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오늘 저녁 열심히 일을 하다가 오늘 발표될 예정인 CPI와 근원CPI을 확인하고자 인터넷을 검색하였는데...

미국장 지수는 박살이 나있는 것을 확인하여 본능적으로 뭔가 문제가 있겠구나...생각이 들어 찾아보니 소비자물가지수(CPI)와 근원CPI지수가 예상보다 더 높게 발표가 된 영향인 것 같습니다.

출처: investion.com ( https://kr.investing.com/economic-calendar/cpi-733 )

 

최근 소비자물가지수가 하락추세로 예상을 한 매체가 많았고 이번 CPI지수를 7.9~8.1%정도로 예상을 했는데...

막상 오늘 발표된 지수는 8.3%로 곧 다가올 FOMC에 최소 0.75% 혹은 1% 금리인상을 예상해서인지 미국 3대지수는 장이 시작하기 전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3%정도의 엄청난 하락을 하고 있으며....원달러 환율은 1390원을 찍었습니다;;;

달러가치가 상승할 것이라 예상을 하여 2일전 제가 가지고 있는 원화를 전부 달러로 환전을 했었는데...

솔직히 이런 상황이 펼쳐질줄은 상상도 못했습니다...

이제 약 10분후면 본장이 시작되는데...마음속으로는 제발 손해를 장중에 매꿔지기를 바라고 있습니다ㅠㅜ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visionTECH 입니다^^

모두 추석을 맞아 연휴동안 가족과 함께 즐거운 시간을 보내시길 바랍니다~

저는 어제하루 가족과 시간을 보내고 추석 연휴동안 출근을 해서 열심히 일을 하고 있습니다^^;;;;

아무튼~연휴가 시작되기 전에 저에게 단기 현금이 생겨서 추석기간동안 이 돈을 어떻게 관리를 해야할지 행복한? 고민을 하면서 열심히 일을 하고 있었습니다.

처음에는 삼성전자우를 매수를 하려고 검토를 하였는데...곰곰히 고민을 한 끝에 주식에 투자하지 않고 현금으로 보유를 하기로 결정을 하였고, 원화보다는 달러를 보유하고 있는 것이 좋을 것 같아 조금씩 모아돈 돈과 이번에 단기성으로 들어온 원화를 전부 달러로 환전하였습니다.

미국, 유럽, 우리나라의 금리인상 시나리오, 우리나라 기업상황 그리고 세계상황을 고려하였을 때 현재 1383원의 환율이 역사적으로 빠르고 가파르게 올라갔기 때문에 환차손을 볼 확률도 있으나, 현재 제 생각으로는 적어도 내년 초까지는 환율이 내려갈 확률보다는 유지 혹은 올라갈 확률이 더 높은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는 환율이 1450원에 가까워지면 다시 원화로 환전을 할 생각이고, 만약 상황이 바뀌어서 환율이 내려가는 상황이 나오면, 미국주식을 매수하여 배당과 시세차익으로 환율손해 폭을 줄일 예정입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