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visionTECH입니다^^

1월 12일 레버러지 상품인 TQQQ를 주당 $19.5에 75주를 매수한 후 주식시장이 지속적으로 올랐었고~

2월 2일 TQQQ를 주당 $25.51에 75주 전량 매도하였습니다~^^

 
 

TQQQ를 청산하면서 얻은 수익은 약 30%정도이며, 180만원을 투자해서 약 55만원 정도의 수익을 올렸습니다~

TQQQ를 매수하던 당시 가지고 있는 현금이 없어서 추가로 더 매수하지 못한것이 아쉽지만,

레버러지 상품 특성상 다른 주식이나 ETF처럼 장기로 투자할 생각은 없었으며

약 2주동안 30%면 개인적으로 매우 만족하고도 남을 성과이기에 매도로 정리를 하였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어느날과 다름없이 열심히 일을 하고있던 중~

2023년 처음으로 SPDR S&P 500에서 배당금을 수령하였습니다^^

현재 저는 SPDR S&P 500 20주를 보유 중이여서 세금을 제외하고 달달하게 $28.77를 받았습니다~!

2023년 2월 1일 기준으로 SPDR 주가는 $406.48이고,

제 수익률은 3.96%이며 배당률은 1.65%로 준수한? 배당금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2023년 1월부터 시장이 상승을 하기 시작했는데, 2022년과는 다른 모습을 보여주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단기적으로는 이번 2월 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 인상을 시장의 예상데로 0.25%로 할지

그리고 포워드 가이던스를 어떤 뤼앙스로 줄지에 따라 움직일 확률이 늪을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테슬라의 2022년 연간 실적발표 내용을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Summary

실적자료 Summary 부분을 보면,

2022년은 테를라에 있어 또 한번 큰 발전을 한 한해였다고 언급을 하면서 시작을 하였습니다~^^

2022년 4분기에 최대 분기매출을 기록하였으며 매출은 작년대비 51%,

순이익은 GAAP기준으로 작년대비 약 2배를 기록하였습니다.

2023년을 맞아 금리인상 등의 영향이 있지만, 테슬라팀은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내비추었고

지속적으로 생산률을 증가하고 생산비용을 낮출것을 언급하였습니다.

테슬라 2022 4분기/연간 실적자료 Summary (출처:  https://tesla-cdn.thron.com/static/GZR0GS_TSLA_Q4_2022_Update_PVPJAG.pdf?xseo=&response-content-disposition=inline%3Bfilename%3D%22b7871185-dd6a-4d79-9c3b-19b497227f2a.pdf%22 )

 

재무재표

2022년 테슬라의 주가가 많이 하락을 하면서 2021년까지는 테슬라가 꿈의 주식이였다면

2022년의 하락을 거쳐서 이제 테슬라는 다른 빅테크 같이 숫자의 영역으로 들어온 것 같다고 하였습니다.

즉, 이제 테슬라는 다른 주식을 평가하는 것처럼 기대감 뿐만 아니라

냉정하게 돈을 잘버는지, 성장을 하는지 등을 보면서 투자를 해야한다고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테슬라의 2022년 연간 매출액은 전년동기대비 51% 증가한 814억 6200만달러를 기록하였고,

영업이익은 109% 증가한 136억 600만달러를 기록하였고,

주당순이익(EPS)는 2.26달러를 기록하였으며,

2021년 대비 환경규제크레딧(Regulatory Credits)이 21% 증가하였습니다.

2021년 대비 테슬라의 전기차 판매 수익은 714억 6200만달러를 기록하였는데

이는 전년대비 51% 증가한 수치로 다시 한번 미친듯한 성장을 뽑아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테슬라 2022년 연간 실적 (출처:  https://tesla-cdn.thron.com/static/GZR0GS_TSLA_Q4_2022_Update_PVPJAG.pdf?xseo=&response-content-disposition=inline%3Bfilename%3D%22b7871185-dd6a-4d79-9c3b-19b497227f2a.pdf%22 )

 

생산/판매량, 기가팩토리 상황

​2022년 테슬라 전기차 생산수치을 보면

고가라인인 모델 S와 모델 X의 생산량은 전년동기 192%가 늘어난 71,177대이며

판매량은 167%가 늘은 66,705대이며

모델 3와 모델 Y의 전기차 생산량은 43%늘어난 1,298,434대를 생산하였고,

판매량은 37% 늘어난 1,247,146대를 판매하여 100만대를 가뿐하게 넘은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또한, 에너지 부분에서는 Storage부분이 전년대비로는 64% 증가한 6,541MWh를 기록하였고

Supercharger Stations과 Connector은 전년대비 각각 35%씩 늘어나는 등 전반적으로 성장하였습니다.

물론, 테슬라가 목표했던 전기차 판매량 50% 증가 목표는 아쉽게도 달성을 하지 못했지만

타 기업의 성장속도와 비교하면 아직도 엄청나게 성장을 하고 있는 기업임은 틀림이 없습니다.

테슬라 2022년 Operational 내역 (출처: https://tesla-cdn.thron.com/static/GZR0GS_TSLA_Q4_2022_Update_PVPJAG.pdf?xseo=&response-content-disposition=inline%3Bfilename%3D%22b7871185-dd6a-4d79-9c3b-19b497227f2a.pdf%22 )

 

2022년 말 기준, 테슬라의 생산케파는 190만대 이상으로

약 200만대를 만들수 있는 생산 시스템은 만든 듯 하지만,

생산량에 비해 판매량이 떨어지고 있는 부분이 어떻게 영향이 미칠지는 지켜봐야 하는 부분인 것 같습니다.

테슬라도 이러한 부분 때문인지 (물론 IRA나 다른 요소도 있겠지만) 테슬라 차량의 가격을 대폭 낮추는 등

판매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는것 같고

2023년에도 50% 성장을 목표로 설정을 하여 약 200만대를 생산하고 판매하는 실적을 보여줘야

주가가 올라갈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테슬라 기가팩토리 생산량 (출처:  https://tesla-cdn.thron.com/static/GZR0GS_TSLA_Q4_2022_Update_PVPJAG.pdf?xseo=&response-content-disposition=inline%3Bfilename%3D%22b7871185-dd6a-4d79-9c3b-19b497227f2a.pdf%22 )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오늘 새벽에 애플에서 아이폰, 아이패드, 애플워치의 새로운 업데이트를 배포한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아이폰은 iOS16.3, 아이패드는 iPadOS 16.3 버전으로 업데이트 크기는 642.6MB (아이폰13 프로 기준)이며

애플워치 WatchOS 9.3는 285MB(애플워치 4세대 기준) 입니다.

기기마다 용량은 달라질 수 있으며 이번 업데이트는 소수점 업데이트이며, Freeform 버그수정 내용이 포함되어 있는만큼, 이 기능을 활용하시는 분들이라면 꼭 업데이트를 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iOS 16.3 업데이트 내용

https://support.apple.com/ko-kr/HT213407

iOS 16.3

  • 흑인 역사의 달을 기념하여 흑인 역사와 문화를 기리는 유니티 배경화면을 새롭게 선보임
  • Apple ID의 보안 키를 사용하면 새로운 기기에 로그인할 때 실물 보안 키를 이중 인증의 일부로 사용하도록 요구하여 사용자 계정의 보안을 강화할 수 있음
  • HomePod(2세대) 지원
  • 측면 버튼과 위아래 음량 버튼 중 하나를 함께 눌러야만 긴급 구조 요청이 작동되도록 하여 실수로 긴급통화가 걸리는 것을 방지함
  • Freeform에서 Apple Pencil 또는 손가락으로 그려진 그리기 선의 일부가 공유 보드에 표시되지 않을 수 있는 문제 해결
  • 잠금 화면에서 배경화면이 검은색으로 나타날 수 있는 문제 해결
  • iPhone 14 Pro Max 화면을 깨울 때 일시적으로 가로 줄이 나타날 수 있는 문제 해결
  • 홈 잠금 화면 위젯이 홈 앱 상태를 정확하게 표시하지 않는 문제 해결
  • Siri가 음악 요청에 제대로 응답하지 않을 수 있는 문제 해결
  • CarPlay에서 Siri 요청이 올바르게 인식되지 않을 수 있는 문제 해결

iPadOS 16.3 업데이트 내용

https://support.apple.com/ko-kr/HT213408

 

iPadOS 16.3

  • Apple ID의 보안 키를 사용하면 새로운 기기에 로그인할 때 실물 보안 키를 이중 인증의 일부로 사용하도록 요구하여 사용자 계정의 보안을 강화할 수 있음
  • HomePod(2세대) 지원
  • Freeform에서 Apple Pencil 또는 손가락으로 그려진 그리기 선의 일부가 공유 보드에 표시되지 않을 수 있는 문제 해결
  • Siri가 음악 요청에 제대로 응답하지 않을 수 있는 문제 해결

watchOS 9.3 업데이트 내용

https://support.apple.com/ko-kr/HT213436

watchOS 9.3

watchOS 9.3에는 흑인 역사의 달을 기념하여 흑인 역사와 문화를 기리기 위해 새롭게 제작된 유니티 모자이크 시계 페이스를 비롯한 새로운 기능, 개선사항 및 버그 수정이 포함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오늘 새벽 애플이 기습적으로 맥미니와 14/16인치 맥북프로 신제품을 홈페이지 업데이트로 발표하였습니다!

(처음 확인했을때 오프라인/온라인 이벤트가 아니라 홈페이지를 통해 조용히? 업데이트를 진행한 것으로 보아 기존 제품과 큰 차이가 없을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오늘 발표한 2 제품의 출시일은 아직 공개가 되지 않았지만, 가격정보는 나와있음으로 이번에 구매하실 분들은 총알을 준비하고 계시면 될 것 같습니다^^a;;

개인적으로 오늘 발표의 핵심은 M2 Pro와 M2 Max칩인 것 같으며 기존 M2 칩 대비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M2, M2 Pro, M2 Max의 공통점은 같은 2세대 5nm 공정으로 만든 칩인 것이며, 차이점은

M2: 최대 8개 CPU 코어, 최대 10개 GPU 코어, 100GB/s 메모리 Bandwidth

M2 Pro: 최대 12개 CPU 코어, 최대 19개 GPU 코어, 200GB/s 메모리 Bandwidth

M2 Max: 최대 12개 CPU 코어, 최대 38개 GPU 코어, 400GB/s 메모리 Bandwidth

으로 성능은 코어수에 비례할 것으로 보이며 발표가 되지 않은 M2 Ultra가 나온다면 M2 Max의 CPU, GPU, Neural Engine등의 코어수가 2배로 될 것으로 보입니다^^

 

M2, M2 Pro 맥미니

www.apple.com/kr/mac-mini/

 

인텔칩과 M1칩이 탑제되었던 맥미니 제품이 2023년 업데이트를 통해 인텔칩은 단종이 되었고

M2칩과 M2 Pro칩이 탑제된 버전으로 출시가 되었습니다~!

작년에 출시한 M2 맥북에어에 탑제된 M2 뿐만 아니라, 오늘 발표한 M2 Pro도 맥미니에 들어간다는 소식이 매우 반가웠지만 M1 맥미니 대비 가격이 상승한 것은 아쉬운 점이였습니다. (물론 주주로서는 좋습니다)

M2 / M2 Pro 맥미니 (출처:  www.apple.com/kr/mac-mini/ )

 

M2나 M2 Pro가 탑제된 맥미니의 중요한 차이점은 IO포트의 차이로

Thunderbolt4 2개가 탑제된 M2 맥미니에 비해 M2 Pro 맥미니는 Thunderbolt4 포트가 4개가 적용되었습니다

M2(위) vs M2 Pro(아래) 맥미니 IO포트 차이점

 

 

M2 Pro, M2 Max 맥북프로 (14인치, 16인치)

www.apple.com/kr/macbook-pro/

 

애플 실리콘과 새로운 디자인으로 대대적인 업데이트를 했던 M1 Pro, M1 Max 맥북프로의 경우

M2 Pro와 M2 Max칩으로 업데이트가 되어 전작대비 성능향상이 이루어졌습니다~!

외관으로는 전작대비 차이점은 없으며,

M2 시리즈 칩 적용을 제외하고 업데이트가 된 부분은

  1. 와이파이 6E적용
  2. Bluetooth 5.3적용
  3. HDMI 2.1적용
  4. 배터리 시간 향상 (전작대비 +1시간)

으로 메이저 업데이트보다는 마이너 업데이트 느낌이 강한 제품입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visionTECH입니다^^

1월달 애플 주식을 매수하고 남은 현금 약 200만원을 어떻게 활용할지 고민을 하다가

처음으로 레버러지 상품인 TQQQ를 주당 $19.5에 75주를 매수하였습니다~^^

아시는분은 아시겠지만 TQQQ는 나스닥 추종 ETF인데 레버러지 3배로 상승할떄는 3배로 돈을 벌지만

떨어질떄도 3배로 움직이기 때문에 상당히 고위험군의 상품입니다.

개인적으로 투자를 하면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심리적 안정으로 생각했었기에 여태까지 레버러지 상품에 투자한 적이 없었습니다.

지금까지는 대출도 레버러지 상품도 투자하지 않으면서 자산을 쌓아갔었는데,

더 큰 투자자가 되기 위해서는 좋은대출을 활용해서 투자하는 것과 때때로 리스크를 최소화하면서 레버러지 상품에 투자하는 경험이 필요하다고 생각을 하였습니다.

제가 TQQQ를 매수해보기로 한 이유는...

1. 2022년 나스닥이 30%이상 빠지면서 엄청난 하락을 했고

2. 앞으로 추가 하락을 하더라도 제가 감당할 수 있을만큼일 것 같았으며

3. 올초 상황을 보니 단기적으로는 나스닥이 하락보다는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보여서입니다.

이 종목은 장기보다는 단기로 생각을 하고 있으며, 시장상황을 봐서 매도시점을 잡을 생각입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visionTECH입니다^^

1월 월급을 받은 기념으로 애플 주식을 4주 매수를 하고 추가매수를 어떤 주식으로 할 지 고민을 한 끝에 애플 주식 5주를 추가매수하기로 결정을 해서, 오늘 주당 $130불에 5주를 매수하였습니다^^

2023년 1월 9일 기준으로 애플 주식 수익률은 42.69%이고

애플 주식 1주당 $0.23의 배당금이 지급됨으로 분기별로 $80.5 (세전 기준)의 배당금 수령이 가능해졌습니다^^

현재 애플의 PER이 21.21, 배당률은 0.74%로 은행적금보다는 낮은 배당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주가가 각종 리스크로 인해 좋지 않을지라도 주주환원 정책으로 자사주 매수&소각을 감안한다면 다른 회사에 비해 현재시장에서 리스크를 줄일 수 있고, 배당금 인상을 할 수 있는 여력이 충분한 기업이며 꾸준한 실적으로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주가상승을 할 수 있는 종목 중 하나로 생각이 됩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visionTECH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3년 1번째 배당금으로 생활비 벌기 프로젝트 상황을 공유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020년 7월 8일에 처음으로 제가 보유하고 있는 종목, 투자 기준, 그리고 다달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기반으로 매달 얼마의 배당금을 받을 수 있는지 알아봤었고 변동사항이 있을때 마다 업로드를 하고 있습니다^^

​2023년 1월 8일 보유 주식 & 배당금

1. 삼성전자우 910주

2. 애플 - 345주 (+5주)

3. 스타벅스 - 200주 (+20주)

4. 코카콜라 - 330주 (+5주)

5. 구글 - 170주 (-30주)

6. 테슬라 - 300주

7. 존슨앤존슨 - 80주

8. SPDR S&P500 - 20주 (+1주)

2022년 12월 월급날 이후 미국주식 양도소득세 면제구간인 250만원 수익 기준에 맞춰 포트폴리오 조정을 해서, 구글 30주를 매도하였습니다.

그렇게 매도한 금액으로 스타벅스, 코카콜라를 추가매수하여 배당을 늘리는 방향으로 매수를 하였고, 2023년 1월 월급날 확보한 현금 중 일부로 애플을 매수하였습니다~^^

2022년 초 제 포트폴리오의 기술주 비중이 약 80%에 육박하여, 지난 1년동안 S&P500 ETF와 배당주를 많이 매수한 결과 현재 기술주 비중이 70% 정도로 낮아졌습니다. (기술주 주가가 하락한 영향도 많이 미쳤습니다)

기술주 비중이 낮아졌어도 여전히 비중이 높은 것 같아서 배당주와 S&P500 ETF를 매수하여하는 방향을 유지해야하는데...

최근 애플과 테슬라의 하락이 커서 애플은 개인적으로 매수하기 너무나 매력적인 구간인 것 같고, 태슬라는 꿈의 영역에서 숫자의 영역으로 들어온 것 같아 $100근방에 기회가 오면 매수를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아서 매수전략을 어떻게 가져가야 할지 고민 중입니다.

(개인적으로 삼성전자를 더 투자하고 싶은데...주주환원정책이 미국에 비해 아직은 많이 부족한것 같아 아쉽습니다..ㅠㅜ)

월간 배당금의 경우 최근 원달러 환률이 낮아진 영향으로 월 30만원보다는 조금 떨어진 299,574원이지만, 배당주를 조금만 매수하면 30만원을 넘는데는 문제가 없습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