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테슬라의 2021년 1분기 실적발표 내용을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출처: https://tesla-cdn.thron.com/static/R3GJMT_TSLA_Q1_2021_Update_5KJWZA.pdf?xseo=&response-content-disposition=inline%3Bfilename%3D%22TSLA-Q1-2021-Update.pdf%22)

Summary

실적자료 Summary 부분을 보면, 2021년 테슬라 역사상 가장 높은 생산률과 판매가 이루어 졌다고 언급을 하였습니다^^

또한, 2017년 모델3 생산이 시작될 무렵 차량 한대 당 생산단가가 $84,000 였지만 새로운 공장, 제품, 모델 S와 모델 X 비중이 줄어서 2021년 1분기의 생산단가는 $38,000로 대폭 낮아졌습니다.

마지막으로 새로운 모델 S의 생산이 곧 시작이 될 예정이며 중국 상하이 기가팩토리에서 모델 Y의 생산성이 빠르게 늘고 있다고 언급이 있었습니다.

테슬라 실적자료 Summary (출처: https://tesla-cdn.thron.com/static/R3GJMT_TSLA_Q1_2021_Update_5KJWZA.pdf?xseo=&response-content-disposition=inline%3Bfilename%3D%22TSLA-Q1-2021-Update.pdf%22) ​

 

재무재표

테슬라의 2021년 1분기 매출액은 전년동기대비 74% 증가한 103억 8900만달러를 기록하였고, 영업이익은 110% 증가한 5억 9400만달러를 기록하였고, 주당순이익(EPS)는 0.93달러를 기록하였습니다.

또한, 환경규제크레딧(Regulatory Credits)이 지난해 동기대비 46% 증가하였고 비트코인으로 얻은 이익과 합쳐서 2021년 1분기에 흑자를 낸 것으로 보입니다.

테슬라 분기실적 (출처: https://tesla-cdn.thron.com/static/R3GJMT_TSLA_Q1_2021_Update_5KJWZA.pdf?xseo=&response-content-disposition=inline%3Bfilename%3D%22TSLA-Q1-2021-Update.pdf%22 )

 

테슬라 분기 순이익 (출처: https://tesla-cdn.thron.com/static/R3GJMT_TSLA_Q1_2021_Update_5KJWZA.pdf?xseo=&response-content-disposition=inline%3Bfilename%3D%22TSLA-Q1-2021-Update.pdf%22 )

 

생산/판매량, 기가팩토리 상황

 

개인적으로 테슬라의 미친 PER를 유지하려면 2021년에 전기차 판매량이 100만대 정도는 되야 하는 것으로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이 관점으로 보았을때 2021년 1분기 테슬라 전기차 판매량이 25만대가 되어야 하는데 18,0338대로 제 예상보다는 낮게 판매가 되었습니다.

물론! 1분기가 비수기이며 18만대의 판매량이 작년동기에 비해 109% 성장한 수치이기 때문에 상당히 잘 하였지만...개인적으로 2,3,4분기에 판매량을 늘려서 2021년 전기차 판매량을 100만대를 달성하였으면 좋겠습니다^^;;

테슬라 전기차 생산수치을 보면

고가라인인 모델 S와 모델 X의 생산량은 전년동기 100%가 줄어든? 아니 날라간 0대이며 (안만든거죠^^;;;) 판매량은 83% 줄은 2030대이며 (재고를 판매한 것 같습니다)

모델 3와 모델 Y의 생산량은 전년동기 107% 증가하였고 판매량은 140%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즉, 2021년에 테슬라는 고가라인보다 중저가 라인의 전기차 생산/판매에 집중을 하였고, 그 결과 어마어마한 생산/판매량 증가를 기록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에너지 부분에서는 Storage부분이 전년동기 71% 증가한 445MWh를 기록하였습니다.

테슬라 Operation 내역 (출처: https://tesla-cdn.thron.com/static/R3GJMT_TSLA_Q1_2021_Update_5KJWZA.pdf?xseo=&response-content-disposition=inline%3Bfilename%3D%22TSLA-Q1-2021-Update.pdf%22 )

 

2021년 1분기 기준으로 테슬라의 생산케파는 105만대로 100만대를 만들수 있는 시스템은 만든 듯 하지만

반도체 수급, 미중무역 갈등, 경쟁회사 전기차 판매 등의 변수가 있어 100만대를 생산함과 동시에 판매가 가능한지는 지속해서 지켜볼 포인트인 것 같습니다.

또한, 생산량 추이를 보면 우상향이지만 2020년 4분기 대비 2021년 1분기 생산량 증가가 둔화된 듯이 보이는데...단기적으로는 베들린 기가팩토리나 텍사스 기가팩토리에서 생산이 시작되지 않는 이상 퀀텀점프를 보기는 힘들 것 같습니다.

테슬라 생산 케파 (출처: https://tesla-cdn.thron.com/static/R3GJMT_TSLA_Q1_2021_Update_5KJWZA.pdf?xseo=&response-content-disposition=inline%3Bfilename%3D%22TSLA-Q1-2021-Update.pdf%22 )

 

테슬라 생산량 (출처: https://tesla-cdn.thron.com/static/R3GJMT_TSLA_Q1_2021_Update_5KJWZA.pdf?xseo=&response-content-disposition=inline%3Bfilename%3D%22TSLA-Q1-2021-Update.pdf%22 )

 

미국 텍사스 공장 건설 진행상황인 경우, 2020년 3분기에는 땅에 기초공사, 2020년 4분기에는 공장건설, 그리고 2021년 1분기에는 지속적으로 기가팩토리 건물이 지어지고 있는 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

(확실히 전분기 대비해서 공장건설 진행이 많이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지만 여전히 공장이 완료 되려면 시간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미국 텍사스 기가팩토리 건설 비교 (2020년 3분기(왼쪽 위) vs 2020년 4분기(오른쪽 위) vs 2021년 1분기 (아래))

베들린 기가팩토리의 경우, 마찬가지로 2020년 4분기 대비해서 건설이 꽤 진행이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내부에 생산장비를 설치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단기간안에 생산을 진행하는데는 무리가있어 보입니다.

독일 베들린 기가팩토리 건설 비교 (2020년 3분기 (위) vs 2020년 4분기(중간), 2021년 1분기(아래))

독일 베들린 기가팩토리 내부사진

 

728x90
반응형
반응형

** 제가 올렸던 모든 글 그리고 제가 앞으로도 작성할 글은 투자권유 목적이 절대 아니며 투자의 책임 개인에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글에서는 현재까지 진행되었던 가상자산(가상화폐) 투자 진행상황을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2021년 2월 14일에 제가 헷지수단 중 하나로 가상자산(가상화폐)를 투자하는 것을 결정을 한 글을 올렸었는데요~

https://blog.naver.com/vision0752/222243289595

 

헷지 수단 중 하나로 가상화페 투자 결정 (feat. 일론 머스크, Paypal, etc.)

​** 제가 올렸던 모든 글 그리고 제가 앞으로도 작성할 글은 투자권유 목적이 절대 아니며 투자의 책임 개...

blog.naver.com

 

 

이때 제가 마음이 편하게 일상생활이 지장이 없을 정도의 투자를 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전체자산의 1%정도만 투자를 하겠다고 하였었습니다.

이 당시 전 비트코인 0.0186개 (약 75만원) 그리고 이더리움 0.307개(약 60만원)를 보유하고 있어 매수금액으로 약 135만원 정도를 투자하였습니다.

2021년 2월 가상자산 현황

 

그 후 많은 분들이 아시겠지만 가상자산의 폭등과 폭락을 거듭하였는데요...

제가 만약 가상자산에 투자를 많이 했다면 정말 일상생활은 마비가 됬을 것 같습니다만...다행히 제 전체 포트폴리오 중 가상자산이 차지하는 비율이 1%미만이다 보니 마음편하게 그냥 지켜보고 있는 상황입니다.

2월 이후에 비트코인을 추가매수를 하여 매수금액이 135만원에서 177만원 정도로 상승을 하였었고 평가금액은 약 300만원까지 상승을 해서 수익률 69%를 기록하였었습니다. (정말 상승세가 무서웠습니다 ^^;;;;;;;)

2021년 4월 14일 가상자산 현황

 

하 지 만....BUT....However...

최근 가상자산이 급격하게 하락하면서 2021년 4월 25일 현재 제 가상자산 평가금액은 약 240만원으로 수익률이 35.65%까지 하락을 하였습니다.

2021년 4월 25일 가상자산 현황

다행히도 큰 폭락을 맞이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제 가상자산 수익률은 +를 유지하고 있어 아직까지는 마음편하게 지켜보고 있지만, 가상자산은 앞으로 어떻게 될지 아무도 모르는 분야이기 때문에 매수금액이 전체자산의 1%가 될때까지는 비트코인/이더리움을 소량 매수를 할 생각이지만 큰 돈을 들여서 추가매수를 하지 않을 생각입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visionTECH 입니다^^

오늘 삼성전자/삼성전자우 분기 배당금과 특별배당금을 수령해서

미국장 시작전 애플 주식을 주당 $134.00에 9주를 매수하여 총 애플 주식 보유수가 294주로 증가하였습니다^^

2021년 4월 16일 기준으로 애플 수익률은 68.18%이며 분기기준으로 애플 주식 1주당 $0.205의 배당금이 지급됨으로 분기별로 $60.27 (세전 기준)의 배당금 수령이 가능해졌습니다^^

참고로 올해 애플이 배당금을 늘릴 가능성이 매우 크며 작게는 약 6% 많게는 10%정도의 매당금 인상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현재 애플의 PER이 36.48, 배당률은 0.62%이며, 올해에도 꾸준한 이익성장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전에도 언급을 했듯이 저는 애플 주식을 300주가 될때까지 매수를 할 계획이기 때문에

5월 월급날에 추가로 애플 주식 6주를 매수해서 총 보유주식수를 300주로 늘릴 예정입니다.

이 목표를 달성하고 나서 투자를 어떻게 진행을 할 것인지 고민하고 진행을 할 예정입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visionTECH입니다~!

오늘 드디어 삼성전자와 삼성전자우 분기 배당금과 특별배당금을 수령했습니다~

지난글에 삼성전자 홈페이지에서 배당금 수령내역을 공유했었는데 이자를 제외하고

삼성전자 배당금은 1,307,590원, 삼성전자우 배당금은 32,710원을 받았습니다^^

visiontech.tistory.com/118

 

삼성전자 배당금 내역 확인~(feat.특별배당)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삼성전자 배당금을 확인하는 방법과 내역들을 공유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2020년까지는 배당금을 수령하기 전 한국예탁결제원에서 배당금 내역을

visiontech.tistory.com

다음주에 애플에서 4월 이벤트를 열 예정이고 유력하게 차세대 아이패드 프로가 발표 될 가능성이 있어

배당금으로 아이패드 프로를 구매할까 심각하게 고민을 했는데

자름신이 강하게 오시기 전에 재빨리 배당금을 전부 달러로 교환해서 지출로 이어지지 않게 하였으며

모든 배당금으로 애플주식을 매수할 계획입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 입니다~

애플에 관심이 있으신분들이라면 누구나 애플 이벤트를 기다리실 텐데요

소프트웨어 이벤트인 6월, 아이폰을 주로 발표하는 9월 이벤트처럼 매년 정기적으로 열리는 이벤트는 아니지만

아이패드 프로, 에어팟 등의 제품발표를 3월 이벤트에 공개한다는 루머와 예상이 많았지만 끝내 2021년 3월에는 아무런 일이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ㅠㅜ

 

그런데~ 애플 기기에서 시리를 통해 다음 애플 이벤트가 언제인지 질문을 하면

현재 4월 20일에 Cupertino Apple Park에서 진행을 한다는 답변을 하고 있습니다~~

2021년 4월 13일 저녁기준으로 아직까지 애플 홈페이지에는 공식으로 이벤트를 알리는 소식은 없지만

많은 매체에서 시리의 답변을 증거로 곧 애플이 4월 이벤트 공식발표를 할 것이라 예상을 하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아이패드 프로를 구매하고 싶어서 하루라도 빨리 이벤트때 확인을 하고 결제결정을 하려고 하는데 일단 최대한 총알을 모을 예정입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visionTECH 입니다^^

오늘 미국장 시작전 애플 주식을 주당 $132.69에 5주를 매수하여 총 애플 주식 보유수가 285주로 증가하였습니다^^

2021년 4월 12일 기준으로 애플 수익률은 69.92%이며 분기기준으로 애플 주식 1주당 $0.205의 배당금이 지급됨으로 분기별로 $58.425 (세전 기준)의 배당금 수령이 가능해졌습니다^^

참고로 올해 애플이 배당금을 늘릴 가능성이 매우 크며 작게는 약 6% 많게는 10%정도의 매당금 인상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현재 애플의 PER이 36.07, 배당률은 0.62%이며, 올해에도 꾸준한 이익성장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일단 저는 애플 주식을 300주가 될때까지 매수를 할 계획이며 목표를 달성하고 나서 투자를 어떻게 진행을 할 것인지 고민하고 진행을 할 예정입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삼성전자 배당금을 확인하는 방법과 내역들을 공유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2020년까지는 배당금을 수령하기 전 한국예탁결제원에서 배당금 내역을 보내줬는데 삼성전자의 경우 이제 온라인으로 배당금 내역을 확인할 수 있게 시스템이 변경이 되었습니다.

삼성전자 주주이신 분들은 하기 링크로 들어가셔서 회원가입을 하고 본인인증 과정을 거치면 배당금 내역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s://dividend.samsung.com/mypage/login

 

로그인 | 삼성전자 배당조회 Web Service 관리자

 

dividend.samsung.com

에니웨이~

2020년 4분기 삼성전자와 삼성전자우의 배당금과 특별배당금은 2021년 4월 16일에 지급될 예정이며

저의 경우 삼성전자 800주와 삼성전자우 50주를 보유하고 있지만

삼성전자우 30주의 경우 배당락일 이후에 매수를 했기 때문에

삼성전자우의 경우 20주에 한해서만 배당금을 지급받을 예정입니다.

삼성전자 홈페이지에서 확인한 배당금 총액은 1,584,260원으로 세금을 제외하면

약 130만원 정도를 수령받을 예정이며 이번 배당금은 당연히 모두 주식으로 재투자를 할 계획입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1년 4번째 배당금으로 생활비 벌기 프로젝트 상황을 공유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020년 7월 8일에 처음으로 제가 보유하고 있는 종목, 투자 기준, 그리고 다달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기반으로 매달 얼마의 배당금을 받을 수 있는지 알아봤었고 변동사항이 있을때 마다 업로드를 하고 있습니다~

2월부터 3월 정도까지 미국 장기 국체 금리가 상승함에 따라 기준금리 상승여부와 연준의 발표에 시장이 민감하게 반응을 하고 있었는데 시장이 미국 국체 금리 상승에 적응?이 되고 연준에서 꾸준하게 언급했던 부분 (경기가 확실하게 회복하는 것을 확인하기 전에는 금리상승은 없을 것, 경기회복의 지표는 고용률 등) 그리고 경기회복/상승에 대한 기대 등으로 4월부터는 주가가 회복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아무튼~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최소 2분기 동안은 2~3월 같은 분위기가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을 것 같기 때문에 각 기업의 실적을 확인하고 대응을 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2021년 4월 8일 보유 주식 & 배당금

1. 삼성전자 - 800주

2. 삼성전자우 - 50주

3. 애플 - 280주

4. 스타벅스 - 150주

5. 코카콜라 - 200주

6. 구글 - 10주

7. 테슬라 - 100주

월급날인 4월 5일에 스타벅스를 추가매수를 하였으며, 4월에 삼성전자에서 특별 배당금이 입금이 될 예정입니다^^

에니웨이~이번 스타벅스 매수로 월 평균 배당금은 178,129원이 되었으며 적지만 매달 배당금 수령액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2021년 2월~3월 동안 순자산이 줄었는데 4월부터 반등을 하고 있는 상황이며 상승이 지속되려먼 1분기 실적이 매우 중요한 지표로 적용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일단 테슬라 1분기 판매량 발표를 보면 어렵겠지만 올해 100만대 판매가 꿈의 수치만은 아닌 것을 확인하여 보유로 대응을 할 예정이며 나머지 기업들의 1분기 실적을 기반으로 자산 리벨런싱 혹은 대응방법을 생각하여 움직일 예정입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