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애플 실리콘 M1이 탑제된 맥북에어/맥북프로/맥미니가 소비자에게 배송이 되면서 밝혀지는 M1칩의 구체적인 성능에 대해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애플이 M1성능을 소개할 때 정확하게 비교대상이 무엇인지, 그래프에서 x,y축이 어떻게 되는지 등을 밝히지 않은 상태에서 성능차이를 언급했었습니다.

그래서 정확한 CPU, GPU 성능이 어떤지, 기존 인텔/AMD 기반의 X86 소프트웨어를 Rosetta 2로 구동을 하면 성능이 어떻게 되는지 저마다 생각과 예상을 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던 와중 드디어 M1이 탑제된 맥 컴퓨터를 받은 사람들이 테스트한 결과를 온라인에 공유를 하기 시작했고 

현재까지 결과들을 보면 제 예상보다 상당히 희망적인 느낌을 받았습니다.

일단 CPU성능을 보면 Rosetta 2 환경이 아닌 상태에서 맥북에어/맥북프로/맥미니의 성능은 2020년에 출시한 27인치 아이맥에 탑제된 10세대 i9보다 뛰어난 성능을 지닌 것으로 나왔으며

심지어 맥북에어와 Rosetta 2로 구동하였을때도 2020년 27인치 아이맥보다 성능이 좋은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이번 테스트 결과로 유출해보면 Rosetta 2는 인텔기반 소프트웨어를 ARM기반에 돌릴 수 있게 해주는 일종의 translate 기능으로 성능손해는 약 20% 정도지만, 워낙 M1성능이 뛰어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기존에 출시된 맥과 비교하여 뛰어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M1 CPU 밴치마크 성능 (출처: MacRumor)

 

M1 GPU의 경우 “내장그래픽”임에도 불구하고 데스크탑에 탑제되는 GeForce GTX 1050Ti와 radeon RX 560와 비교해서 더 뛰어난 성능을 가진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몇몇 분들은 비교 대상인 GTX 1050Ti/RX560이 오래된 그래픽 카드이기 때문이지 않나 생각하실 수도 있지만 

GTX 1050Ti/RX560는 그래픽카드 자체의 소비전력이 약 75W이지만

이번에 M1이 탑제되고 별도의 쿨링팬이 없는 맥북에어의 전체 소비전력이 30W 정도임을 감안하면 확실히 뛰어난 성능인 것은 확실한 것 같습니다.

M1 GPU 성능 (출처: 9to5mac,  https://9to5mac.com/2020/11/16/apples-m1-chip-outperforms-geforce-gtx-1050-ti-in-graphics-benchmark/ )

 

앞으로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많은 테스트 결과가 공유가 되면서 더욱더 구체적으로 M1이 탑제된 맥 컴퓨터들의 성능과 소프트웨어 호환을 알 수 있겠으며 개인적으로 맥 OS에 윈도우10을 구동하는 Parallels 지원여부와 성능결과가 어떻게 될지 지켜보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애플에서 발표한 애플 실리콘 "M1"에 대해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초간단하게 애플의 첫번째 애플 실리콘 M1에 대해 말씀드리자면

 

기존의 인텔과 AMD은 X86 기반의 칩으로 기존의 데스크탑과 노트북 등에 적용되어 사용하던 칩인 방면

애플 실리콘 M1은 핸드폰, 테블릿에 적용된 ARM기반의 칩으로 전력대비 성능이 뛰어난 장점이 있습니다.

 

M1칩은 기존 아이폰/아이패드 등에 적용된 A14기반의 칩이며 5nm공정으로 제작된 칩입니다.

A14기반의 칩이기에 ARM기반의 칩이지만 애플 노트북/데스크탑에 맞춰서 개발된 칩으로 

흥미로운 점은 애플이 CPU, GPU 뿐만 아니라 I/O, Nueral Engine 그리고 심지어 램(DRAM)까지 한 칩으로 통합해서 전력대비 성능을 극한으로 끌어 올어렸다는 것 입니다.

(소비자 입장에서 안좋은 점은 10000%확률로 자가 램 업그레이드는 불가능합니다...ㅠㅜ)

기존 컴퓨터 부품 배치 (왼) vs 애플 M1 구성 (출처: 애플 공식 홈페이지)

 

M1칩의 CPU 구성은 총 8코어로 이루어져 있으며, 고성능 4 코어와 저전력 4 코어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사용하는 환경에 따라 자동으로 최적의 CPU칩 구동방식을 선택해서 최저 전력으로 최고 성능을 이끌어 내는데 이 방식은 현재 플레그십 스마트폰에도 적용이 되고 있습니다.

 

M1 CPU 구성 (출처: 애플 홈페이지)

 

M1칩의 GPU 구성은 총 8코어로 애플에 의하면 현재 노트북에 적용된 그 어떠한 내장 그래픽(외장 그래픽이 아닙니다)보다 성능이 뛰어나다고 합니다.

또한, Maching Learning같은 작업에 필요한 Neural Engine이 16코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M1 GPU, Neural Engine 구성 (출처: 애플 홈페이지)

 

자~ 그러면 M1의 성능은 어떻게 될까요?

애플 11월 발표를 살펴보면 애플이 성능 비교차트를 보여줄때 구체적으로 비교대상을 언급하지 않았고 x,y축 스케일을 제공해주지 않았기 때문에 제품이 출시하고 실제 테스트를 해보기 전에는 정확하게 파악을 하기 힘들지만 

CPU의 경우 같은 10W 전력 사용시 M1칩이 최대 2배의 성능이 뛰어나며 

기존 노트북 CPU가 최대성능을 낼 때 사용하는 전력의 1/4만 사용해도 M1칩이 같은 성능을 낼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

 

GPU의 경우 같은 10W 전력 사용시 M1칩이 최대 2배의 성능이 뛰어나며

기존 노트북 GPU가 최대성능을 낼 때 사용하는 전력의 1/3만 사용해도 M1칩이 같은 성능을 낼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

 

이와 같이 첫번째 애플 실리콘인 M1은 "전력당 성능"을 최대한 뽑아내게 만든 칩으로 그 동안 아이폰/아이패드를 위해 진행된 개발 노하우가 총 동원이 된 결과물이며, 시간이 지날수록 애플 실리콘의 성능은 더더욱 발전 할 것으로 보입니다.

 

 

애플 11월 발표 당시 구체적으로 어떤 대상으로 성능비교를 했는지 밝히지 않아 아쉬웠는데 

유명한 밴치마크 프로그램 중 하나인 Geekbench에서 M1 성능 결과 자료가 확인되었습니다.

 

M1 밴치마크 (출처: appletrack.org,  https://appletrack.org/first-apple-m1-geekbench-results-show-massive-gains/ )

 

Geekbench 밴치마크 자료에 의하면 M1의 싱글코어 점수는 1687이며 멀티코어 점수는 7433으로 파악이 되었는데 

이는 현재 Geekbech 점수 기준으로 싱글코어 점수는 1등이며 멀티코어 점수는 3등으로 16인치 맥북프로 뿐만 아니라 500백만원이 넘어가는 맥 프로보다 높은 점수를 기록하였습니다.

Geekbench 성능 점수 (출처: BGR.com,  https://bgr.com/2020/11/12/macbook-air-m1-speed-vs-16-inch-macbook-pro-geekbench-5/ )

 

물론!!!!

Geekbench 점수가 모든 것을 대변하는 것이 아니며 실제 테스트를 해봐야 정확하게 알 수 있으며

기존 X86기반의 프로그램은 Rosetta 2를 통해 구동이 되기 때문에 X86프로그램을 ARM으로 변경하는 동안 성능손해가 얼마나 될지 확인을 해봐야 하지만...

일단 기본 성능이 뛰어나기 때문에 애플이 소프트웨어 최적화를 잘 했다면 예상 이상의 실 성능을 보여줄 확률이 있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더 많은 개발자/회사들의 참여로 성능향상과 최적화가 빠르게 진행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