젝트~(1)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번째로 배당금으로 생활비 벌기 프로젝트 상황을 공유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저번 글에서 제가 보유하고 있는 종목, 투자 기준, 그리고 다달이 현�

visiontech.tistory.com

 

마지막으로 아쉬웠던 소식은 앞으로 삼성전자 배당금 통지서를 우편이 아닌 온라인으로 진행한다는 것인데요..ㅠㅜ

 

 

이미 배당금이 얼마인지는 알고 있지만 나름 배당 통지서를 뜯어서 확인하는 소소한? 기쁨이 있었는데 더 이상 이 기쁨을 누리지 못하게 된다고 생각하니 조금 아쉬운 감정은 어쩔수 없는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현재 진행하고 있는 재테크를 유지하면 혹은 진행할 재테크 계획으로 언제 30억을 모을 수 있는지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짧은 금융지식과 투자경력을 가진 저이지만...막연히 생각하는 것 보다, 한번 진지하게 최종목표 금액을 정하고 현실적으로 계산을 해본 것과 안해본 것은 그 차이가 매우 다르다고 생각을 하고 있기에 실제로 계산을 해보았습니다)

제목을 30억으로 정한 이유는 간단하게 계산해서 최소 배당금으로 월 500만원을 받을 수 있는 최저 금액이라고 생각을 하기 때문입니다.

(계산을 하기 전에 앞서 말씀을 드리자면, 계산을 쉽게 하기 위해서 세금은 계산에 넣지 않고 진행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월 500만원을 받으면 1년에 총 6000만원을 받는 수익 파이프라인을 만들어야 합니다.

현재 우리나라 1등기업 삼성전자 기준으로 배당금이 약 2.4%정도 나오니 좀 더 안전?하게 연 이율 2%를 배당으로 받는다는 가정하에 계산하면 필요한 원금이 30억원이 됩니다. (30억 X 2% = 6000만원)

(물론!!! 종목에 따라 배당금을 더 많이 지급하는 종목도 있고 덜 지급하는 종목도 있어 어떻게 포트폴리오를 조합하냐에 따라 필요한 원금이 달라지지만...우리나라 1등 기업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아 진행했습니다^^;;)

 

삼성전자 종목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 기준일: 2020/8/12)

 

자~그럼 본론으로 들어가서 현재 진행하고 있는 혹은 진행할 재테크로 언제 30억을 모을 수 있는지 계산을 해보도록 할텐데요~

계산하기 전에 몇 가지 가정을 하고 계산을 할 생각이며 그 가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세금 제외 (계산하기 편하기 위해....^^;;;)

2. 일정한 수익률 (장기투자이기 때문에 30억이 모을때까지 수익률을 평균?으로 계산)

3. 매달 일정금액을 전부 투자

4. 일정한 배당금 %

5. 수익률과 배당금은 작년 총 자산에서 계산

 

자 그럼~

전 재테크를 한 5년동안 월급을 받으면 매월 약 150만원 정도 주식투자를 하였고 연 평균 수익률은 약 8% 정도 됩니다. 

(물론 매년 약 8% 수익이 난 것은 아니며 2015년 9월부터 2020년 8월까지 수익률을 5년으로 나눈 수치에서 약 1% 뺐습니다)

 

2015년 9월 부터 2020년 8월까지 이익률 (출처: 미레에셋 증권 어플)

 

이 수치들을 엑셀에 기입해서 계산을 하는데 계산 공식은

첫 1년: 매달 투자액 X 12개월

첫 1년 이 후: 작년 총 자산 + (작년 총 자산 X 년간 수익률) + (올해 매달 투자액 X 12개월)

 

이며 엑셀 계산 결과 매달 150만원씩 연 8% 수익률을 유지하면 30억을 모으는데 필요한 시간은 34~35년입니다.

(막상 계산하니 오래걸리네요.....ㅡㅡa;;;;;;)

 

30억을 모으기 위해 약 35년 동안 매달 150만원 이상 연 수익률 8%를 유지해야 30억을 만들 수 있다는 계산이 나와서 절망을 느낄 수도 있는데요...

 

한 가지 계산에 포함하지 않은 것은 바로 매년 지급되는 배당금입니다!!!

자 과연 배당금을 계산에 포함하면 30억 모으는 시간이 많이 달라질까요??

 

앞서 계산했듯이 배당금을 연 평균 2%를 지급받는 가정으로 30억을 모으기 위해 사용한 공식은

첫 1년: 매달 투자액 X 12개월

첫 1년 이 후: 작년 총 자산 + (작년 총 자산 X 년간 수익률) + (올해 매달 투자액 X 12개월) + (작년 총 자산 X 년간 배당률)

 

이며 엑셀에 계산을 해보면 매달 150만원씩 투자하고, 연 수익률 8%을 유지하며, 배당금 2%를 지급받고 그 금액을 그대로 재투자하면, 30억을 모으는데 필요한 시간은 30년으로 계산이 됩니다.

 

보시는 것과 같이 2%의 적게 보이는 배당금을 재투자하는 것으로 30억을 모으는데 필요한 시간을 5년 앞당길 수 있다는 것은 매우 의미가 있는 결과인 것 같으며 포트폴리오 조정을 통해 배당금 %을 늘리면 이 역시 30억을 모으는데 필요한 시간을 더 앞당길 수 있습니다.

막연히 생각만 해보다가 막상 계산을 해보니 현실적으로 30억을 모으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 절실히 깨닮았는데요...100세 시대이며 동시에 자본주의 시대에 사는만큼 꾸준하게 연수익률을 늘리고 유지하며 최대한 많이 배당금을 받는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을 해야할 것 같습니다

 

마지막으로 많이 부족하지만 제가 계산에 사용한 엑셀파일을  네이버 블로그에 첨부하였으니 (티스토리 파일첨부 방법을 몰라서 네이버 블로그 링크를 첨부합니다, https://blog.naver.com/vision0752/222058885527) 

혹, 한번 계산을 해보고 싶으신 분이 계시면 자유롭게 다운을 받으셔서 진행을 해보면 좋을 것 같으며 만약 제가 계산실수를 한 부분이 있으면 언제든지 알려주시면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혹시 몰라 투자 기간을 50년까지 늘렸으며 초록색 부분을 각자 자신의 상황에 맞게 기입해서 결과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오늘 아침(8월12일)에 자고 일어나서 미국주식 상황을 살펴보다가 테슬라 주식이 장중에는 -3.11% 하락을 하였는데 장이 끝나고 나서 +6.77% 상승한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테슬라 주가 차트 (8월12일 기준, 출처: 애플 주식 어플)

 

장이 끝나고 어떤 이슈가 생겼을거란 생각에 뉴스를 살펴보니 테슬라 CEO 일론 머스크가 8월 31일부터 액면분할을 진행한도고 팔표한 것이 원인이였습니다.

올초에 테슬라 주식이 주당 약 $430에서 2020년 8월 12일 기준으로 약 $1374로 엄청난 상승을 하면서 한달 월급의 50%를 전부 테슬라 주식에 투자하고 싶어도 가격이 높아 접근이 어려웠는데요...ㅠㅜ

이번 액면분할로 가격 저항이 낮아지게 되서 신규 매수량이 늘어나지 않을까 조심히 예상하고 있습니다.

액면분할 방법은 기존 1주를 5주로 나눠서 진행을 하게 되며 액면분할 기준가격이 만약 주당 $1500이고 기존에 1주를 보유하고 계셨다면 액면분할 후 주당 $300로 5주를 소유하게 됩니다.

즉, 전체 보유 총액에는 변화가 없으며 액면분할 비율에 따라 가격이 나누어지고 보유 수량이 늘어나게 되는 것 입니다.

 

액면분할이 반영된 가격으로 거래는 8월31일부터 진행이 되는데...

뭔가 어디서 비슷한 것을 들어본 분이 계신다면 바로 애플의 액면분할 스케줄과 일치하기 때문입니다.

 

왠지 일론 머스크가 대중에게 테슬라는 애플과 동급이다! 라는 느낌을 주기 위해 애플과 같은 스케줄로 액면분할을 진행하는 것 같은데요^^;;;

현재 저는 테슬라 주식 20주를 보유하고 있으니 8월 31일 부터 보유수량이 100주로 늘어날 예정입니다.

(다시 한번 말씀드리지만 총액은 변함이 없습니다)

 

원래 당분간 월급에서 50% 이상을 애플 주식 매수에 사용할 계획이였는데요...

(이유는 전에 제가 올린 글에 설명을 드렸습니다~)

visiontech.tistory.com/24

 

테슬라가 액면분할을 하면서 가격저항선이 낮아진 만큼 다달이 매수하는 종목을 다시 한번 검토를 해서 매수할 계획입니다 ^^a;;;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번째로 배당금으로 생활비 벌기 프로젝트 상황을 공유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저번 글에서 제가 보유하고 있는 종목, 투자 기준, 그리고 다달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기반으로 매달 얼마의 배당금을 받을 수 있는지 알아봤었습니다.

앞으로 한달에 한번씩 제가 보유하고 있는 종목상황과 포트폴리오가 변경이 되었다면 변경한 이유를 다루고 매달 배당금으로 얼마를 받을수 있는지 업데이트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제가 처음으로 2020년 7월 8일에 공유한 보유주식과 매달 배당금으로 얼마를 받을 수 있었는지 간략하게 정리해 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2020년 7월 8일 보유 주식 & 배당금

1. 삼성전자 - 800주

2. 애플 - 57주

3. 스타벅스 - 100주

4. 코카콜라 - 150주

5. 구글 - 10주

6. 테슬라 - 20주

당시 계산해 본 결과 이 포트폴리오를 1년 동안 유지하면 한달에 약 152,712만원 정도의 배당금을 수령할 수 있는 것으로 파악이 되었었습니다.

첫 번째 배당금으로 생활비 벌기 프로젝트 글을 올렸을 당시 코카콜라 주식을 매수해서 모우고 있고

지속적으로 매수를 할 계획이라고 말씀을 드렸는데 계획을 변경해서 애플주식을 매수하고 있습니다.

2020년 8월 8일 보유 주식 & 배당금

 

1. 삼성전자 - 800주

2. 애플 - 63주 (57주 -> 63주, 6주 매수)

3. 스타벅스 - 100주

4. 코카콜라 - 150주

5. 구글 - 10주

6. 테슬라 - 20주

애플 6주 추가매수로 월 배당금이 약 152,712에서 약 154,552원으로 증가하였습니다~^^

배당금 자체를 놓고보면 "앵? 겨우 2천원 정도 밖에 안늘었네???"라고 생각하실 수도 있지만

작년 11월부터 꾸준히 매수한 제 애플 주식의 가치는 2020년 8월 8일 기준으로 53% 상승하였습니다.

제가 코카콜라를 매수하다가 애플로 변경한 이유 중 하나는 "애플 실리콘"입니다.

제 블로그 글을 보신 분들이면 아시겠지만 저는 테크에 관심이 매우 많으며 그 중 특별히 애플과 삼성 회사와 제품에 관심이 많습니다.

실제로 애플과 삼성의 제품, 루머, 기술 등을 찾아보고 공부하고 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애플 실리콘 관련 소식들을 보고 공부를 하고 있는데...

애플 실리콘이 앞으로 애플이 성장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될 것 같으며, 현재 X86기반의 인텔, AMD의 CPU가 컴퓨팅 마켓의 메인이였다면 ARM기반의 애플 실리콘을 시작으로 새로운 시장이 만들어 질 것 같습니다.

물론 제가 틀릴 가능성도 분명히 있으며 3월 팬더믹 사태같은 이슈가 생기면 제 자산에 상당한 타격이 오겠지만 앞으로 지속적으로 시장, 회사 상황을 주시하고 꾸준히 공부하면서 부족한 인사이트를 보완해 나가면서 끈임없이 포트폴리오를 점검해 나갈 계획입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애플의 2분기 실적발표와 액면분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7월에 애플 3주를 추가 매입하여 현재 애플주식 60주를 보유하고 있는 주주로서 2분기 실적발표 결과에 매우 만족하고 있으며 앞으로 애플 실리콘을 기점으로 한번 더 점프를 할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하고 있습니다~^^

(당연히 꾸준히 애플주식을 매수할 계획입니다)

1. 2분기 실적

이번 2분기 실적발표를 한마디로 표현하자면 "2분기 기준 사상최대 실적"입니다~

매출의 경우 2019년 2분기 매출과 비교하여 11% 증가한 596억 9000만달러(약 71조원)을 기록하였으며

주당 순익(EPS)은 시장기대치인 2.04달러를 가볍게?넘은 2.58달러로 증가하였습니다.

2020년 2분기 실적 - 매출, EPS (출처: 애플 2분기 Financial Report,  https://www.apple.com/newsroom/pdfs/FY20-Q3_Consolidated_Financial_Statements.pdf )

팬더믹으로 경제상황이 안좋음에도 불구하고 애플은 놀랍게도 "모든 카테고리"와 "전 지역"에서 전년동기 대비 매출성장을 이뤘습니다 ^^

2020년 2분기 실적 - 지역/제품 매출 (출처: 애플 2분기 Financial Report,  https://www.apple.com/newsroom/pdfs/FY20-Q3_Consolidated_Financial_Statements.pdf )

 

제품 카테고리별 매출 내용을 자세히 살펴보면

아이폰: $25,986 -> $ 26,418 (1.6% 증가)

맥: $5,820 -> $7,079 (21.6% 증가)

아이패드: $5,023 -> $6,582 (31% 증가)

웨어러블, 홈악세서리: $5,525 -> $6,450 (16% 증가)

서비스: $11,455 -> $13,156 (14.8% 증가)

입니다~

현재 스마트폰 시장이 포화상태이고 팬더믹 상황에서 안좋을 것이라 예상했던 아이폰의 매출이 증가한 것도 놀라운데 나머지 제품/서비스 매출이 모조리 2자리 수로 증가했다는 것은 주주로서 매우 보기 좋습니다^^

2. 액면분할

2분기 실적발표와 함께 애플이 액면분할 또한 발표하였는데요~

우리나라 코스피 시가총액보다 큰 애플의 시가총액이 발표 후 하루에 무려 10.47%가 늘어 주당 $425.04가 되었습니다... ㅎㄷㄷ(시총이 이제 거의 2000조원이......)

애플 주가 그래프(2020년 7월 31일) (출처: 애플 Stock 어플)

 

액면분할 방법은 기존 1주를 4주로 늘리며 2020년 8월1일 현재 애플 주가를 기준으로 $425.04를 4로 나누면 주당 $106.26이 됩니다.

저의 경우 현재 60주를 보유하고 있음으로 액면분할 후 240주로 늘어나게 됩니다^^ (당연히 총액에는 변동이 없습니다)

삼성전자 액면분할 이후 2번째로 액면분할을 경험하게 되는데 삼성전자의 경우 액면분할 이후 주가가 좋지 않았는데 애플은 어떻게 움직일지 관심을 가지고 지켜볼 계획입니다.

분할된 주식은 주주에게 8월24일 배포가 되며 액면분할된 주식의 거래는 8월 31일부터 시작이 됩니다^^

현재와 같이 지속적으로 회사가 성장하여 내년 배당금을 더 늘려주기를 기대하며 다음 글에서 뵙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오늘 새벽 미국주식, 더 자세히 말하자면 테슬라를 보유하고 계시는 분들이에게 호재가 발표되었습니다.

그것은~ 2020년 2분기 실적보고서가 나왔는데 2020년 1분기에 이어 흑자를 달성하였다는 것 입니다^^

테슬라의 주주 중 한명으로서 이 소식을 확인하고 아침부터 기분이 매우 좋은데요~

이번 2분기 흑자달성을 어떻게 했고 S&P 500지수 편입이 가능한지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S&P 500지수 편입 조건

당연히 어느 기업이든 S&P500 지수에 편입이 되기 위해서는 필수조건들이 있고 

이 모든 조건을 충족해야 편입이 될 “가능성”이 생기는 겁니다.

(즉 테슬라가 모든 조건을 충족하였다고 해서 “무조건 S&P 500지수에 편입”이 되는 것이 아닙니다)

 

현재 S&P 500에 편입되기 위한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S&P 500 지수 편입 조건 (출처: Investopedia,  https://www.investopedia.com/articles/investing/090414/sp-500-index-you-need-know.asp )

 

S&P 500지수 편입 조건들을 보시면 테슬라의 경우 ”4분기 연속 흑자” 조건을 제외한 나머지는 충족을 한 상태였기 때문에 이번 2020년 2분기에 흑자가 나야 모든 조건 충족이 되는 상황이 였습니다.

테슬라 2분기 보고서 (출처: 테슬라 2분기 보고서,  https://ir.tesla.com/static-files/f41f4254-f1cc-4929-a0b6-6623b00475a6 )

 

테슬라의 4분기 연속 흑자 내역을 보면 (계산하기 쉽게 원달러 환율은 1200원으로 했습니다^^;;)

2019년 3분기 (1.43억달러, 1716억원)

2019년 4분기 (1.05억달러, 1260억원)

2020년 1분기 (0.16달러, 192억원)

2020년 2분기 (1.04억달러, 1248억원)

으로 4분기 연속으로 흑자(순이익)를 달성한 것 뿐만 아니라 2020년 1분기보다 이익이 증가했음을 알 수가 있습니다~^^

(워낙 1분기 성정이 저조해서 증가세가 더 뚜렷합니다)

 

앞서 말씀드렸다시피 S&P 500 지수 조건을 모두 충족했다고 해서 자동으로 편입이 되는 것이 아니라

S&P 다우존스 인더시즈의 지수의원회에서 테슬라를 지수에 편입할 건지를 양적/질적요인 등을 고려해서 결정을 하게 되며 만약 심사에 통과가 된다면 2020년 9월부터 편입이 될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2. 2020년 2분기 실적 내용

테슬라 주주로서 당연히 테슬라가 2분기 흑자를 달성하기를 간절히 원하였지만 코로나 사태로 다른 "자동차" 기업들의 경우 판매량이 전년대비 매우 저조한 상태 였기 때문에 불안하였습니다.

세계 자동차 회사의 2020년 반기 YoY 판매 비교 (출처: 테슬라 2분기 보고서, https://ir.tesla.com/static-files/f41f4254-f1cc-4929-a0b6-6623b00475a6)

 

또한, 캘리포니아 프리몬트 공장이 한달 반정도 폐쇄가 되었었기 때문에 생산량 감소가 발생이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 예상을 하였는데 2분기 보고서에 보면 2020년 1분기와 비교하여 2분기의 생산량이 "20%"감소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테슬라 분기 제품 생산량 (출처: 테슬라 2분기 보고서,  https://ir.tesla.com/static-files/f41f4254-f1cc-4929-a0b6-6623b00475a6 )

2020년 1분기에는 차량을 102,672대 생산을 하였고 88,496대를 판매 하였는데

2020년 2분기에는 차량을 82,272대 생산을 하였고 90,891대를 판매한 것으로 발표하였습니다.

 

생산량보다 판매량이 많다는 것은 그 동안 판매하고 남은 재고물량을 2분기에 소진을 한 것으로 보이며 

앞으로 매출, 이익이 늘어나려면 생산량을 정상으로 올리고 기가/테라 팩토리를 늘리고 자체 생산 최적화를 통해 더욱 생산케파를 늘려야 할 것 같습니다.

테슬라 2분기 보고서,  https://ir.tesla.com/static-files/f41f4254-f1cc-4929-a0b6-6623b00475a6

 

한 가지 흥미로웠던 점은 테슬라의 차량 판매 실적의 경우 2020년 1분기 대비 3% 증가했지만 전년실적 대비 -5%로 감소를 하였다는 것인데요...

 

테슬라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이번 2020년 2분기 수익성의 요인으로 

1. 인건비 조정을 통한 영업비용 감소

2. Regulatory Credit 매출 증가

3. FSD(Full Self Driving) 기능출시와 지연매출 인식

이 있습니다.

테슬라 2분기 수익성 요소 (출처: 테슬라 2분기 보고서,  https://ir.tesla.com/static-files/f41f4254-f1cc-4929-a0b6-6623b00475a6 )

 

본 내용을 접하고 나서 제가 든 생각은 4분기 연속 흑자를 위해 영혼까지 끌어모은듯한? 느낌이 나는데요^^;;;

장기적으로 보았을때 논란이 많은 단차문제를 포함해서 생산체계를 더욱 개선을 하고, 전체적인 생산/판매량 증가와 로보택시/자율주행 등 혁신적인 사업모델을 성공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결론적으로 테슬라는 S&P 500 지수 편입 요건을 다 충족했기 때문에 S&P 다우존스 인더시즈의 지수의원회 분들의 평가가 잘 이루어져 S&P 500지수에 편입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베들린 기가팩토리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 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7월 22일 서울 은행회관에서 발표된 2020년 세법개정안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현재 주식투자를 하고 계신 분들이라면(특히 국내주식) 2023년부터 연 2000만원 이상 금융투자소득을 올릴시 20%의 양도소득세를 부과할 계획임을 알고 계실 것이라 생각됩니다.

2020년 세법개정안 주요내용 (출처: 네이버 뉴스, 연합뉴스)

 

많은 매체에서 양도소득세를 부과하면 국내주식 투자심리가 위축이 되고 해외주식 접근이 쉬워진 현재 많은 투자자들이 국내 대신 해외주식에 투자를 하여 자금이 빠져나갈 것이라는 예측을 하며 우려하였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저도 공감하는 것이...

현재 전 국내주식과 미국주식을 소유하고 있는데 만약 국내주식에 미국주식과 비슷한 양도소득세를 부과하여 투자조건이 비슷해진다면

약 10년 동안 오르지 않아 박스피로 불리는 국내주식시장에 투자하기 보다는

역사적으로 꾸준히 성장하였고 세계적인 기업이 많이 있는 미국주식 비중을 대폭 늘릴 것이기 때문입니다.

물론 미국주식시장이 엄청난 유동성과 연준의 적극적인 개입으로 주가가 상당히 올라가 있어 가격적으로 부담이 되지만...확률적으로 보면 미국시장이 상승할 가능성이 커보이기 떄문입니다.

아무튼!

연 2000만원 이상 금융투자이익에 양도소득세를 매기는 문제가 커지자 문재인 대통령은 "세제개편, 개인 투자자 의욕 꺾는 방식 아니어야" 한다며 입장을 밝히고 상당부분이 변경이 되지 않을 까하는 추측이 많았습니다.

결론적으로 말씀드리자면 금융시장 관련 세법 개정안은

양도소득세의 경우 기존 연 2000만원 이상 이익시 양도소득세가 부과되는 과세 기준구간을 연 5000만원으로 상향조정 하였으며 손실 이월공제기간을 5년으로 정했습니다.

또한, 총 이익이 3억 까지는 20%의 양도소득세가 부과되며, 3억 이상부터는 25%의 양도소득세가 부과됩니다.

국내 상장주식, 공모 주식형 펀드는 모두 합산한 기준으로 5000만원이 기본공제 구간으로 설정이 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2023년에 2000만원 손실이 나고 2024년에 6000만원 이익이 난 경우

2023년의 손해분을 2024년 이익에 빼게되면 총합이 4000만원 이익임으로 5000만원보다 적음으로 세금이 부과되지 않습니다.

만약, 2023년에 2000만원 손실이 나고 2024년에 8000만원 이익이 난 경우

손실된 금액을 이월하여 이익분을 뺀 총합 금액이 6000만원임으로 기본공제 구간인 5000만원을 뺀 1000만원의 20%가 양도소득세가 부과됨으로 총 200만원의 양도소득세가 발생합니다.

개인적으로 기존 양도소득부과 조건보다 완화가 된 것에는 공감하며 이익이 났을 때 세금을 내는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나(아깝긴 하지만요....)

먼저 국내주식시장이 성장하고 발전할 수 있도록 기업과 주주에게 도움이 될 만한 정책이나 불공평한 공매도 정책 수정 등의 노력이 있어야 하지 않나 생각이 듭니다.

그나마 좋은 소식은 증권거래세의 경우 내년 0.02%포인트, 2023년에 0.08%포인트 인하해 최종적으로 0.15%로 조정하는 안을 발표했다는 것인데요...

전 잦은 매매를 하지 않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큰 도움이 되는 부분은 아니지만...

비용이 조금이라도 줄어든 부분은 좋은 소식인 것은 분명한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는 제가 약 4년부터 진행 중인 배당금으로 생활비 벌기 프로젝트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재테크에 관심이 많으신 분들이라면 너무나 잘 아시겠지만~

갈수록 금리가 낮아짐에 따라 은행에 돈을 맡기고 이자를 받아서 돈을 불리거나 먹고 살기에는 너무나 힘듭니다ㅠ

그렇다고 해서 부동산에 투자를 하기에는 목돈이 너무나 많이 필요하고 대출도 잘 나오지 않기 때문에 P2P같은 방법이 아니고서는 힘든것 또한 현실인 것 같습니다.

저는 대학생부터 주식투자를 했는데 단타, 매매, 작전주, 테마주 등 여러 방법을 해보았고 몇 번은 성공을 하였으나 결과적으로는 수업료만 내고 실패를 했습니다.

그러다가~ 건물주가 월세를 받듯이 배당금으로 생활비를 충당할 수 있는 나만의 시스템을 만들어보기로 결심을 하고 현재까지 진행을 하고 있습니다.

 

배당금으로 생활비 벌기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제가 세운 원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가급적 분기배당을 지급하는 기업에 투자

2. 각 분야를 생각했을 때 바로 떠올리는 기업 혹은 내가 잘 아는 우량주 위주 투자 (혹은 1등 기업)

3. 배당컷 없이 꾸준하게 배당금을 늘려온 기업에 투자

4. 투자는 신중하게 하되 한번 시작했으면 팔지 말기 (더 좋은 기업을 찾거나 정말 팔아야만 내가 살 수 있거나 기업이 성장하지 않는 경우 예외)

5. 월급의 50% 이상 꾸준하게 매수하기

6. 내가 모르는 기업에는 투자 금지

7. 배당을 지급하지 않은 성장주 투자 시 내가 잘 아는 기업이면서 꾸준하게 성장하는 기업에 투자

8. 배당금 수령 시 무조건 재투자

이 원칙에 따라 제가 매수한 배당기업과 분기 배당금 정보는 다음과 같으며 1차 목표는 월 50만원씩 나오는 시스템을 만들고 있습니다.

1. 삼성전자 (1주당 354원 - 분기기준, 800주)

2. 애플 (1주당 $0.77 - 분기기준, 57주)

3. 스타벅스 (1주당 $0.41 - 분기기준, 100주)

4. 코카콜라 (1주당 $0.41 - 분기기준, 150주)

5. 구글 (10주)

6. 테슬라 (20주)

포트폴리오를 보시면 배당주삼성전자, 애플, 스타벅스, 코카콜라로 구성을 하였고

배당금을 지급하지 않는 성장주구글과 테슬라가 있습니다. (천슬라 화이팅~)

2020년 7월 현재 제가 가지고 있는 주식 기준으로 "배당금 지급시기"와 "지급 받는 배당금"은 다음과 같습니다 (세전 기준 입니다!)

표를 보시면 1월, 3월, 6월, 9월은 배당금이 지급이 되지 않는 달이고 배당금이 많이 들어오는 달은 5월, 8월, 11월이며

1차 목표가 월 50만원인데 현재 제 포트폴리오는 월 약 15만원(세전)을 받고 있어 1차 목표를 달성하려면 계속 꾸준하게 주식을 사모아야 할 것 같습니다...

물론 이 기업들이 돈을 많이 벌어서 배당금을 늘려주면 많은 도움이 되겠지만 기본적으로 월급에서 꾸준하게 50% 이상 배당기업에 투자를 할 계획이고 현재는 코카콜라를 사모우고 있습니다^^

 

일단 월 50만원의 배당금이 지급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그날까지 힘내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