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오늘도 여김없이 심신이 지쳐가는 오후에 반가운 카톡을 받았는데

그것은 바로~애플 배당금 입금 카톡이였습니다~^^

현재 저는 애플 300주를 보유 중이며, 수익률은 84.49%이며, 세금을 제외하고 분기 배당금으로 총 $56.11를 수령했습니다!!

2021년 8월 15일 기준으로 애플주가는 주당 $148.78이며, 배당금은 0.59%로 미국 1등 시가총액 기업치고는 배당금이 매우 짠 편이지만 지속적인 혁신으로 회사의 가치가 매년 큰폭으로 올라가고 있으며 올해 배당금을 늘려줄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투자를하고 지켜볼 기업 중 하나입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1년 8번째 배당금으로 생활비 벌기 프로젝트 상황을 공유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020년 7월 8일에 처음으로 제가 보유하고 있는 종목, 투자 기준, 그리고 다달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기반으로 매달 얼마의 배당금을 받을 수 있는지 알아봤었고 변동사항이 있을때 마다 업로드를 하고 있고 제가 배당금으로 생활비 벌기 프로젝트를 업로드한지 1년이 넘었습니다~^^ (시간 참 빠르네요...)

매달 제가 투자하고 있는 금액을 감안한다면 특히나 올해 수익률은 작년에 비해 미비 하지만 손해를 보지 않으면서 은행이자보다 많이 벌고 있고

주가가 오르지 못하는 지금이 비싸지 않게 좋은 주식을 매수할 수 있는 타이밍이라고 생각하고 꾸준하게 매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2021년 8월 8일 보유 주식 & 배당금

1. 삼성전자 - 800주

2. 애플 - 300주

3. 스타벅스 - 150주

4. 코카콜라 - 250주

5. 구글 - 10주

6. 테슬라 - 100주

7. 존슨앤존슨 - 32주 (신규매수)

2021년 8월에는 삼성전자, 애플, 스타벅스에서 배당금을 받을 예정이며, 존슨앤존슨을 신규편입 및 추가매수를 하여 배당금을 늘리면서 포트폴리오를 조정하고 있습니다.

현재 포트볼리오 비중의 큰부분인 테슬라와 구글에서​ 배당금 지급을 안하고 있기 때문에 전체 배당금 %가 낮지만 전체자산 사이즈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성장주도 포함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당분간은 매도를 하지 않으면서 배당 월급날 배당주 위주로 매수하는 전략으로 움직이고 있으며

처음으로 월 배당금이 20만원을 돌파하였습니다~^^v

 

 

 

현재 테이퍼링, 금리인상, 고용율, 물가, 체권시장, 환율, 중국시장 등 수많은 요소들이 칼과 칼의 싸움?을 하면서 눈치개임을 벌이고 있는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당연히 테이퍼링, 금리인상은 주식시장에 좋지 않은 소식임은 분명하다고 생각이 듭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장이 잘나오는 기업, 즉 돈(순이익)을 꾸준하게 잘벌고 버는 이익이 늘어나는 기업의 경우 전고점을 돌파하고 우상향할 것이라 생각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투자하고 있는 기업의 실적을 면밀히 살펴보고 돈을 잘버는지, 앞으로 지속적으로 잘 벌수 있는지, 앞으로 시장이나 기업의 해당 분야의 방향이 어떻게 될지를 꾸준하게 확인하면서 재테크를 할 생각입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어느덧 다시 월급날이 돌아와서~

존슨앤존슨 주식을 주당 $173.5에 총 6주를 추가매수하였고, ​이번 매수로 총 존슨앤존슨 보유주식이 32주로 증가하였습니다^^

2021년 8월 5일 기준으로 존슨앤존슨 수익률은 2.28%이며

분기기준으로 존슨앤존슨 주식 1주당 $1.06의 배당금이 지급됨으로 분기별로 $33.92의 배당금 수령이 가능해졌습니다~^^​​

현재 존슨앤존슨의 PER는 26.06이며 배당률은 2.46%로 은행 적금보다 높은 배당금 수령이 가능합니다^^

물론 기술주, 언텍주 같이 엄청난 상승을 보여주는 종목은 아니지만 제 포트폴리오에 기술주 비중이 높음으로 당분간은 배당이 있으면서 테크분야가 아닌 기업위주로 매수를 진행하려고 합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 입니다~^^

오늘 새벽 애플이 2021년 3분기 실적발표를 하였습니다~!

https://www.apple.com/newsroom/pdfs/FY21_Q3_Consolidated_Financial_Statements.pdf

이번 실적발표 내용을 정리하자면 전분기에 이어서 충격적인 결과인데요~^^

저 큰 덩치의 기업의 매출이 전년동기에 비해 36%가 오른 814억 달러이며 주당순이익(EPS)은 1.3달러를 기록하였습니다.

애플 CFO인 루카 마에스트리는 이번 분기에 모든 지역에서 기록적인 매출을 달성하고 모든 제품부분에서 두 자릿수 성장을 이뤘으며 활성 기기 규모는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하였습니다.

또한, 애플 이사회에서는 보통주 1주당 0.22달러의 현금 배당을 실시한다고 하였으며 2021년 월 9일을 기준으로 등재된 주주에게 2021년 8월 12일에 배당금이 지급이 된다고 하였습니다.

애플의 분기매출을 살펴보면

아이폰의 매출은 395.7억달러

맥(컴퓨터)의 매출은 82.35억달러

아이패드의 73.68억달러

워어러블, 집 그리고 악세서리의 매출은 87.75억달러

서비스분야 매출은 174.86억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애플입장에서 3분기는 비수기에 해당되는 기간이지만 준수한 실적을 낸 것으로 발표를 하여 주주입장에서 상당히 만족을 하고 있습니다만...

현재 반도체 쇼티지 때문에 4분기 하드웨어 매출에 영향이 얼마나 미칠지는 꾸준하게 지켜볼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테슬라의 2021년 2분기 실적발표 내용을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출처: https://tesla-cdn.thron.com/static/ZBOUYO_TSLA_Q2_2021_Update_DJCVNJ.pdf?xseo=&response-content-disposition=inline%3Bfilename%3D%22q2_2021.pdf%22)

Summary

실적자료 Summary 부분을 보면, 2021년 2분기에 20만대 이상의 전기차를 생산하고 판매를 했다고 언급을 하였으며 11%의 영업이익률을 달성하였고 테슬라가 설립된 이래 처음으로 단기순이익(GAAP)이 10억달러를 넘었다고 했습니다~^^

테슬라는 공급망의 어려움이 아직 있으며 부품 공급망이 올해 전기차 생산에 많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하였습니다. (이 부분은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을 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마지막으로 전 세계에 있는 테슬라 차량으로부터 얻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2021년 2분기에 Tesla Vision을 출시하였으며 완전자율주행의 경우 상당히 어려운 일이지만 데이터양, 실 주행데이터셋 그리고 AI를 포함하여 3가지 요소로 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하였습니다.

테슬라 실적자료 Summary (출처: https://tesla-cdn.thron.com/static/ZBOUYO_TSLA_Q2_2021_Update_DJCVNJ.pdf?xseo=&response-content-disposition=inline%3Bfilename%3D%22q2_2021.pdf%22 )

 

재무재표

테슬라의 2021년 2분기 매출액은 전년동기대비 98% 증가한 119억 5800만달러를 기록하였고, 영업이익은 301% 증가한 13억 1200만달러를 기록하였고, 주당순이익(EPS)는 1.45달러를 기록하였으며, 2021년 1분기와는 다르게 환경규제크레딧(Regulatory Credits)이 지난해 동기대비 17% 감소하였습니다.

테슬라 분기실적 (출처:https://tesla-cdn.thron.com/static/ZBOUYO_TSLA_Q2_2021_Update_DJCVNJ.pdf?xseo=&response-content-disposition=inline%3Bfilename%3D%22q2_2021.pdf%22)

테슬라 분기 순이익 (출처:https://tesla-cdn.thron.com/static/ZBOUYO_TSLA_Q2_2021_Update_DJCVNJ.pdf?xseo=&response-content-disposition=inline%3Bfilename%3D%22q2_2021.pdf%22)

생산/판매량, 기가팩토리 상황

2021년 1분기 실적발표 글을 작성하였을때 개인적으로 테슬라의 미친 PER를 유지하려면 2021년에 전기차 판매량이 100만대 정도는 되야 하는 것으로 생각을 하고 있다고 언급을 하였는데...

올해 상황으로 미루어보았을 때 100만대 생산/판매는 힘들 것 같지만 85만대 정도는 가능할 것으로 예상을 하고 있습니다.

테슬라는 1분기가 비수기이며 18만대의 판매량을 기록하였지만 2분기에는 20만내의 판매량을 기록하였고 이 트렌드가 지속된다면 3분기에는 22만대 정도?를 판매하지 않을까 희망하고 있습니다^^a;;;;

테슬라 전기차 생산수치을 보면

고가라인인 모델 S와 모델 X의 생산량은 전년동기 63%가 줄어든? 2340대이며 (1분기때 안만들다가 2분기에 생산을 다시 진행) 판매량은 82% 줄은 1895대이며

모델 3와 모델 Y의 생산량은 전년동기 169% 증가하였고 판매량은 148%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즉, 테슬라는 고가라인보다 중저가 라인의 전기차 생산/판매에 집중을 하였고, 그 결과 어마어마한 생산/판매량 증가를 기록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에너지 부분에서는 Storage부분이 전년동기 204% 증가한 1,274MWh를 기록하였습니다.

테슬라 Operation 내역 (출처:  https://tesla-cdn.thron.com/static/ZBOUYO_TSLA_Q2_2021_Update_DJCVNJ.pdf?xseo=&response-content-disposition=inline%3Bfilename%3D%22q2_2021.pdf%22 )

 

2021년 2분기 기준으로 테슬라의 생산케파는 105만대 이상으로 100만대를 만들수 있는 시스템은 만든 듯 하지만 부품 수급, 미중무역 갈등, 경쟁회사 전기차 판매 등의 변수가 있는 상황입니다.

(중국 판매 비중이 유럽판매비중을 추월한 것이 단기적으로는 좋게 보이지만 미중무역 갈등의 영향에 따라 단점으로 바뀔 가능성이 높은 것 같습니다)

또한, 생산량 추이를 보면 우상향이지만 생산량 증가폭은 둔화된 듯이 보이는데...단기적으로는 베들린 기가팩토리나 텍사스 기가팩토리에서 생산이 시작되지 않는 이상 퀀텀점프를 보기는 힘들 것 같습니다.

테슬라 생산 케파 (출처:  https://tesla-cdn.thron.com/static/ZBOUYO_TSLA_Q2_2021_Update_DJCVNJ.pdf?xseo=&response-content-disposition=inline%3Bfilename%3D%22q2_2021.pdf%22 )

 

테슬라 생산량 (출처: https://tesla-cdn.thron.com/static/ZBOUYO_TSLA_Q2_2021_Update_DJCVNJ.pdf?xseo=&response-content-disposition=inline%3Bfilename%3D%22q2_2021.pdf%22 )

 

미국 텍사스 공장 건설 진행상황인 경우, 2020년 3분기에는 땅에 기초공사, 2020년 4분기에는 공장건설, 그리고 2021년 1분기에 이어 2분기에도 지속적으로 기가팩토리 건물이 지어지고 있는 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

(확실히 전분기 대비해서 공장건설 진행이 많이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지만 여전히 공장이 완료 되려면 시간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미국 텍사스 기가팩토리 건설 비교 (2021년 1분기 vs 2021년 2분기)

 

베들린 기가팩토리의 경우, 외관은 2021년 1분기 대비 큰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이지만

내부에 생산장비를 집중적으로 설치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독일 베들린 기가팩토리 건설 비교 (2021년 1분기(위) vs 2021년 2분기(아래))

 

독일 베들린 기가팩토리 내부사진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iOS 14.7.1 업데이트 뉴스를 전달해 드리겠습니다^^

오늘 새벽에 애플에서 iOS 14.7.1 버전을 배포하였습니다~

아이폰X 기준으로 iOS 14.7.1업데이트 용량은 125.7MB로 현재 iOS버전에 따라 업데이트 용량은 다를 수 있습니다.

에니웨이~

iOS 14.7.1의 업데이트 주 내용은 애플워치를 착용하고 있는데 FaceID 언락이 잘 되지 않은 현상을 해결하였다고 하니 저처럼 애플워치를 착용한 상태로 FaceID 언락이 잘 안되시는 분들은 꼭 업데이트를 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iOS 14.7 업데이트 뉴스를 전달해 드리겠습니다^^

오늘 새벽에 애플에서 iOS 14.7 버전을 배포하였는데 iPadOS 14.7은 아직 배포하지 않은 상태입니다.

(제 예상에는 iPadOS 14.7은 1~2일 안에 업데이트를 진행할 것 같습니다)

아이폰X 기준으로 iOS 14.7 업데이트 용량은 904.2MB로 거의 1GB정도가 되지만

기기와 현재 iOS버전에 따라 업데이트 용량은 다를 수 있습니다.

에니웨이~

iOS 14.7의 업데이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MagSafe Bttery Pack 지원 (역무선충전 때문인 것 같습니다)

2. Apple Card sharing 기능

3. HomePod: 홈 어플에서 타이머 설정

4. 날씨어플에서 Air quality 기능 추가 (이 기능은 한국이 포함이 되기 때문에 유용한 정보가 될 것 같습니다)

5. 모뎀 업데이트 (셀룰러)

6. 베터리 calibration 버그 수정 (아이폰 11 한정)

7. 기타 버그 수정

이번 iOS 14.7은 iOS 15이 나오기전에 마지막 업데이트가 될 것 같으며 왠만하면 이번 버전으로 업데이트를 진행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1년 9월에 발표될 예정?인 아이폰 13 시리즈 혹은 아이폰 12s 시리즈 관련 루머를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그 동안 올해 출시가 될 예정인 아이폰 13 혹은 아이폰12s 루머들을 접했는데 

연초에 나오는 루머들 보다는 출시가 가까워질수록 루머들이 정확할 확률이 높기 때문에 그 동안 모니터링만 했습니다^^;;;

에니웨이~

2021년 7월 현재까지 나온 루머들을 보고 많이 겹치는 정보를 위주로 정리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름: 아이폰 13? 아이폰 12s?

 

올해 출시할 아이폰 이름의 경우 제 개인적인 생각에는 아이폰 12s 시리즈가 되지 않을까 예상을 하였지만

루머들을 살펴보면 아이폰 13으로 예상되는 정보가 많은 상황입니다.

따라서, 올해 출시할 아이폰의 이름은 아이폰 13 미니, 아이폰 13, 아이폰 13프로, 아이폰 13 프로 맥스가 될 확률이 높은 것 같습니다.

(뭐 사실 이름이 어떻게 나오던 중요한 요소가 아니기 때문에 그냥 아이폰13으로 불르는 것 같기도 합니다^^;;) 

 

외부 디자인/디스플레이

 

아이폰 13 시리즈의 경우 아이폰 12 시리즈와 마찬가지로 4가지 크기로 출시가 될 확률이 높으며 외관 디자인은 아이폰 12 시리즈와 비교하여 큰 차이가 없을 것이라는 예상이 우세합니다.

따라서, 아이폰 13 시리즈 디스플레이 크기는 다음과 같이 될 확률이 높습니다.

- 아이폰 13 미니: 5.4인치

- 아이폰 13: 6.1인치

- 아이폰 13 프로: 6.1인치

- 아이폰 13 프로 맥스: 6.7인치

 

올해 아이폰 13 시리즈에는 아이패드 프로라인에 적용된 120Hz 프로모션 디스플레이가 적용될 확률이 높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 디스플레이는 아이패드와 마찬가지로 "프로"라인에 적용이 될 것 같습니다.

120Hz 디스플레이는 주로 삼성에서 LTPO OLED를 공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LG 디스플레이에서도 부품 공급이 언급이 되고 있습니다.

 

 

후면 카메라/전면 카메라&노치

 

카메라의 경우 프로라인의 아이폰은 아이폰 12 시리즈에 비해 크기가 더 커질것으로 예상이 되고 있으며 이로인해 사각모양의 카툭튀 면적이 더 넓어 질 것으로 보입니다.

아이폰 13 시리즈 카메라 모양 예상 (출처: macrumors:  https://www.macrumors.com/roundup/iphone-13/ )

 

FaceID가 있는 전면 노치의 경우 줄어들 것이라는 예상이 올해도 나왔습니다. (이미지와 함께...)

작아진 노치 루머의 경우 작년 아이폰 12 시리즈 출시 전에도 나왔었는데...올해는 이 루머들이 맞을지는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아이폰 전면 노치 이미지 (출처: macrumors:  https://www.macrumors.com/roundup/iphone-13/ )

 

기타 루머들

 

기타 아이폰 13/아이폰 12s 시리즈 관련 루머는 다음과 같습니다.

1. AP: A15 칩 적용

2. 포트: USB-C가 아닌 라이트닝 포트 적용

3. 인터넷: 5G 와 wifi 6E 적용

4. TouchID: 전원버튼 혹은 디스플레이 밑에 적용

5. 저장공간: 1TB 옵션 가능

6. 역무선충전: 루머로 언급은 되고 있으나 실제 적용이 될지는 미지수

7. 출시시기 (미국기준): 9월 말 예상

 

애플에서 아이폰 13의 생산량을 약 20% 늘렸다는 뉴스가 나온만큼 

올해 아이폰에 대한 애플의 자신감이 상당한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아이폰X을 사용중이기 때문에 올해 출시하는 아이폰을 직접 구매할 예정이기 때문에 국내출시를 최대한 빠르게 진행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