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테슬라의 2022년 연간 실적발표 내용을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Summary

실적자료 Summary 부분을 보면,

2022년은 테를라에 있어 또 한번 큰 발전을 한 한해였다고 언급을 하면서 시작을 하였습니다~^^

2022년 4분기에 최대 분기매출을 기록하였으며 매출은 작년대비 51%,

순이익은 GAAP기준으로 작년대비 약 2배를 기록하였습니다.

2023년을 맞아 금리인상 등의 영향이 있지만, 테슬라팀은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내비추었고

지속적으로 생산률을 증가하고 생산비용을 낮출것을 언급하였습니다.

테슬라 2022 4분기/연간 실적자료 Summary (출처:  https://tesla-cdn.thron.com/static/GZR0GS_TSLA_Q4_2022_Update_PVPJAG.pdf?xseo=&response-content-disposition=inline%3Bfilename%3D%22b7871185-dd6a-4d79-9c3b-19b497227f2a.pdf%22 )

 

재무재표

2022년 테슬라의 주가가 많이 하락을 하면서 2021년까지는 테슬라가 꿈의 주식이였다면

2022년의 하락을 거쳐서 이제 테슬라는 다른 빅테크 같이 숫자의 영역으로 들어온 것 같다고 하였습니다.

즉, 이제 테슬라는 다른 주식을 평가하는 것처럼 기대감 뿐만 아니라

냉정하게 돈을 잘버는지, 성장을 하는지 등을 보면서 투자를 해야한다고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테슬라의 2022년 연간 매출액은 전년동기대비 51% 증가한 814억 6200만달러를 기록하였고,

영업이익은 109% 증가한 136억 600만달러를 기록하였고,

주당순이익(EPS)는 2.26달러를 기록하였으며,

2021년 대비 환경규제크레딧(Regulatory Credits)이 21% 증가하였습니다.

2021년 대비 테슬라의 전기차 판매 수익은 714억 6200만달러를 기록하였는데

이는 전년대비 51% 증가한 수치로 다시 한번 미친듯한 성장을 뽑아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테슬라 2022년 연간 실적 (출처:  https://tesla-cdn.thron.com/static/GZR0GS_TSLA_Q4_2022_Update_PVPJAG.pdf?xseo=&response-content-disposition=inline%3Bfilename%3D%22b7871185-dd6a-4d79-9c3b-19b497227f2a.pdf%22 )

 

생산/판매량, 기가팩토리 상황

​2022년 테슬라 전기차 생산수치을 보면

고가라인인 모델 S와 모델 X의 생산량은 전년동기 192%가 늘어난 71,177대이며

판매량은 167%가 늘은 66,705대이며

모델 3와 모델 Y의 전기차 생산량은 43%늘어난 1,298,434대를 생산하였고,

판매량은 37% 늘어난 1,247,146대를 판매하여 100만대를 가뿐하게 넘은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또한, 에너지 부분에서는 Storage부분이 전년대비로는 64% 증가한 6,541MWh를 기록하였고

Supercharger Stations과 Connector은 전년대비 각각 35%씩 늘어나는 등 전반적으로 성장하였습니다.

물론, 테슬라가 목표했던 전기차 판매량 50% 증가 목표는 아쉽게도 달성을 하지 못했지만

타 기업의 성장속도와 비교하면 아직도 엄청나게 성장을 하고 있는 기업임은 틀림이 없습니다.

테슬라 2022년 Operational 내역 (출처: https://tesla-cdn.thron.com/static/GZR0GS_TSLA_Q4_2022_Update_PVPJAG.pdf?xseo=&response-content-disposition=inline%3Bfilename%3D%22b7871185-dd6a-4d79-9c3b-19b497227f2a.pdf%22 )

 

2022년 말 기준, 테슬라의 생산케파는 190만대 이상으로

약 200만대를 만들수 있는 생산 시스템은 만든 듯 하지만,

생산량에 비해 판매량이 떨어지고 있는 부분이 어떻게 영향이 미칠지는 지켜봐야 하는 부분인 것 같습니다.

테슬라도 이러한 부분 때문인지 (물론 IRA나 다른 요소도 있겠지만) 테슬라 차량의 가격을 대폭 낮추는 등

판매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는것 같고

2023년에도 50% 성장을 목표로 설정을 하여 약 200만대를 생산하고 판매하는 실적을 보여줘야

주가가 올라갈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테슬라 기가팩토리 생산량 (출처:  https://tesla-cdn.thron.com/static/GZR0GS_TSLA_Q4_2022_Update_PVPJAG.pdf?xseo=&response-content-disposition=inline%3Bfilename%3D%22b7871185-dd6a-4d79-9c3b-19b497227f2a.pdf%22 )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테슬라의 2021년 3분기 실적발표 내용을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출처: https://tesla-cdn.thron.com/static/TWPKBV_TSLA_Q3_2021_Quarterly_Update_SI1AKE.pdf?xseo=&response-content-disposition=inline%3Bfilename%3D%22TSLA-Q3-2021-Quarterly-Update.pdf%22)

Summary

 

실적자료 Summary 부분을 보면, 2021년 3분기는 당기순이익, 영업이익, 매출총이익, 이익률 등 여러가지 측면에서 기록을 세웠다고 언급하였습니다~^^

전기차 수요는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 가운데 미국 fremont 공장, 중국 상하이 기가팩토리, 미국 택사스와 독일 베들린 기가팩토리에서 생산량을 늘리고 있지만

반도체 쇼티지, 물류대란, 지속적인 정전 등의 이유로 생산에 차질이 있다고 밝혔지만 테슬라에서는 최선을 다해서 대응을 하고 있다고 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전기차 생산량을 늘리고 판매를 하는 테슬라가 대단하다고 생각됩니다)

테슬라 실적자료 Summary (출처:  https://tesla-cdn.thron.com/static/TWPKBV_TSLA_Q3_2021_Quarterly_Update_SI1AKE.pdf?xseo=&response-content-disposition=inline%3Bfilename%3D%22TSLA-Q3-2021-Quarterly-Update.pdf%22 )​

 

재무재표

 

테슬라의 2021년 3분기 매출액은 전년동기대비 57% 증가한 137억 5700만달러를 기록하였고, 영업이익은 148% 증가한 20억 400만달러를 기록하였고, 주당순이익(EPS)는 1.86달러를 기록하였으며, 2021년 2분기에이어 환경규제크레딧(Regulatory Credits)이 지난해 동기대비 -30% 감소하였습니다.

환경규제크레딧이 감소함에도 이익이 증가한다는 것은 테슬라가 이제 안정적으로 전기차 판매만으로 순이익을 낼 수 있는 뜻으로 저는 긍정적으로 보고 있습니다^^

테슬라 3분기 실적 (출처:  https://tesla-cdn.thron.com/static/TWPKBV_TSLA_Q3_2021_Quarterly_Update_SI1AKE.pdf?xseo=&response-content-disposition=inline%3Bfilename%3D%22TSLA-Q3-2021-Quarterly-Update.pdf%22 )

 

테슬라 분기 순이익 (출처: https://tesla-cdn.thron.com/static/TWPKBV_TSLA_Q3_2021_Quarterly_Update_SI1AKE.pdf?xseo=&response-content-disposition=inline%3Bfilename%3D%22TSLA-Q3-2021-Quarterly-Update.pdf%22)​

생산/판매량, 기가팩토리 상황

 

2021년 1분기 실적발표 글을 작성하였을때 개인적으로 테슬라의 미친 PER를 유지하려면 2021년에 전기차 판매량이 100만대 정도는 되야 하는 것으로 생각을 하고 있다고 언급을 하였는데...

올해 3분기까지 판매량 추이를 보았을 때 100만대 생산/판매는 힘들 것 같지만 85만대 정도는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예상을 하고 있습니다.

테슬라는 1분기가 비수기이며 18만대의 판매량을 기록하였지만 2분기에는 20만대, 3분기는 23만대의 판매량을 기록하였고 이 트렌드가 지속된다면 4분기에는 25만대 정도?를 판매하지 않을까 희망하고 있습니다^^a;;;;

 

테슬라 전기차 생산수치을 보면

고가라인인 모델 S와 모델 X의 생산량은 전년동기 47%가 줄어든? 8941대이며 판매량은 39%가 줄은 9289대이며

모델 3와 모델 Y의 생산량은 전년동기 79% 증가하였고 판매량은 87%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즉, 테슬라는 2021년 1,2,분기에 비해 고가라인의 모델 S/X 생산을 늘리고 있지만 중저가 라인의 전기차 생산/판매에 집중을 더 하였습니다.

또한, 에너지 부분에서는 Storage부분이 전년동기 71% 증가한 1,295MWh를 기록하였습니다.

테슬라 2021년 3분기 Operation 내역 (출처:  https://tesla-cdn.thron.com/static/TWPKBV_TSLA_Q3_2021_Quarterly_Update_SI1AKE.pdf?xseo=&response-content-disposition=inline%3Bfilename%3D%22TSLA-Q3-2021-Quarterly-Update.pdf%22 )

 

2021년 2분기와 마찬가지로 3분기에 테슬라의 생산케파는 105만대 이상으로 100만대를 만들수 있는 시스템은 만든 듯 하지만 앞서 테슬라가 언급을 하였듯이 반도체 쇼티지, 부품 수급, 지속적인 정전(중국을 의미하는 것 같습니다), 경쟁회사 전기차 판매 등의 변수가 있는 상황입니다.

또한, 생산량 추이를 보면 우상향이지만 생산량 증가폭은 둔화된 듯이 보이는데...단기적으로는 베들린 기가팩토리나 텍사스 기가팩토리에서 생산이 시작되지 않는 이상 퀀텀점프를 보기는 힘들 것 같습니다.

테슬라 생산 케파 (출처:  https://tesla-cdn.thron.com/static/TWPKBV_TSLA_Q3_2021_Quarterly_Update_SI1AKE.pdf?xseo=&response-content-disposition=inline%3Bfilename%3D%22TSLA-Q3-2021-Quarterly-Update.pdf%22 )

 

테슬라 분기 생산량 (출처:  https://tesla-cdn.thron.com/static/TWPKBV_TSLA_Q3_2021_Quarterly_Update_SI1AKE.pdf?xseo=&response-content-disposition=inline%3Bfilename%3D%22TSLA-Q3-2021-Quarterly-Update.pdf%22 )

 

미국 텍사스 공장 건설 진행상황인 경우, 2020년 3분기에는 땅에 기초공사, 2020년 4분기에는 공장건설, 그리고 2021년 1분기, 2분기 그리고 3분기에 이어 지속적으로 기가팩토리 건물이 지어지고 있는 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

(확실히 전분기 대비해서 공장건설 진행이 많이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잘하면 올해안에 가동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미국 텍사스 기가팩토리 건설 비교 (2021년 1분기(왼) vs 2021년 2분기(오) vs 2021년 3분기(밑)

베들린 기가팩토리의 경우, 외관은 2021년 3분기 기준으로 완성이 된 것으로 보이며 county fair를 개최하고 올해안에 가동 목표가 있음을 언급할 정도로 생산까지 정말 얼마 남지 않은것 같습니다.

 

독일 베들린 기가팩토리 건설 비교 (2021년 1분기(왼) vs 2021년 2분기(오) vs 2021년 분기(밑))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visionTECH입니다^^

오늘은 공휴일이여서 어느때 처럼 카페에서 할일을 하면서 뉴스를 보던 중 테슬라의 독일 기가팩토리 소식을 확인하여 여러분께 공유해 드리고자 합니다^^

https://www.reuters.com/business/autos-transportation/teslas-brandenburg-factory-becomes-festival-site-giga-fest-2021-10-09/

 

First Berlin Teslas could come next month, Musk tells fans

The first cars to emerge from Tesla's new Berlin factory should roll off the production line as early as next month, CEO Elon Musk said at the site of the plant on Saturday, but added that volume production would take much longer to achieve.

www.reuters.com

 

저는 해당 소식을 Reuters.com에서 확인을 하였는데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는 빠르면 올해 11월 혹은 12월부터 독일 배들린 기가팩토리에서 생산을 시작할 수 있을 것이라 밝혔습니다.

또한, 예상 전기차 생산량은 1주당 5,000대 혹은 희망적으로는 10,000대임을 밝혔지만

테슬라가 예상하는 최대치 생산량을 이루는 시기는 기가팩토리 건설에 걸린 시간보다 오래 걸릴 것이라고 예상하였습니다.

현재 독일 배들린 기가팩토리의 걸림돌은 환경단체과 인근 주민의 반대인데

테슬라는 기가팩토리 건설 때문에 없어진 나무보다 더 많은 나무를 심을 것이고 최소한의 물을 사용하겠다고 하며 협상을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저를 포함한 테슬라의 주주분들이라면 아마 주로 보는 데이터 중 하나가 전기차 생산량일거 같은데

기존 기가팩토리의 생산량과 이번 독일의 기가팩토리 생산시점과 생산량을 점검해서 테슬라의 총 생산량을 확인하면서 투자를 해나가시면 될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테슬라의 2021년 2분기 실적발표 내용을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출처: https://tesla-cdn.thron.com/static/ZBOUYO_TSLA_Q2_2021_Update_DJCVNJ.pdf?xseo=&response-content-disposition=inline%3Bfilename%3D%22q2_2021.pdf%22)

Summary

실적자료 Summary 부분을 보면, 2021년 2분기에 20만대 이상의 전기차를 생산하고 판매를 했다고 언급을 하였으며 11%의 영업이익률을 달성하였고 테슬라가 설립된 이래 처음으로 단기순이익(GAAP)이 10억달러를 넘었다고 했습니다~^^

테슬라는 공급망의 어려움이 아직 있으며 부품 공급망이 올해 전기차 생산에 많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하였습니다. (이 부분은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을 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마지막으로 전 세계에 있는 테슬라 차량으로부터 얻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2021년 2분기에 Tesla Vision을 출시하였으며 완전자율주행의 경우 상당히 어려운 일이지만 데이터양, 실 주행데이터셋 그리고 AI를 포함하여 3가지 요소로 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하였습니다.

테슬라 실적자료 Summary (출처: https://tesla-cdn.thron.com/static/ZBOUYO_TSLA_Q2_2021_Update_DJCVNJ.pdf?xseo=&response-content-disposition=inline%3Bfilename%3D%22q2_2021.pdf%22 )

 

재무재표

테슬라의 2021년 2분기 매출액은 전년동기대비 98% 증가한 119억 5800만달러를 기록하였고, 영업이익은 301% 증가한 13억 1200만달러를 기록하였고, 주당순이익(EPS)는 1.45달러를 기록하였으며, 2021년 1분기와는 다르게 환경규제크레딧(Regulatory Credits)이 지난해 동기대비 17% 감소하였습니다.

테슬라 분기실적 (출처:https://tesla-cdn.thron.com/static/ZBOUYO_TSLA_Q2_2021_Update_DJCVNJ.pdf?xseo=&response-content-disposition=inline%3Bfilename%3D%22q2_2021.pdf%22)

테슬라 분기 순이익 (출처:https://tesla-cdn.thron.com/static/ZBOUYO_TSLA_Q2_2021_Update_DJCVNJ.pdf?xseo=&response-content-disposition=inline%3Bfilename%3D%22q2_2021.pdf%22)

생산/판매량, 기가팩토리 상황

2021년 1분기 실적발표 글을 작성하였을때 개인적으로 테슬라의 미친 PER를 유지하려면 2021년에 전기차 판매량이 100만대 정도는 되야 하는 것으로 생각을 하고 있다고 언급을 하였는데...

올해 상황으로 미루어보았을 때 100만대 생산/판매는 힘들 것 같지만 85만대 정도는 가능할 것으로 예상을 하고 있습니다.

테슬라는 1분기가 비수기이며 18만대의 판매량을 기록하였지만 2분기에는 20만내의 판매량을 기록하였고 이 트렌드가 지속된다면 3분기에는 22만대 정도?를 판매하지 않을까 희망하고 있습니다^^a;;;;

테슬라 전기차 생산수치을 보면

고가라인인 모델 S와 모델 X의 생산량은 전년동기 63%가 줄어든? 2340대이며 (1분기때 안만들다가 2분기에 생산을 다시 진행) 판매량은 82% 줄은 1895대이며

모델 3와 모델 Y의 생산량은 전년동기 169% 증가하였고 판매량은 148%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즉, 테슬라는 고가라인보다 중저가 라인의 전기차 생산/판매에 집중을 하였고, 그 결과 어마어마한 생산/판매량 증가를 기록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에너지 부분에서는 Storage부분이 전년동기 204% 증가한 1,274MWh를 기록하였습니다.

테슬라 Operation 내역 (출처:  https://tesla-cdn.thron.com/static/ZBOUYO_TSLA_Q2_2021_Update_DJCVNJ.pdf?xseo=&response-content-disposition=inline%3Bfilename%3D%22q2_2021.pdf%22 )

 

2021년 2분기 기준으로 테슬라의 생산케파는 105만대 이상으로 100만대를 만들수 있는 시스템은 만든 듯 하지만 부품 수급, 미중무역 갈등, 경쟁회사 전기차 판매 등의 변수가 있는 상황입니다.

(중국 판매 비중이 유럽판매비중을 추월한 것이 단기적으로는 좋게 보이지만 미중무역 갈등의 영향에 따라 단점으로 바뀔 가능성이 높은 것 같습니다)

또한, 생산량 추이를 보면 우상향이지만 생산량 증가폭은 둔화된 듯이 보이는데...단기적으로는 베들린 기가팩토리나 텍사스 기가팩토리에서 생산이 시작되지 않는 이상 퀀텀점프를 보기는 힘들 것 같습니다.

테슬라 생산 케파 (출처:  https://tesla-cdn.thron.com/static/ZBOUYO_TSLA_Q2_2021_Update_DJCVNJ.pdf?xseo=&response-content-disposition=inline%3Bfilename%3D%22q2_2021.pdf%22 )

 

테슬라 생산량 (출처: https://tesla-cdn.thron.com/static/ZBOUYO_TSLA_Q2_2021_Update_DJCVNJ.pdf?xseo=&response-content-disposition=inline%3Bfilename%3D%22q2_2021.pdf%22 )

 

미국 텍사스 공장 건설 진행상황인 경우, 2020년 3분기에는 땅에 기초공사, 2020년 4분기에는 공장건설, 그리고 2021년 1분기에 이어 2분기에도 지속적으로 기가팩토리 건물이 지어지고 있는 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

(확실히 전분기 대비해서 공장건설 진행이 많이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지만 여전히 공장이 완료 되려면 시간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미국 텍사스 기가팩토리 건설 비교 (2021년 1분기 vs 2021년 2분기)

 

베들린 기가팩토리의 경우, 외관은 2021년 1분기 대비 큰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이지만

내부에 생산장비를 집중적으로 설치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독일 베들린 기가팩토리 건설 비교 (2021년 1분기(위) vs 2021년 2분기(아래))

 

독일 베들린 기가팩토리 내부사진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저세상 주식으로 유명한 테슬라가 과연 고평가인지, 투자를 해도 괜찮을지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본 주제를 다루기 전에 저는 주식 전문가가 아니며 해당 내용은 제 주관적 의견이 많이 포함이 되어 있음으로 맹목적으로 제 글을 믿고 투자하시면 안되며, 이런 생각을 하고 있는 사람이 있구나 정도로 참고만 하셨으면 합니다.

(제 짧은 소견으로 투자할 때 남의 말을 듣고 투자하기 보다는 참고를 하되 면밀하게 공부를 해서 최종적으로 본인의 기준을 세워서 투자하는 것이 좋은 것 같습니다)

일단 개인적인 생각으로 주식투자를 하시는 분들이라면 알고 계실 PER, ROE, PBR, 시가총액 같은 기준으로 놓고 본다면 100% 고평가인 것은 맞는 것 같습니다.

 

시가총액


현재 테슬라의 시가총액은 2020년 8원 17일 기준으로 약 321조원으로 자동차 기업 중에서는 1등이며, 우리나라 1등기업인 삼성전자의 시가총액이 346조원인 것을 감안하면 거의 비슷한 평가를 시장에서 받고 있습니다. 

자동차 기업 시가총액 순위 (출처: 미스터 캡,  http://www.mrktcap.com/car.html )

 

 

PER(P/E) (Price Earning Ratio)


PER는 Price Earning Ratio의 약자로 주가수익비율을 뜻하며 현재 시가총액을 주당순이익을 나눈 수치입니다.

시가총액이 낮거나 기업 순이익이 늘어나면 저절로 PER숫자가 적어지게 됨으로 PER가 낮으면 저평가, 높으면 고평가로 분류를 많이 하며, 단순히 숫자만 가지고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지수 혹은 동일업종 PER과 상대 비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동차 기업 중 1등의 시가총액을 자랑하는 테슬라의 멀티플 즉 PER(P/E)의 경우 무려 854로 정말 꿈과 희망을 적극적으로 번영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참고로 미국 우량기업 500개를 모은 지수인 S&P500의 평균 PER(P/E)는 13~15이며, 테슬라가 속해 있는 나스닥의 평균 PER(P/E)는 약 23, 같은 자동차 기업 시가총액 2위인 도요타의 PER(P/E)는 8.21인 것을 감안하면 정말 고평가중에서도 고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테슬라 기업정보 (출처: 애플 주식 어플)
도요타 기업정보 (출처: 애플 주식 어플)

 

 

ROE (Return on Equity)


ROE는 Return on Equity의 약자로 자기자본이익률을 뜻합니다.

자기자본에 비해 몇%의 이익을 내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간단하게 10억원의 자본으로 사업을 해서 1억의 이익을 발생하였다면 ROE는 10%가 됩니다.

즉, PER과는 달리 ROE는 높으면 높을수록 기업이 이익을 많이 내는 것으로 당연히 높은 ROE를 가지고 있는 기업은 돈을 잘번다는 뜻입니다.

2020년 2분기 기준으로 테슬라 ROE는 4.28%이지만 이전까지 꾸준히 ROE가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을 보면 이제 막 흑자가 났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테슬라 ROE 히스토리 (출처: MicroTrends,  https://www.macrotrends.net/stocks/charts/TSLA/tesla/roe )

 

반면, 자동차 기업 시가총액 2위인 도요타의 경우 꾸준하게 10%정도의 ROE를 유지해온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물론 최근 코로나 사태로 2020년 2분기의 ROE는 7.41%를 기록하였습니다)

도요타 ROE 히스토리 (출처: MicroTrends,  https://www.macrotrends.net/stocks/charts/TM/toyota/roe )

 

단순히 도요타와 비교해도 테슬라는 역사적?으로 안정적인 ROE를 아직까지 시장에 증명을 하지 못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최근 흑자로 돌아섰지만 ROE 4.28%로 높은 ROE가 아직 아닌 것을 알 수 있습니다.

 

PBR (Price Book Value Ratio)


 

PBR은 Price Book Value Ratio의 약자로 주가순자산을 뜻합니다.

현재 주가를 주당 순자산을 나눈 수치로 순자산에 비해 주가가 몇배로 거래가 되는지를 알 수 있는 수치로 PBR이 1이면 회사를 정리하였을때 현재 거래되고 있는 가격이 나온다는 뜻입니다.

즉, PBR이 1을 넘어가면 회사의 순자산에 비해 가격이 비싸게 거래가 되고 있다는 뜻이며 1 이하면 순자산에 비해 낮은 가격으로 거래가 되고 있다는 뜻입니다.

당연히 시가총액이 커질수록 PBR이 높아짐으로 PBR이 높으면 고평가, 낮으면 저평가로 판단을 할 수 있습니다.

현재 테슬라의 PBR은 31.2로 도요타의 PBR 1에 비해 수치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테슬라, 도요타 PBR (출처: 아이투자,  http://us.itooza.com/stocks/summary/TSLA ,  http://us.itooza.com/stocks/summary/TM )

 

 

테슬라는 고평가인가? 왜 이렇게 가격이 높을까?


 

테슬라 1년 주가 (출처: 애플 주식 어플)

 

테슬라가 타 자동차 기업처럼 단순히 자동차 제조기업이라면 현재 주가는 버블이며 말도 안되는 가치로 거래가 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글을 보고 계시는 분들이라면 당연히 테슬라가 자동차 제조회사 뿐만 아니라 자율주행, 로보택시(공유택시), 스페이스X의 Starlink Project, 미국 텍사스에 건설되고 있는 테라팩토리, 배터리 사업(100만 마일 베터리) 등의 가치와 기대가 반영이 된 주가인 것을 알고 계실겁니다.

한마디로, 현재 주가 상승을 이끈 이슈들이 어느정도 현실로 만들어 지지 않는다면 주가폭락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는 것입니다.

여기까지는 많은 분들이 예상을 하고 생각을 하시고 계실 것이라 생각이 되는데요...

그럼 최악의 상황?을 가정해서 테슬라가 진행하고 있는 사업 중 현실 가능성이 높은 부분과 전기 자동차 생산업체로만 평가를 받으면서 현재 주가를 유지하려면 어떻게 되야 할까요???

 

 

테슬라가 현재 주가를 유지하려면 어느정도 Performance를 보여야 할까???


 

다시 한번 말씀드리지만...저는 주식 전문가가 아니며 이건 순전히 저의 개인적인 의견임을 감안하고 봐주셨으면 합니다. 

(당연히 제가 틀린 부분이 있을 수 있으며, 예상을 단순화 하기 위해 테슬라가 진행하고 있는 다른 분야의 사업(베터리, Powertrain, Energy 등)을 제외하였으니 부족한 부분을 댓글로 알려주시면 공부하고 변영하도록 하겠습니다^^a;;;;;)

제 생각으로 테슬라가 현재까지 보여준 영역에서 사업화 가능성이 높은 혹은 하고 있는 분야는 

1. 전기차 생산/판매

2. (보조)자율주행 N.O.A

3. 스페이스X Starlink Project

으로 중국의 기가팩토리 이후 미국 텍사스에 테라팩토리 건설, 유럽의 베들린 기가팩토리 등 전기 자동차 생산과 판매는 하고 있으며 

완벽한 자율주행이 아니지만 지속적인 업데이트로 N.O.A가 발전하고 호평을 받고 있으며 

인공위성을 뿌려서 인터넷을 연결하는 스페이스X의 Starlink Project는 현재 배타테스트 진행으로 성공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에니웨이~

앞서 다룬 PER, ROE, PBR로 생각을 해보면 궁극적으로 테슬라의 "순이익"이 늘어야 모든 수치가 정상?으로 돌아옵니다.

PER = 주가 / 순이익 -> 주가는 고정임으로 순이익이 증가해야 PER이 낮아집니다

ROE = (순이익 / 자기자본) X 100 -> 순이익이 증가해야 ROE가 커집니다

PBR = 주가 / 순자산 -> 순자산은 부채를 제외한 나머지, 즉 자본금, 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 등의 합계로 이익을 내야 순자산이 늘어납니다

좀 뜬금없지만...테슬라가 고평가되고 있는 이유 중 하나가 제조기업이 아닌 플랫폼 기업의 가치가 더해졌기 때문에 플랫폼 기업의 대표? 중 하나인 애플정도로 맞춰진다는 가정을 해보면, 애플의 PER은 약 35이기 때문에 현재 테슬라의 PER인 854가 35정도로 내려가기 위해서는 지금보다 순이익을 약 25배 정도로 늘려야 합니다....

단순 무식?하게 계산을 해보면 테슬라가 현재 시가총액을 유지하고 애플의 PER정도로 평가를 받기 위해서는 지금 판매하고 있는 전기 자동차 수를 25배로 늘려야 함으로 이것이 가능한지 현재 테슬라가 생산하고 있는 현황과 계획을 보겠습니다.

테슬라 전기차 생산 현황 (출처: 테슬라 2020년 2분기 실적 리포트,  https://ir.tesla.com/static-files/f41f4254-f1cc-4929-a0b6-6623b00475a6 )

 

2020년 2분기 기준으로 테슬라가 가동하고 있는 공장은 미국의 Fremont와 중국의 상하이에 있으며, 모델 S, X, 3, Y를 대략 70만대를 생산할 수 있음으로 70만대를 25로 곱하면 연간 테슬라는 1750만대를 생산하고 전부 판매를 해야합니다;;;

 

자동차 시가총액 2위인 도요타의 연간 판매량이 약 1000만대인 것을 감안하면...

수요가 받쳐주고 자동차 시장이 전기차 시장으로 넘어간다면 가능은 할 것 같은데...

일단 1750만대를 만들수나 있는지 예상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테슬라가 짓고있는 공장에서 얼마나 많은 자동차를 생산할 수 있는지 자료를 찾지 못해서 2020년 2분기 자료를 바탕으로 대략적으로 예상을 해보면 각 모델당 생산량은 다음과 같습니다.

(각 모델 당 생산량은 제가 확인한 정보를 바탕으로 순전히 예상을 한 것으로 정확하지 않습니다)

 

모델 S/X: 공장 당 연간 90,000대 생산

모델 3: 공장 당 연간 250,000대 생산 (2분기 리포트 끝에 2020년까지 모델3/Y 생산량을 500,000대를 넘을 것이라는 문구가 있어 절반씩 반영했습니다)

모델 Y: 공장 당 연간 250,000대 생산 (2분기 리포트 끝에 2020년까지 모델3/Y 생산량을 500,000대를 넘을 것이라는 문구가 있어 절반씩 반영했습니다)

Cybertruck/ Tesla Semi/ Roadster: 공장 당 연간 45,000대 생산 (각 모델 기준이며 고가 모델인 S와X의 생산량을 2로 나누어서 적용했습니다)

 

제 허접한 예상 생산량을 기준으로 2020년 2분기 테슬라 생산표에 기입을 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Installed Annual Capacity

Current

Status

Fremont

Model S / Model X

90,000

Production

 

Model 3 / Model Y

500,000

Production

Shanghai

Model 3

250,000

Production

 

Model Y

250,000

Construction -> Production

Berlin

Model 3

250,000

In development -> Production

 

Model Y

250,000

Construction -> Production

New US factory

Model Y

250,000

In development -> Production

 

Cybertruck

45,000

In development -> Production

United State

Tesla Semi

45,000

In development -> Production

 

Roadster

45,000

In development -> Production

Total

1,975,000

 

 

정확하진 않지만, 2020년 2분기 자료에 나와있는 모든 테슬라 공장이 완성되고 현재 생산량 정도를 유지하며 생산을 하면 연간 약 200만대 정도로 1750만대를 생산하려면 현재보다 약 8~9배 정도 생산량을 늘려야 합니다.

이 때문인지...테슬라는 기존 베터리 생산량의 약 20배를 생산할 수 있다는 테라팩토리를 건설하겠다고 발표를 하였지만 배터리를 제외하고 어떤 테슬라 차량 모델이 생산이 되는지 파악은 못했지만 배터리와 함께 테슬라 전기차 생산을 같이 병행한다면 생산량 증가에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아무튼~

현재 테슬라의 생산량을 유추해 보았을 때 전기차 생산량을 폭팔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기가팩토리 혹은 테라 팩토리 건설이 필수이며 차량판매로 현재 주가수준을 맞추려면 지금보다 약 25배정도 생산량/판매량을 증가시켜야 합니다.

(물론 테슬라가 자율주행 소프트웨어를 타 회사에 판매를 하거나, 자율주행/로보택시 같은 기술상용화에 성공을 하면 완전 다른 계산을 해야 합니다)

당연히 제가 예상한 수치를 기반으로 계산을 했기 때문에 정확하지 않고, PER/ROE/PBR 수치에 따라 주가가 100% 움직이지 않으며 테슬라가 생산 최적화를 통해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도 있지만...

막연히 전세계 유동성이 증가하고 있고, S&P500 지수에 편입될 가능성, 8월말 액면분할 이슈, 완전 자율주행, 로보택시 등의 요소로 앞으로 잘되겠지?라는 생각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부족하더라도 여러가지 시나리오를 생각하고 계산을 해서 투자를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아 제 의견을 적어보았습니다.

(많은 부분이 미흡하여 부끄럽긴 합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