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visionTECH입니다

대한민국 시민으로서 그리고 삼성전자 주주로서 참으로 안타까운 일들이 최근 크게 이슈가 되었는데...

그것은 다름이 아닌 Game Optimizing Service (GOS) 이슈입니다.

데스크탑, 노트북, 스마트폰 등 많은 전자기기는 무거운 작업 진행 시 CPU, GPU같은 부품에서 발생하는 발열을 해결하기 위해 하드웨어 측면에서는 높은 전도성을 갖는 매탈소재를 부품에 부착하거나 팬을 이용해서 열을 식혀주고 소프트웨어적으로는 클럭수를 낮추는 방법으로 전자기기 상태를 최적화하고 있습니다.

삼성의 GOS는 사용자가 스마트폰에서 고사양 게임같은 무거운 작업을 할때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발열을 최소화하는 소프트웨어 제어 프로그램인데 이 프로그램의 작동 "방법"과 "정도" 때문에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저보다 10000000배는 훌륭한 엔지니어분들이 전반적인 부분을 감안해서 결정을 했겠지만...

기존방식의 경우 기기를 사용하는 중, 발열이 발생해서 기기의 온도가 일정수준까지 올라면 점차적으로 CPU, GPU 클럭을 낮춰서 발열을 잡아가는 방식을 사용하는데

삼성 GOS는 삼성이 지정한 어플을 사용하면 강제로 성능을 낮추는 방식으로 작동을 하는데

벤치마크 어플은 이 리스트에 포함이 되지 않았으며, 강제적으로 성능을 낮추는 정도가 대략 50%로 대폭 성능을 낮추는 것으로 여러 테크뉴스에서 언급이 되고 있습니다. (심지어 GOS가 가동되는 어플이 약 10000개이며 이 중 게임은 약 3000개 그리고 나머지 6000개는 게임이 아닌 어플인 것으로 루머가 돌고 있습니다)

이에, 밴치마크의 대표중 하나인 Geekbench에서는 이러한 행위는 정당하지 못한 것으로 간주하여 GOS가 작동하는 모든 갤럭시를 밴치마크 기기 리스트에서 제외하기로 했습니다.

처음에는 이번에 나온 갤럭시 S22 울트라만 제외되는 줄 알았는데...

갤럭시 S22, S21, S20 S10 전 시리즈를 제외한 것으로 발표가 되어 사실상 삼성 플레그쉽 스마트폰은 전부 제외 됬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상황입니다.

처음에 언급했듯이 삼성전자 주주로서 이번 사태를 접하고 너무나 안타까운 마음이 들었고 이번 사태로 인해 삼성전자의 브랜드 이미지가 심각한 타격이 가지 않을까 걱정이 되고 있습니다만...

삼성전자가 이번 위기를 슬기롭게 잘 극복하기를 진심으로 바라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 입니다^^

포스팅이 너무 늦었지만...^^;;;; 애플에서 3월 9일 새벽3시에 Peek Performance 라는 슬로건으로 이벤트를 연다는 소식을 발표하였습니다~^^

그 동안 루머들을 살펴본 결과, 이번 3월 이벤트에서 크게 3가지 카테고리의 제품이 출시될 것이라 예상이 되고 있으며 그 제품은 아이폰, 아이패드 에어 그리고 맥입니다~

개인적으로 전 M2(M1 후속) 맥북에어 출시를 오매불망 기다리고 있는데...루머상으로는 3월 이벤트에서는 다른 맥 제품이 발표가 될 것이라 거론이 되고 있습니다 ㅠㅜ

아이폰 SE 3

아이폰 SE 3 예상 이미지 (출처: 9to5mac,  https://9to5mac.com/2022/03/02/heres-everything-we-could-see-at-the-apple-event-march-8/ )

 

애플이 3월 이벤트에 발표할 제품 중 유력한 후보인 아이폰 SE 3입니다.

애플 루머에 정통한 Ming-Chi Kuo, Mark Gurman, 9to5mac 등에 따르면 아이폰 SE 3는 아이폰 SE 2 디자인에 5G 기능과 A15 bionic칩이 들어갈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아이폰 SE의 새로운 디자인이 적용되는 시기는 2023년 혹은 2024년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아이패드 에어 5세대

아이패드 에어 5세대 예상 이미지 (출처: 9to5mac,  https://9to5mac.com/2022/03/05/poll-apple-peek-performance-event-iphone-se-ipad-air-imac/ )

 

아이패드 미니 6세대 다음으로 애플이 3월 이벤트에 발표할 것이라 예상되는 아이패드 5세대입니다.

아이패드 5세대에는 A15 bionic, 5G, 쿼드 스피커 혹은 듀얼 스피커, 센터스테이지(전면카메라) 그리고 뒷면에 LED true tone 플레쉬가 추가가 될 것이라 예상을 하고 있습니다.

몇몇 루머상으로는 아이패드 에어에 OLED탑제설이 있긴 하지만 아이패드 4세대처럼 LCD가 탑제될 것이라는 의견이 더 우세한 것 같습니다.

맥: 맥북프로?맥북에어? 27인치 아이맥?맥 미니?

27인치 iMac 예상 디자인 (출처: 9to5mac,  https://9to5mac.com/2022/03/05/poll-apple-peek-performance-event-iphone-se-ipad-air-imac/ )

 

3월 이벤트에 아이폰 SE 3, 아이패드 에어 5세대 출시에 관해서는 상당히 일관된 루머가 있었는데 반해

M2칩이 탑제될 것이라 예상되는 맥 제품은 루머가 많이 엇갈려서 어떤 제품이 발표가 될지 맥 컴퓨터 전라인에 걸쳐서 루머가 돌고 있습니다;;;;;

 

일단 루머에 거론된 제품들을 정리를 해보자면, 첫번째 맥 제품은 아이맥 27인치입니다.

새롭게 출시되는 아이맥 27인치는 새로운 디자인과 더불어 M1 Pro/M1 Max칩이 탑제되며 ProMotion이 들어간 miniLED가 탑제될 것이라 예상을 하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아이맥 24인치와 같은 디지인으로 출시가 되지 않고 루머사진같이 출시가 되길 바라는데...일단 두고봐야 할 것 같습니다^^;;;;)

두번째 맥 제품은 맥북 프로 13인치입니다.

개인적으로 이 루머를 접하고 왜??라는 생각을 지울 수 없는 제품인데...

루머상으로는 새로운 디자인이 적용된 14인치 16인치와 같은 디자인이 아니라 예전부터 사골처럼 우려먹던 13인치 디자인에 M2칩을 탑제한 새로운? 보급형 맥북프로 13인치로 출시한다는 것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이제 맥북 프로 13인치는 단종되고 M2가 탑제된 새로운 디자인의 맥북에어로 대체가 되지 않을까 예상을 하고 있었는데...이 제품이 출시도리 가능성이 최근에 지속적으로 거론되고 있어 가능성이 0%는 아닌 것 같습니다.

세번째 맥 제품은 맥 미니입니다.

루머상으로 새롭게 출시되는 맥 미니는 새로운 디자인, 다양한 색상 옵션과 M2칩이 탑제가 될 것으로 예상을 하고 있으며 "프로"버전의 맥 미니 출시 가능성도 언급이 되고 있습니다.

마지막 맥 제품은 맥북 에어입니다.

제가 개인적으로 기다리고 있는 제품이며, 새로운 맥북 에어는 새로운 디자인, 다양한 색상옵션, M2칩 탑제가 될 것이라 예상을 하고 있습니다.

루머로는 어떤 맥이 발표가 될지 모르겠으나, 제 개인적으로 만약 애플이 3월 이벤트에 M2칩을 발표한다면

맥 미니와 맥북 에어/맥북 프로 13인치가 되지 않을까 예상하고 있습니다.

또한, 개인적으로는 애플이 작년 M1, M1 Pro, M1 Max로 ARM기반 칩으로도 노트북/데스크탑에 적용을 충분히 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한것에 이어 올해 M2칩으로 앞으로 성능을 발전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해야 한다고 생각을 하고 있어서 이번 발표에 애플이 어떤 제품과 가능성을 발표할지 관심있게 볼 예정입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visionTECH입니다^^

어느세 한달이 지나서 다시 월급날이 되어~제 통장에 월급이 들어온 기념으로~

자기전에 애플과 코카콜라 주식 매수 예약을 하고~자고 일어나보니 다행히 둘다 매수가 된 것을 확인했습니다^^

2022년 3월 5일 기준으로 애플 수익률은 95.15%이며, 코카콜라 수익률은 21.8%이고

애플 주식 1주당 $0.22의 배당금이 지급됨으로 분기별로 $68.2 (세전 기준)

코카콜라 주식 1주당 $0.44의 배당금이 지급됨으로 분기별로 $132 (세전 기준) 의 배당금 수령이 가능해졌습니다^^

 

현재 애플의 PER이 27.13, 배당률은 0.53%이며 코카콜라 PER이 27.81입니다~

애플의경우 은행적금보다는 낮은 배당금을 받을 수 있지만, 주주환원 정책으로 자사주 매수&소각을 감안한다면 배당금 액면가 이상의 이득을 얻을 수 있으며, 코카콜라의 경우 2%후반대의 배당금을 받을 수 있으면서 기술주와 성장주보다 변동성이 높은 현재시장에서 리스크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포트폴리오 균형을 맞추기에 안성맞춤인 종목 중 하나로 생각이 됩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visionTECH 입니다^^

오늘 퇴근하고 집에 왔는데 우편함에 한국예탁결제원에서 편지가 왔습니다.

어떤 내용인지 확인을 해봤는데 2022년 삼성전자 주주총회참석장이였습니다^^

삼성전자 주주총회는 3월 16일 오전 9시에 수원삼성전자에서 진행을 하는 것으로 나와있고

배당금은 보통주 361원 우선주는 362원으로 예정이 되어 있습니다.

주주총회 일자와 배당금 내역 외에 나머지 내용은 밑에 삼성전자 정기주주총회 안내문을 보면 될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visionTECH입니다^^

어제 저녁 미국장 시작전에 애플 주식을 $163.5에 1주 매수예약을 하고 자고 일어나보니 주문이 체결이 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

2022년 3월 1일 기준으로 애플 수익률은 98.72%이며,

애플 주식 1주당 $0.22의 배당금이 지급됨으로 분기별로 $67.76 (세전 기준)의 배당금 수령이 가능해졌습니다

^^

현재 애플의 PER이 27.45, 배당률은 0.53%이기 때문에 은행적금보다는 낮은 배당금을 받을 수 있지만, 주주환원 정책으로 자사주 매수&소각을 감안한다면 변동성이 높은 현재시장에서 리스크를 줄일 수 있는 종목 중 하나로 생각이 됩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오늘 오후 2022년 첫번째로 스타벅스로부터 배당금을 수령했습니다~^^v

현재 저는 스타벅스 160주를 보유 중이기 때문에 세금을 제외하고 분기 배당금으로 총 $66.64를 수령했습니다!!

2022년 2월 28일 기준으로 스타벅스 주가는 주당 $92.58이며, 배당금은 2.12%로 배당금이 많은편은 아니지만 매년 배당금을 지속적으로 올려주고 있고. 스타벅스에 투자한지 약 2년이 넘어서 평균 매수가가 낮고 배당금의 인상을 몇번을 경험해서 지금은 시가 배당률보다 높은 %로 배당금을 받고 있습니다^^

올해들어 스타벅스의 주가가 박살?이나면서 심적으로 많이 흔들렸었는데, 그럴때마다 배당금이 입금되는것을 보면서 다시한번 마음을 다잡고 최대한 이성적으로 판단을 하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요즘 주식시장의 하락폭이 심하여 호재에 목이 말라?있었는데 코카콜라에서 배당금 인상을 진행한다는 소식을 확인하였습니다!!

코카콜라 배당금 인상 정보 (출처: 코카콜라 홈페이지,  Dividends :: The Coca-Cola Company (KO) )

 

분기 배당금 기준으로 1주당 $0.42에서 $0.44로 약 5%정도 배당금이 인상되었으며

미국시간 기준으로 3월15일전까지 매수를 하면 4월 1일에 배당금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2022년 동안 기술주, 성장주의 하락이 심해졌지만, 코카콜라의 경우 이번년 초 대비 주가가 오히려 상승하여

제 포트폴리오에서 방어역활이 돋보이는 종목 중 하나입니다~

성장주, 기술주처럼 짧은 시간에 폭팔적인 상승을 보여주지는 않지만 장기간 동안 꾸준히 상승하면서

배당금까지 매년 인상을 하고 있어 정말 마음 편하게 보유하면서 투자의 열매를 거둘 수 있는 종목 중 하나인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요즘 한국주식이나 미국주식을 투자하시는 분들이라면 하루하루 마음고생을 하고 계시리라 생각이 됩니다.

저도 매일매일 제 자산이 깎여나가는걸 보고 있으면 매우 가슴 아프고 맨탈이 나갈 것 같지만...

그때마다 제 자신을 돌아보면서 왜 내가 투자를 하고 있는지, 어떤 기준으로 종목을 골랐으며 현재 일어나는 상황이

근본적으로 제가 투자한 회사들에 영향을 줄지를 생각하고 또 생각하고 있습니다.

단타를 치지 않는 이상 피할 수 없는 이 하락장에서 제가 할 수 있는 최선의 투자방법이 뭔지를 고민을 하던 도중

제 머리속을 스쳐지나가는 생각이 있었는데, 그것은 바로 이 기회에 최대한 절세를 하는 것입니다.

저는 대부분의 자산이 미국주식에 투자가 되어 있음으로

1년에 250만원 수익까지는 비과세지만 250만원을 넘어가는 순간 20%이상의 세금이 부과가 되지만

제가 보유하고 있는 종목 중 마이너스를 기록하는 종목이 있으면 250만원 이상 절세가 가능하기 때문에 천천히 제가 보유하고 있는 종목을 살펴보았습니다.

 
 

제 눈에 띈 종목은 최근 주가가 많이 떨어졌지만 아직 수익을 내고 있는 스타벅스와 매수한지 얼마 안된 존슨&존슨이였습니다.

미국주식의 경우 1년에 수익 250만원까지 비과세이고

약 47만원의 손해를 보고 있는 존슨&존슨을 매도하면 약 300만원까지의 수익에 대해 세금을 내지 않아도 되며

마침 스타벅스의 수익이 290만원이 조금 안되기에 이 두 종목을 매도했다가 다시 재매수하면

주식수량은 그대로이지만 내야하는 세금을 0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 스타벅스를 주당 $90.8에 160주를 매도하고, 주당 $90.5에 160주를 다시 재매수하였으며

존슨&존슨은 주당 $161에 60주를 매도하고,

주당 $159에 60주를 다시 재매수하여 기존 보유 물량은 유지하였습니다

물론 제가 더 싸게 재매수를 할 가능성이 높은 시장이지만...

전 타이밍을 재는 것 보다는 매도한 금액보다 조금더 낮게 재매수를 했다는 것에 의안을 삼고 있으며

추가로 주가가 떨어지면 다시 매도 후 재매수를 하여 비과세를 할 수 있는 금액을 최대한 확보를 할 계획입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