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식분할은 8월 25일에 적용이 될 예정이고, 저는 현재 테슬라 100주를 보유하고 있음으로 주식분할 후 보유주식수가 300주가 될 예정입니다^^

주식분할을 한다고 시가총액이 늘어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기업의 펀드멘탈 자체는 변하지 않지만,

한주에 100만원에 육박하던 주식이 주식분할 후 약 30만원 정도로 낮아져 더 많은 사람들이 적은 부담으로 주식을 매수할 수가 있어 기존에 매수하고 싶었지만 비싸서 매수를 하지 못한 사람들이 살수가 있어 수급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습니다.

이번 테슬라 주식분할은 제가 2번째로 경험을 하게 되는데, 저번 주식분할처럼 급격한 상승은 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지만, 꾸준하게 기업이 성장을 하면 다시 1주당 $1000 부근으로 올라갈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visionTECH입니다^^

2022년 8월 5일, 월급날이 온 기념으로 코카콜라를 주당 $63.5에 6주를, 그리고 존슨&존슨 주식을 주당 $171.5에 2주를 매수하였습니다^^

2022년 8월 6일 기준으로 코카콜라 수익률은 21.58%이고

코카콜라 주식 1주당 $0.44의 배당금이 지급됨으로 분기별로 $140.8 (세전 기준)의 배당금 수령이 가능해졌으며

존슨&존슨 수익률은 4.83%이고 (리벨런스 기준)

존슨&존슨 주식 1주당 $1.13의 배당금이 지급됨으로 분기별로 $90.4 (세전 기준)의 배당금 수령이 가능해졌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 입니다~^^

조금 늦었지만, 이번주 애플이 발표한 2022년 3분기 실적발표 내용을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2년에 들어 여러가지 글로벌 이슈/변수로 인해 아무리 미래전망이 밝더라도 실적이 받쳐주지 않으면 시장은 냉정하게 하락을 시키지만 실적이 좋으면 상승을 하는 등, 주식시장 안에서 양극화가 심하게 펼쳐지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고PER 주식인 테슬라에 제일많이 신경이 쓰였지만 상당히 좋은 분위기로 넘어가서 안심을 하였고

애플의 경우 제 계좌에도 영향을 많이 미치지만, 애플이 어떻게 되냐에 따라 최소한 단기적으로는 기술주가 어떤 방향으로 갈지 판가름이 갈 것이라 생각했기에 떨리는 마음으로 실적발표 내용을 봤습니다.

일단 간단하게 정리하자면 아이폰과 서비스 부분의 호조세로 사상 최대 3분기 매출을 달성하여,

제가 예상한것 보다 상당히 양호한 실적인 것 같으며, 실적발표 이후 주가가 상승추세를 보이고 있는 것 같습니다~^^

애플 3분기 실적발표 (출처:  https://www.apple.com/kr/newsroom/2022/07/apple-reports-third-quarter-results/ )

 

보도차료에 따르면, 애플 2022년 3분기 매출은 전년동기에 비해 2%가 오른 830억 달러이며 주당순이익(EPS)은 1.2달러를 기록하였습니다. 애플 CFO인 루카 마에스트리는 어려운 경영 여건에도 애플이 효율적으로 사업을 관리할 능력이 있다는 사실을 방증한다라고 언급을 하였고 약 230억 달러의 영업현금 흐름을 창출하면서 약 280억 달러를 주주에게 환원을 하였다고 밝혔습니다.

(미국주식과 한국주식의 큰 차이 중 하나가 바로 "주주환원"이며, 우리나라 회사들도 미국처럼 주주에게 적극적으로 환원정책을 마련했으면 합니다)

또한, 애플 이사회에서는 보통주 1주당 0.23달러의 현금 배당을 실시한다고 하였으며 2022년 8월 8일을 기준으로 등재된 주주에게 2022년 8월 11일에 배당금이 지급이 된다고 하였습니다.

2022년 애플 매출 내역 (출처:  https://www.apple.com/newsroom/2022/07/apple-reports-third-quarter-results/ )

 

애플의 2022년 3분기 매출내용을 살펴보면

아이폰의 매출은 406.6억달러

맥(컴퓨터)의 매출은 73.8억달러

아이패드 매출은 72.24억달러

워어러블, 집 그리고 악세서리의 매출은 80.8억달러

서비스 매출은 196억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애플입장에서 3분기는 비수기에 해당되는 기간이지만 사상최대 분기 실적을 낸 것으로 발표를 하여 주주입장에서 상당히 만족을 하고 있으며 서비스 분야에서 의미있는 성과를 확인하여 성장측면에서 긍정적인 것 같습니다.

다만, 개인적인 생각으로 테슬라와 마찬가지로 생산기지가 대부분 중국에 있는 것이 상당한 리스크로 보이는데

애플이 이 리스크를 잘 관리해서 제품생산과 판매에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을 봐야할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테슬라의 2022년 2분기 실적발표 내용을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출처: https://tesla-cdn.thron.com/static/EIUQEC_2022_Q2_Quarterly_Update_Deck_J8VLIK.pdf?xseo=&response-content-disposition=inline%3Bfilename%3D%22tsla-q2-22-update.pdf%22)

Summary

실적자료 Summary 부분을 보면, 2022년 2분기에 상하이 셧다운을 포함해서 어려운 분기였지만 큰 발전이 있는분기였다고 언급을 하면서 시작을 하였습니다.

베들린과 텍사스 어스틴의 새공장의 생산량을 꾸준히 증가시켰는데 베들린 공장의 경우 테슬라가 중요하다고 생각했던 주당 1000대 생산을 달성하였고 어스틴의 경우 처음으로 4680배터리가 적용된 전기차를 판매하였다고 하였습니다.

2022년 2분기에 에너지사업이 의미있는 성과를 냈고, 이는 곧 기업실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프리몬드와 상하이 공장에서 역대 최대 생산량을 달성하여 2022년 하반기에 최대 실적을 낼 수 있도록 집중하고 있다고 하였습니다.

테슬라 2022 2분기 실적자료 Summary (출처: https://tesla-cdn.thron.com/static/EIUQEC_2022_Q2_Quarterly_Update_Deck_J8VLIK.pdf?xseo=&response-content-disposition=inline%3Bfilename%3D%22tsla-q2-22-update.pdf%22 )

 

재무재표

테슬라의 2022년 2분기 매출액은 전년동기대비 42% 증가한 169억 3400만달러를 기록하였고, 영업이익은 88% 증가한 24억 6400만달러를 기록하였고, 주당순이익(EPS)는 2.27달러를 기록하였으며, 환경규제크레딧(Regulatory Credits)이 지난해 동기대비 -3% 감소하였습니다.

​* 환경규제크레딧이 감소함에도 이익이 증가한다는 것은 테슬라가 이제 안정적으로 전기차 판매만으로 순이익을 낼 수 있는 뜻으로 저는 긍정적으로 보고 있습니다^^

테슬라 2022년 2분기 실적 (출처: https://tesla-cdn.thron.com/static/EIUQEC_2022_Q2_Quarterly_Update_Deck_J8VLIK.pdf?xseo=&response-content-disposition=inline%3Bfilename%3D%22tsla-q2-22-update.pdf%22 )

 

Financial summery 부분을 보면 차량 판매량 증가, 판매가 상승, 전기차 이외 사업확장 그리고 낮은 재고유지로 매출과 수익부분의 긍적적인 영향을 주었지만 악영향의 요소로는 원가 상승(원재료), 상하이 셧다운, 비트코인 하락 등의 이유가 있다고 하였습니다.

테슬라 2022년 2분기 Financial Summary (출처: https://tesla-cdn.thron.com/static/EIUQEC_2022_Q2_Quarterly_Update_Deck_J8VLIK.pdf?xseo=&response-content-disposition=inline%3Bfilename%3D%22tsla-q2-22-update.pdf%22 )

 

생산/판매량, 기가팩토리 상황

2022년 2분기 실적발표를 확인하기 전, 개인적으로 전쟁과 상하이 셧다운 등의 이유로 테슬라가 최근까지 보여줬었던 엄청난 성장률이 꺽이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물론 2021년의 성장률과 비교하면 다소 둔화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지만, 여전히 테슬라는 성장을 잘하고 있지만 현재 PER 수준을 유지하려면 2022년에 전기차 판매량이 최소 150만대 정도는 되야 할 것 같습니다.

테슬라 전기차 생산수치을 보면

고가라인인 모델 S와 모델 X의 생산량은 전년동기 19%가 줄어든? 13,109대이며 판매량은 38%가 줄은 11,766대이며

모델 3와 모델 Y의 생산량은 전년동기 19% 증가하였고 판매량은 20% 증가였고, 모델S와 모델X의 생산량은 전년동기 601% 증가하였고 판매량은 753%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고급라인인 모델 S과 모델X의 3자릿수 증가폭은 작년에 거의 생산을 하지 않아서 이지만, 판매량의 %가 더 높은것으로 보아 여전히 수요가 공급을 앞서는 모습인 것 같아 긍정적으로 생각됩니다.

정리하자만, 2022년 2분기에는 전년대비 전기차 생산량은 25%늘어난 258,580대를 생산하였고, 판매량은 27% 늘어난 254,695대를 판매하여100만대 생산에는 큰 지장이 없을 것 같지만 150만대 생산은 확실하지 않습니다. ​

테슬라 2022년 2분기 Operational 내역 (출처: https://tesla-cdn.thron.com/static/EIUQEC_2022_Q2_Quarterly_Update_Deck_J8VLIK.pdf?xseo=&response-content-disposition=inline%3Bfilename%3D%22tsla-q2-22-update.pdf%22 )

 

2022년 2분기 기준, 테슬라의 생산케파는 190만대 이상으로 약 200만대를 만들수 있는 시스템은 만든 듯 하지만, 올해 베들린과 어스틴 공장에서 생산을 시작했고 상하이 공장 셧다운으로 2022년에 190만대는 불가능할 것이라 예상됩니다.

테슬라 기가팩토리 생산량 (출처: https://tesla-cdn.thron.com/static/EIUQEC_2022_Q2_Quarterly_Update_Deck_J8VLIK.pdf?xseo=&response-content-disposition=inline%3Bfilename%3D%22tsla-q2-22-update.pdf%22 )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visionTECH입니다^^

2022년 7월에 코카콜라에서 배당금을 지급받아서, 배당금과 가지고있던 현금을 사용하여 코카콜라 주식을 주당 $63.5에 4주를 매수하였습니다^^

2022년 7월 8일 기준으로 코카콜라 수익률은 21.18%이고

코카콜라 주식 1주당 $0.44의 배당금이 지급됨으로 분기별로 $138.16 (세전 기준)의 배당금 수령이 가능해졌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2년 7번째 배당금으로 생활비 벌기 프로젝트 상황을 공유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020년 7월 8일에 처음으로 제가 보유하고 있는 종목, 투자 기준, 그리고 다달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기반으로 매달 얼마의 배당금을 받을 수 있는지 알아봤었고 변동사항이 있을때 마다 업로드를 하고 있습니다^^

(어느세 제가 블로그에 재테크 상황을 기록한지 2년이 되었네요~)

 

2022년 7월 7일 보유 주식 & 배당금

1. 삼성전자 - 800주

2. 애플 - 330주

3. 스타벅스 - 175주

4. 코카콜라 - 310주

5. 구글 - 10주

6. 테슬라 - 100주

7. 존슨앤존슨 - 78주

2022년 7월에 이미 코카콜라에서 배당금을 수령하였으며 8월에는 스타벅스, 애플 그리고 삼성전자에서 배당금을 수령할 예정입니다~^^

현재 포트볼리오 비중의 큰부분인 테슬라와 구글에서​ 배당금 지급을 안하고 있기 때문에 전체 배당금 %가 낮지만 전체자산 사이즈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성장주도 포함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팔지않는 상태를 유지하고, 2021년부터 배당주 위주의 매수를 진행하여 연간 배당금 수령금액을 약 310만원으로 증가시켰습니다.

최근 주식시장이 좋지않아 전체 자산은 줄었지만, 제 포트폴리오에 달러자산 비중이 더 크기 떄문에 자산가치와 배당금 측면에서는 긍정적인 효과를 누리고 있으며, 자산가치는 변동하지만 매달 받는 배당금의 금액은 계속 늘어가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어느날과 다름없이 열심히? 일을 하고있던 중 제가 보유 중인 종목 중 하나인 코카콜라에서 배당금을 수령하였습니다^^

현재 저는 코카콜라 310주를 보유 중이여서 세금을 제외하고 달달하게 $115.95를 받았습니다~!

2022년 7월 5일 기준으로 코카콜라 주가는 $63.28이고,

제 수익률은 22.29%이며 배당률은 2.78%로 성장주가 좋지않은 2022년동안 주가가 크게 오르지 않더라도 꾸준히 주가가 올라간 기업입니다.

즉, 코카콜라는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만들 수 있는 좋은 기업 중 하나로 생각이 되어 여력이 된다면 비중을 계속 늘려나갈 계획이며 이번에 받은 배당금을 전부 코카콜라로 재투자할 생각입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visionTECH입니다^^

시간이 빠르게 흘러 어느세 7월 월급날이 왔고~월급 받은 기념으로 스타벅스 주식을 주당 $79에 3주, 존슨&존슨을 주당 $179에 3주를 매수하였습니다^^

 
 

2022년 7월 5일 기준으로 스타벅스 수익률은 3.54%, 존슨&존슨은 9.99%(리벨런스 이후 기준)이고

스타벅스 주식 1주당 $0.49의 배당금이 지급됨으로 분기별로 $85.75 (세전 기준),

존슨&존슨 주식 1주당 $1.13의 배당금이 지급됨으로 분기별로 $88.14 (세전 기준)의 배당금 수령이 가능해졌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미국시간 기준으로 6월 2일 새벽에 테슬라에서 2022년 2분기 전기차 생산량/판매량을 발표하였습니다^^

테슬라를 보유하고 있는 주주로서 이번 2022년 2분기 전기차 생산량/판매량은 정말 매우 중요한 발표이고, 결과에 따라 테슬라 주식뿐만 아니라 파장이 나스닥까지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손떨리는 마음으로 확인을 하였습니다.

2022년 테슬라 전기차 생산/판매량 (2022년 1분기(왼), 2022년 2분기(오)): https://ir.tesla.com/press-release/tesla-vehicle-production-deliveries-and-date-financial-results-webcast-first-quarter, https://ir.tesla.com/press-release/tesla-vehicle-production-deliveries-and-date-financial-results-webcast-second-quarter)
 
 

테슬라는 2022년 1분기에 총 305,407대의 전기차를 생산하였고 310,048대의 전기차를 판매하면서 역대 가장 큰 실적을 기록하였었습니다.

하지만, 여러가지 요인 중 코로나로 인한 중국 상하이 기가팩토리 셧다운으로 2022년 2분기의 생산/판매량이 어떻게 될지 아무도 몰르고 있는 상황이였고

여러 에널간의 테슬라 2분기 실적 전망 예상치가 25만대~29만대로 에널간의 오차가 상당한 상황이였습니다.

이번 발표수치를 보고 개인적으로는 최악은 모면한 것 같은 느낌이고

모델 S와 X의 생산/판매량은 2022년 1분기에 비해 늘어났는데 모델 3과 Y의 생산/판매량이 줄은 것은 확실히 중국 상하이 기가팩토리의 셧다운이 영향을 미쳤다고 보입니다.

아마 이번주에는 테슬라의 전기차 판매/생산량을 시장에서 어떻게 받아드리냐에 따라 주가의 변동성이 심할 것 같고, 실적팔표때는 베들린 기가팩토리와 텍사스 기가팩토리의 생산/판매에 관련된 자세한 "좋은" 정보가 나와야 현재 고 PER를 유지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2022년부터 수많은 악재들이 동시다발적으로 터지면서 한국증시 뿐만 아니라 미국을 포함해 많은 해외 증시의 변동폭이 커지고 하락폭이 커지면서 많은 분들이 힘든시간을 인내하고 있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코로나 시기 전부터 투자를한 저 또한 2022년은 정말 힘들게 보내고 있지만 심리적으로 흔들리지 않으려고 정말 많은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저의 경우 2021년에 수익이 약 9300만원이였는데 2022년 6월 14일 기준으로 거의 8000만원의 손실로 2021년 수익의 거의 대부분을 반납한 상태입니다ㅠㅜ)

2021년 수익률(왼) vs 2022년 상반기 수익률(오)
 
 

최근에는 주가를 확인하면 스트레스를 너무 받아서 월급날 혹은 배당금을 받은날에 매수를 하는 것 이외에는 주가창을 보는 시간을 대폭 줄이고 다른일을 하거나 매수를 할만한 기업을 조사하고 있습니다.

심리적으로 많이 흔들리고 있지만, 그럴때마다 전 지금 하고 있는 투자가 단순 차익을 보기 위한 것이 아니라

여태까지 진행한 재테크는 자산과 현금흐름을 만들어서 궁극적으로 경제적 자유를 누리기 위함이며

지금은 너무나 암울한 것 같지만 자본주의가 지속되고 제가 투자한 기업이 꾸준하게 이익을 창출해내면 결국엔 우상향할 것이라는 것을 지속적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저의 경우 2022년에 긍정적인 측면이 있는지 생각을 하다가 시장과 주가가 하락했음에도 꾸준하게 증가한 2가지가 있다는 것을 생각해 내었고 그것은 바로 제가 가진 주식수와 지급받는 배당금입니다.

(보유주식수와 배당금이 어떻게 보면 같은 맥락이긴한데 개인적으로는 제가 그 동안 꾸준히 실행해온 재테크 방법 때문에 긍정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측면이 있다는 것에 많은 위안이 되었습니다)

2021년 1월 8일 vs 6월 14일 보유 주식 & 배당금

1. 삼성전자 - 800주 -> 800주

2. 애플 - 300주 -> 330주 (+30주)

3. 스타벅스 - 160주 -> 172주 (+12주)

4. 코카콜라 - 275주 -> 310주 (+35주)

5. 구글 - 10주 -> 10주

6. 테슬라 - 100주 -> 100주

7. 존슨앤존슨 - 60주 -> 75주 (+15주)

2021년 1월에 제가 보유했었던 회사와 주식수를 2022년 6월에 보유한 주식수를 비교해보니 기술주는 애플을 매수하였으며, 포트폴리오 리벨런스를 위해 비기술주인 스타벅스, 코카콜라, 존슨&존슨을 꾸준하게 매수를 하였였습니다.

또한, 2022년에는 전 월급에서 약 1330만원을 투자에 사용하였으며 이는 매달 평균 약 220만원을 투자한 것으로 평소보다 지출을 줄이고 유급휴가, 인센티브로 받은 모든 돈을 소비하지 않고 투자를 하였습니다.

2022년 상반기 자산평가금액 & 입금액

 

비록 저의 자산평가액은 제 개인적인 심리선인 3억 밑으로 떨어졌지만 매달 받는 배당금 평균의 경우 225,000원에서 250,000원으로 약 25,000원 증가를 하였습니다.

월 25,000원 상승은 금액자체로 보면 너무나 작은 금액이지만 현재 제가 하고 있는 투자를 유지를 하면 약 8년후에는 거의 200만원에 육박할 수 있으며, 현재 배당금 지급을 안하는 종목을 배당주로 변경을 하거나 배당주를 더 높은 배당을 받는 종목으로 변경하면 시기를 훨씬 앞당길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기에 너무나 지루하고 인내가 필요한 재테크이지만 흔들리지 않고 꾸준하게 진행할 계획입니다.

2020년 7월 ~ 2022 6월 월 평균 배당금 추이

 

2020년 7월 ~ 2030년 12월 월 평균 배당금 추이 예상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